로그인
토토사이트
신규사이트
업체홍보/구인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스포츠분석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업체
카지노
토토
홀덤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스포츠뉴스]
"가짜 직원 조심하세요"… 업비트, 사칭 사기 대응 강화하며 'ESG 스포츠 후원'으로 신뢰 제고
N
[]
"AI 버블, 아직 이르다"…'2년 성장' 내다본 액티브ETF [미다스의 손]
N
[]
종묘 앞 '고층빌딩' 우려에…최휘영 "모든 수단 강구해 지킬 것"(종합)
N
[IT뉴스]
'제조 아이디어를 시제품 구현으로···' 서울과기대 시제품고도화 지원 짚어보니
N
[IT뉴스]
“해외 우수인재 2000명 유치” 과학기술 인재 확보 5개년 로드맵 윤곽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목록
글쓰기
[IT뉴스][인터뷰]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AI 안전, 인류에 필수…韓, 클로드 사용 톱5"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5
2025-11-07 12:57:30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벤자민 만 창업자 "韓 엔지니어, '클로드 코드' 사용 1위…AI 기본법, '헌법적 AI'와 일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PgPeusAaV"> <p contents-hash="da645619699f3811863c38d1600ec3227ccc62afde42cae5820eacf06886fa0a" dmcf-pid="KQaQd7OcA2"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조이환 기자)"우리는 인공지능(AI)의 발전이 안전하고 인류에게 유익해야 한다는 신념, 즉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믿음으로 회사를 설립했습니다."</p> <p contents-hash="8fcbf7f4877d3a14d5c9136f9ac0a3ffbefe5f64335f0e5237cb8273266d68ff" dmcf-pid="9xNxJzIkN9" dmcf-ptype="general">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는 지난 3일 지디넷코리아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술 경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AI 안전'이 인류의 미래를 위한 필수 요소임을 거듭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181df067e7db54b8b7b36156a51660445e2500c432f1f05729a3f29fe5e90f4" dmcf-pid="2MjMiqCEjK" dmcf-ptype="general">7일 앤트로픽 'AI 경제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클로드' AI 모델의 전체 사용량 및 1인당 기준 사용량 모두에서 전 세계 상위 5위권에 오른다. 이 회사의 '안전 우선' 철학은 국내 시장에서도 큰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c128cace9f8ca1aa0bbad0740a6e099774f52114965c381ae8a008294f65b32" dmcf-pid="VDTDOd3Gg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4829bgbe.jpg" data-org-width="639" dmcf-mid="p6TtUhRfg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4829bgb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837eb5179bda28bccdc941454d11113ebec53032047f061fc91b695d1aa8147" dmcf-pid="fwywIJ0HaB" dmcf-ptype="general">만 공동창업자는 지난 2017년 닉 보스트롬의 '슈퍼인텔리전스'를 읽고 AI 안전에 눈을 떴다고 회상했다. 그는 "초지능 AI 통제의 어려움을 깨달았다"며 "GPT-3로 스케일링 법칙의 엄청난 이점을 증명했음에도 안전에 대한 신념으로 오픈AI를 떠났다"고 밝혔다. 이어 "AGI로의 안전한 전환을 위해 오픈AI에 있었으나 '안전' 가치에 보다 잘 기여하기 위해 앤트로픽에 합류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0382caa339385709c701d53be5c2f83d8caf84d7772dc9f9da826f9fb937838c" dmcf-pid="4rWrCipXgq" dmcf-ptype="general">그는 이날 한국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에도 주목했다. 특히 한국이 '클로드 코드'가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지난 4개월간 한국의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가 6배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 세계에서 '클로드 코드'를 가장 많이 이용한 사용자 1위가 바로 한국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는 것이다.</p> <p contents-hash="e9de55ee8a7beb4685e32922b710c327882f0d0872a9c4ad4309f52cee369fcd" dmcf-pid="8mYmhnUZAz" dmcf-ptype="general">이러한 한국 시장의 중요성은 구체적인 파트너십과 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만 공동창업자는 "SK텔레콤과는 통신사에 특화된 모델을 함께 구축했다"며 "SK가 이 모델을 전 세계 다른 통신사에 보급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전 세계에서 맺은 최고의 파트너십 중 하나"라고 극찬했다. 이어 "슈퍼로이어 같은 스타트업의 법률 자동화 성공 사례 역시 괄목할 만하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20c895b1800c41850ea165a404a2b7547745f99b3bd79a7eade4aaa4d20dbd42" dmcf-pid="6sGslLu5k7" dmcf-ptype="general">이러한 성장세에 발맞춰 앤트로픽은 현지화 및 파트너 지원과 대한민국 경제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부분에 대한 이해를 위해 현지 주재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적극적으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622229d55dc99cf7315c3867f1e87fc292f95e30c3285019f09a0205192849" dmcf-pid="POHOSo71k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앤트로픽)"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5041rzva.jpg" data-org-width="400" dmcf-mid="UWmyXEV7o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5041rzv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앤트로픽)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013ec2ae081d42fbe2b7f7ef7b39436da4762c0812ee9f8c43998bd558073e" dmcf-pid="QIXIvgztkU" dmcf-ptype="general">최근 발표된 정부의 AI 기본법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만 공동창업자는 "투명성, 윤리, 안전을 중시하는 우리의 '헌법적 AI' 접근 방식은 한국의 AI 기본법과 그 의도가 완벽하게 일치한다"며 "우리는 한국 정부와 협력할 생각에도 매우 기쁘며 현재 관계자들과 대화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7a98ca9b7c0c3fcf5725543a55b0a754e902ab9579a9b01f30405cd02a75b0bf" dmcf-pid="xCZCTaqFop" dmcf-ptype="general">앤트로픽이 지난달 발표한 클로드 '소네트 4.5'가 코딩과 AI 에이전트 분야에서 최고 성능을 보이는 비결은 특정 '돌파구(Breakthrough)'가 아닌 '임계점(Critical threshold)'을 넘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음성 인식이 오류율 1%의 임계점을 돌파하며 대중화된 것처럼 '소네트 4.5' 역시 개별 작업의 성공률이 비약적으로 높아져 복잡한 '에이전틱 워크플로우'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86a13fbdd8cd9679e04708caff642315cd6f9a68b869bd18c7deda525e6fb3c3" dmcf-pid="yfifQ3Dga0" dmcf-ptype="general">만 공동창업자는 현재 AI의 역할에 대해서는 '자동화(Automation)'가 아닌 '기존 인력의 가속화(Acceleration)'로 정의했다. 그는 라쿠텐의 7시간짜리 작업을 앤트로픽의 AI 모델이 수행한 사례를 들며 이는 결과가 정확한지 자동으로 검증하는 훌륭한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es)'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91bedb649ee2d033f3501e69754812a6a6a78798ed194baa93322f32d898785d" dmcf-pid="W4n4x0wak3" dmcf-ptype="general">더불어 앤트로픽은 AI 안전을 구호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기술로 구현하고 있다. '헌법적 AI'를 통해 AI가 스스로 보편적 가치를 학습하도록 유도하고 '기계론적 해석 가능성' 연구로 모델의 '뇌'를 들여다보며 '기만' 행위를 탐지한다. 또 '책임감 있는 스케일링 정책'을 통해 '생물학적 안전 등급'과 같은 자체 규제를 적용한다는 설명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eec03594d58cee31152825485bcb6d4f2b9ac5ca9fd8be7896b8390f8d7004" dmcf-pid="Y8L8MprNj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6292fxzm.jpg" data-org-width="639" dmcf-mid="u7q6RUmjk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6292fxz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6676e972d9390e3cebfbb1b444ace1ad4066d431ca0e4aaf4da3b08d5bc3ba6" dmcf-pid="G6o6RUmjat" dmcf-ptype="general">앤트로픽 코리아 팀을 꾸릴 때 가장 중요한 자질로 만 공동창업자는 '컬처 핏'을 꼽았다. 그는 "회사의 임무, 즉 초지능 AI가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인류에게 안전하고 유익하도록 만드는 데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우리는 이를 정말, 정말로 강조한다(Really, really mean it)"고 역설했다. 이어 "진실성과 지적 개방성을 갖춘 인재를 찾는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90994a63c89c77fdd55e19c16a995bc2da1800c6d73d5178b0ea5870cefc89cf" dmcf-pid="HPgPeusAN1" dmcf-ptype="general">그는 자신을 매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는 현재 한 살과 세 살 된 두 아이의 긍정적인 미래가 바로 그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e2eab368b1e4361133e429077414cd5308614ca92d70647c76ff4369a3efc38" dmcf-pid="XF9Fule4o5" dmcf-ptype="general">만 공동창업자는 "(이번) 한국 방문을 통해 세상이 이 기술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를 깨달았다"며 "(동시에) 이 기술이 '안전'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fa46b8091bb1ce6c79133e198b08b3a359f4200d848c655813c787e24278961" dmcf-pid="Z3237Sd8kZ" dmcf-ptype="general">아래는 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와의 일문일답.</p> <p contents-hash="06764360220919efc8f4dfe7a864d16e08d544b1d7d4ca9779f286f32b79b179" dmcf-pid="50V0zvJ6kX" dmcf-ptype="general"><strong>Q. 많은 AI 스타트업이 기술 경쟁에 집중할 때 당신과 앤트로픽의 공동 창업자들은 AI 안전에 집중하며 오픈AI를 떠나 회사를 창업했다. 안전이 단순한 선택이 아닌 인류의 미래를 위한 '필수 요소'라고 믿게 된 결정적인 계기나 순간은 무엇이었나.</strong></p> <p contents-hash="cef157585980317bc76cdc275832929a0278379f7c28d5de0a1fabb2f179b509" dmcf-pid="1pfpqTiPgH" dmcf-ptype="general">A. 지난 2017년 닉 보스트롬(Nick Bostrom)의 '슈퍼인텔리전스(Superintelligence)'를 읽고 AI 안전에 대해 처음으로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다. 초지능 AI를 통제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 깨닫고 눈을 뜬 기분이었다.</p> <p contents-hash="bb4569004e96e07d77506843cdb8bfd20b59170bfc49604ac672808f00579d0c" dmcf-pid="tU4UBynQaG" dmcf-ptype="general">최초에 오픈AI에 합류한 것은 당시 AI의 프론티어를 개척하려는 유일한 연구소였기 때문이다. 지난 2019년 'GPT-2'가 나왔을 때 이것이 바로 범용인공지능(AGI)로 가는 길이라고 확신했다. 그래서 오픈AI에 합류해 앤트로픽 공동 창업자들인 다리오 아모데이, 톰 브라운과 GPT-3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우리는 보다 유능한 모델 없이는 AI 안전 문제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룰 수 없다고 느꼈다.</p> <p contents-hash="bf46278a2d5d61f29593b353d743684103643ac56c51fe93a9d3fc46d647f599" dmcf-pid="Fu8ubWLxjY" dmcf-ptype="general">당시 한 구글 논문은 "모델의 스케일을 증가시킬 이유가 없다"거나 "규모 확장의 이점이 없고 오히려 (수확 체감으로) 한계에 부딪혔다"고 했다. 우리는 GPT-3 논문으로 정반대를 보여줬다. 실제로는 "규모를 키울수록 엄청난 수확(Huge Returns)이 발생한다"는 점과 "그런 확장성의 이점이 둔화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p> <p contents-hash="ef11528be998fbb23e03bc8cdd4aa2a5680875e4847153642cea5dff14b669bb" dmcf-pid="3767KYoMAW" dmcf-ptype="general">오픈AI를 떠난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리 공동 창업자들은 모두 AGI로의 전환이 안전하고 인류에게 유익해야 한다는 신념, 즉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초창기에 우리가 오픈AI에 있었던 이유도 정확히 그 이유 때문이었으나 어느 시점부터는 AI의 '역량과 안전' 또는 '경제적 이익과 안전' 사이에 딜레마가 발생하는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작은 충돌들을 겪게 됐다.</p> <p contents-hash="461a7461a49953e26074627612c735ce0cf6fc93f775ca2e640c26070c894273" dmcf-pid="0zPz9GgRay" dmcf-ptype="general">결국 우리는 회사를 떠나 우리만의 회사를 차리는 것이 '안전'이라는 가치에 보다 잘 기여할 수 있는 길이라고 느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d554bb6a7e3c60929426e8a185d39b39516ab30eceb65cb79f7c4f0c2bf0d4" dmcf-pid="pqQq2Haec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앤트로픽 AI 모델 '클로드' (사진=앤트로픽)"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7528djum.jpg" data-org-width="633" dmcf-mid="7hfdoKSrg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7528dju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앤트로픽 AI 모델 '클로드' (사진=앤트로픽)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9d72738d6f95159e9d0253ea2402655c62bd1a8aa7dc5e8b745fa27944b52d0" dmcf-pid="UBxBVXNdkv" dmcf-ptype="general"><strong>Q. 클로드 '소네트 4.5'가 AI 에이전트와 코딩 분야에서 최고 모델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에이전트 중심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 핵심 기술 돌파구는 무엇인가. 이것이 기업 도입을 어떻게 이끌고 있으며 '에이전틱 워크플로우'가 산업 생산성을 어떻게 바꿀 것이라 보나.</strong></p> <p contents-hash="13c994b8e1c9df954cf862af0fa019f036926fd6b2b6bf1053ba93d40261fcb6" dmcf-pid="ubMbfZjJjS" dmcf-ptype="general">A. 우리가 스택 전반에 걸쳐 훌륭한 작업을 수행해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경쟁사들이 사전 훈련(Pre-training)이나 사후 훈련(Post-training)에 실패했다는 소문을 들어 왔다. 반대로 우리는 수년간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수확 감소'를 전혀 목격하지 못했다.</p> <p contents-hash="6d588fab23267ae6fd4791eea4cd43130e8c2766fecb98ad8eabdf7acdc8aa6b" dmcf-pid="7KRK45Aikl" dmcf-ptype="general">'소네트 4.5'가 갑자기 좋아진 것은 특정 기술적 '돌파구(Breakthrough)'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임계점(Critical Threshold)'을 넘었기 때문이다. 음성 인식이 30년 넘게 존재했지만 지난 2010년대 구글이 단어 오류율을 1% 수준으로 낮추는 '임계점'을 돌파하자 비로소 모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된 것과 같다.</p> <p contents-hash="5618d02a63afe841bb2eb7fb1ba036e1451e093414721976a2d2db727594b29f" dmcf-pid="z9e981cnah" dmcf-ptype="general">코딩 모델도 마찬가지다. 이전 모델인 '소네트 3.5'에서 사람들이 에이전틱 코딩의 이점을 처음 발견하기 시작했다면 '소네트 4.5'는 개별 작업의 성공률이 비약적으로 높아졌다. 그 덕분에 여러 작업을 복잡한 체인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면서 효용성에 있어 거대한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p> <p contents-hash="4849ae3ddfd12cac07a773e1d2633eaf024e840cd220e0cbe5cc33448ffea0cb" dmcf-pid="q2d26tkLgC" dmcf-ptype="general">생산성 측면에서 볼 때 우리는 아직 '자동화(Automation)'의 시대가 아니라 '기존 인력의 가속화(Acceleration)' 시대에 있다고 본다. 일례로 라쿠텐 사례를 보면 숙련된 인간 개발자가 7시간을 투입해야 하는 '쿠다(CUDA) 커널 조작' 작업을 인간의 개입 없이 모델이 거의 전적으로 수행했다. </p> <p contents-hash="25ad0027ed916ba461f255bc5d52107192c0c38680421c19bd18c8dea06af652" dmcf-pid="BxNxJzIkoI" dmcf-ptype="general">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매우 훌륭한 '테스트 하네스(Test Harnesses)' 덕분이었다. 즉 에이전트가 작업을 마쳤을 때 그 결과가 정확하다는 것을 (자동으로) 검증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1a178ceeff61be9709a3fa3e9aa950bb608957fd9a460a65665ccb2a1c062a" dmcf-pid="bMjMiqCEa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8763gihe.jpg" data-org-width="640" dmcf-mid="zBaQd7Ocg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8763gih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59e83a383f2cb9d5c79900dc6e867b61fc19c03110e0eb0a28ef8b3a124cd93" dmcf-pid="KRARnBhDjs" dmcf-ptype="general"><strong>Q. '클로드 코드(Claude Code)'가 '소네트 4.5'로 구동되면서 초기 아키텍처 설계부터 버그 수정까지 거의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인상 깊었던 유즈케이스가 있나. 특히 한국에서의 경험 중 공유할 만한 사례가 있나.</strong></p> <p contents-hash="c43dddbd737a21845a569ebc7a1420a701e0708a3e3d44ceefe7aa7fffaa8c69" dmcf-pid="9eceLblwcm" dmcf-ptype="general">A. 오늘 SKT AI 서밋에서 '클로드' 해커톤이 열릴 예정이라 기대가 크다. 한국은 '클로드 코드'의 가장 큰 시장 중 하나며 제품에 대한 한국의 열정에 감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1ad6cc3fed3579e38ef68fa729089eae42f72aeb68d71d75ff0477a4e5f4c716" dmcf-pid="2dkdoKSrAr" dmcf-ptype="general">실제로 우리의 AI 코딩 어시스턴트 '클로드 코드' 전체 사용자의 4분의 1 이상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속해 있는데 그중에서도 한국의 성장세가 놀랍다. 한국에서는 지난 4개월 동안 클로드 코드의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가 6배 증가하는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보다 인상적인 것은 현재 전 세계에서 클로드 코드를 가장 많이 이용한 사용자 1위가 바로 한국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기록됐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f69928b7902c5761fd5c8503dbbf5f98df928b093b11a581280e118cb0f080d4" dmcf-pid="VJEJg9vmaw" dmcf-ptype="general">구체적인 사용 사례를 들자면 SK와는 정말 훌륭한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특히 SK텔레콤과는 통신사에 특화된 모델을 함께 구축했다. SK는 이 모델을 전 세계 다른 통신사에 보급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이는 우리가 전 세계에서 맺은 최고의 파트너십 중 하나다. 또 슈퍼로이어라는 한국 스타트업은 클로드를 활용해 법률 자동화(Legal Automation)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90661215a325d1f72f51f17e8d39f895465e2b334be5b04fb94f88d46f4d16c" dmcf-pid="fiDia2TscD" dmcf-ptype="general">물론 이 기술은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지만 특정 분야에서 훨씬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가 발간하는 'AI 경제 지수(AI Economic Index)'는 사람들이 우리 모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연구하는데 (방금 한국 사례에서 보듯) 코딩이 최고의 영역 중 하나다. 그 외에도 마케팅, 교육, 헬스케어 및 생명 과학 산업에서도 많은 활용 사례를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ef3642420a36f7b9a4559e378384edd353ba41a05846d8f0f4f1582a34d2fd9d" dmcf-pid="4nwnNVyOkE" dmcf-ptype="general"><strong>Q. 방금 'AI 경제 지수(AI Economic Index)'를 언급했다. 앤트로픽은 AI가 자동화 등 사회에 미칠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 같다. 'AI 경제 지수'가 그 한 예시인데 앤트로픽 팀이 AI 안전을 위해 노력하는 다른 사례들도 공유해 줄 수 있나.</strong></p> <p contents-hash="d75661be7f768f04853bfe0af103d16edf883d2bda3b63e25103f7096fe1a472" dmcf-pid="8LrLjfWIck" dmcf-ptype="general">A. 'AI 경제 지수'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더불어 근본적인 AI 정렬(Alignment) 측면에서도 몇 가지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952b4fb4fa6ef8391a578bcdbaeea02b027e742fe43adea4f3cfa9fe33f5b223" dmcf-pid="6omoA4YCkc" dmcf-ptype="general">첫째는 '헌법적 AI(Constitutional AI)'다. 이는 '클로드'가 스스로 학습하고 정렬하는 자연어 원칙들의 집합이다. 우리는 샌프란시스코의 소수 인원이 미래의 가장 강력한 AI가 가져야 할 가치를 결정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집단적 헌법 AI(Collective Constitutional AI)' 프로젝트를 시작해 전 세계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AI가 가져야 하는지 물었고 놀랍게도 그 가치들이 예상보다 훨씬 더 일치(Aligned)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정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희망을 줬다.</p> <p contents-hash="af00e5115bb2e09960283c140933f67200c00da379c1745a052a79def56a1442" dmcf-pid="Pgsgc8GhkA" dmcf-ptype="general">둘째는 '기계론적 해석 가능성(Mechanistic Interpretability)' 연구다. 과거엔 AI 모델을 '블랙박스'로 여겼지만 이 연구의 목표는 모델이 작동하는 동안 그 '뇌'와 생각을 들여다보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span>모델이 강력해질수록 이는 매우 중요하다. 궁극적인 목표는 모델에게 무언가를 시켰을 때 모델이 '기만(Deception)'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우리는 오늘날의 모델에서도 그런 기만 행위를 포착하는 것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모델이 매우 강력해졌을 때 이런 기만적인 생각을 멈추게 하거나 시스템을 종료시키기 위해 이 탐지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span></p> <p contents-hash="c0377cb5a4bd9e506e36ec0af86a3e5bbc500a4c094fc0fc0d98d70adebba4df" dmcf-pid="QaOak6Hlaj" dmcf-ptype="general">마지막은 '책임감 있는 스케일링 정책(Responsible Scaling Policy)'이다. 이는 '생물학적 안전 등급(Bio Safety Level)'을 모델로 한 것이다. 천연두 바이러스를 다루려면 고도로 규제된 시설과 전신 방호복이 필요한 것과 같다. </p> <p contents-hash="155d6849ab59c8857ec67cd1e43d3ee7114dd53792c95e1ad1ab5fb6ec0bb513" dmcf-pid="xNINEPXSaN" dmcf-ptype="general">마찬가지로, 우리 AI가 특정 모델을 생성할 때까지 우리가 스스로 약속한 특정 보안 및 규정 준수 요구 사항을 갖추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 모델을 사용하거나 상용화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다른 업계 기업들도 이 표준을 채택하도록 노력하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8517deda813d16ddc113e571b07d708d5d7fe645390ffbc4a1418739329931c" dmcf-pid="y0V0zvJ6o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가 지난 5일 앤트로픽과 AI 안전성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은 벤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왼쪽), 임문영 국가AI전략위 부위원장 (사진=국가AI전략위원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9002ulim.jpg" data-org-width="580" dmcf-mid="qQQq2Haej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19002uli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가 지난 5일 앤트로픽과 AI 안전성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은 벤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왼쪽), 임문영 국가AI전략위 부위원장 (사진=국가AI전략위원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a7091c7a67d093965ac33fee5458602bf847b4c9159ed415bc5c20c98fda0f7" dmcf-pid="W767KYoMjg" dmcf-ptype="general"><strong>Q. 한국 정부가 최근 AI 기본법을 발표했다. 유럽연합(EU) AI법과 유사하게 AI 개발과 안전 사이의 균형을 맞춘 법안으로 평가받는다. 앤트로픽의 '안전 우선' 철학이나 '헌법 AI'와 시너지가 있을 것 같은데 한국에 오피스를 런칭하는 만큼 한국 시장 및 공공 부문과 어떻게 협력할 계획이며 어떤 기여를 하고 싶은가.</strong></p> <p contents-hash="001de3de44b7787fcc38862eaa242b7b8934e5a19ce5b2d66be4bfba6407bc0e" dmcf-pid="YzPz9GgRao" dmcf-ptype="general">A. 투명성, 윤리, 안전을 중시하는 우리의 '헌법 AI' 접근 방식은 한국의 AI 기본법과 그 의도가 완벽하게 일치한다.</p> <p contents-hash="d7bf4f9b5aff658c298e1549cb7731f16f13b188c2748b375c0d8eb57abdc5bc" dmcf-pid="GqQq2HaecL" dmcf-ptype="general">지사 설립에 관해 말하자면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다. 실제로 우리 'AI 경제 지수'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클로드의 전체 사용량 및 1인당 기준 사용량 모두에서 전 세계 상위 5위권에 오른다. 현지화, 파트너 지원, 한국 경제의 필요를 이해하기 위해 '현지 주재(Local Presence)'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이곳에서 상당히 공격적으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다. 보다 많은 인력을 두게 될 예정에 기쁘다.</p> <p contents-hash="942e757e17e7d74c094171150660521440f875f01a85f1ca93f87da80cde15b1" dmcf-pid="HBxBVXNdan" dmcf-ptype="general">더불어 우리는 한국 정부와 협력할 생각에도 매우 기쁘며 현재 관계자들과 대화를 진행 중이다.</p> <p contents-hash="17a80ea489c5911dfac5cf8c7d74b7e39c1445f1054545934a2240b58ec17a8d" dmcf-pid="XbMbfZjJoi" dmcf-ptype="general"><strong>Q. 앤트로픽은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스타트업 중 하나다. 앤트로픽 코리아 팀을 꾸릴 때 개발자, 마케터 등 직군을 떠나 공통적으로 찾는 가장 중요한 자질이나 기술은 무엇인가.</strong></p> <p contents-hash="abca6facf8653a1f95536b7c8dcf1b1ba36700ca870c9e990135c706838d999f" dmcf-pid="ZKRK45AikJ" dmcf-ptype="general">A. 우리는 '컬처 핏 인터뷰(Cultural Interview)'를 통해 이를 테스트한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우리의 임무에 정렬(Mission-aligned)'되는 것이다. 즉, 우리 회사에 합류하는 이유가 '초지능 AI가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인류에게 안전하고 유익하도록 만드는 데'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어야 한다.</p> <p contents-hash="6901c2f21aae084d7e6645fa4e99e835c51dbe31b8530ffde4dd76e7ca54d98e" dmcf-pid="59e981cnad" dmcf-ptype="general">많은 회사가 이렇게 말하지만 우리는 '정말이지, 정말로(Really, really mean it)' 그렇다. 이 임무가 자신의 삶과 가족, 친구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깊이 생각해 본 사람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의 '변화 이론(Theory of Change)'이나 '책임감 있는 스케일링 정책(Responsible Scaling Policy)' 같은 문서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3120babe0361101400955d9f6fb192efc94f43e012fc1b6e31addf96ba902a12" dmcf-pid="12d26tkLae" dmcf-ptype="general">기본적으로는 '진실성(Integrity)'과 '지적 개방성(Intellectual Openness)'의 증거도 본다. 우리는 대체로 '자아가 강하지 않고(Low Ego)', 개인의 성과에 연연하기보다 올바른 일을 하려고 노력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b9c493310069f2e0fe721e7d6a83b3a14255aeec7fb3aae3422ca152f6458ca" dmcf-pid="tVJVPFEoj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20287wxtj.jpg" data-org-width="639" dmcf-mid="BDlcrM1yo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1/07/ZDNetKorea/20251107125420287wxt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벤자민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f71775d412fb87964215ad1655988f7b16c6c1f6b8da499fcc22fb6c1a0108" dmcf-pid="FfifQ3DgNM" dmcf-ptype="general"><strong>Q.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안전하게 개발해야 하는 책임을 자주 언급했다. 매일 새로운 제품이 쏟아지는 이 극도로 가속화되는 중대한 환경에서 당신을 매일 집중하고 동기 부여하게 만들고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나게 하는 가장 큰 원동력은 무엇인가.</strong></p> <p contents-hash="b59978b05db0994d1f4b34c82d08211a60c40a5be7d26d5e0348226c81da98de" dmcf-pid="34n4x0waNx" dmcf-ptype="general">A. 근본적으로 나를 움직이는 힘은 우리가 앤트로픽을 시작한 이유와 같다. 바로 초지능 AI로의 전환이 잘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8290a3d629625f8c20f70b205a76824d1830646d69db307144f5e6759e0d7365" dmcf-pid="08L8MprNNQ" dmcf-ptype="general">나에게는 한 살과 세 살 된 아이가 있다. 나는 내 아이들의 미래가 긍정적인 미래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때때로 지출 보고서 같은 사소한 일을 할 때는 이 목표가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p> <p contents-hash="f8290ef6c2c2cf8afcb22d4e2df2f5e4fcc3983b44086396723ba2480aeca48d" dmcf-pid="p6o6RUmjjP" dmcf-ptype="general">그런데 지난주 일본, 그리고 이번 주 한국처럼 다른 나라에서 잠재 고객과 개발자들을 만나는 것이 목표에 계속 집중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이번 방문을 계기로) 세상이 이 기술을 얼마나 필요로 하는지, 그리고 동시에 이 기술이 안전해야 할 필요성이 얼마나 큰지 역시 절실히 느낀다.</p> <p contents-hash="d3bab7c5bd10baed0cb88ee251ec1eec19a635c8bee5bb3259e7cc563615b98b" dmcf-pid="UPgPeusAj6" dmcf-ptype="general">조이환 기자(ianyhcho@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