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토토사이트
신규사이트
업체홍보/구인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스포츠분석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업체
카지노
토토
홀덤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스포츠뉴스]
韓 수영, 제대로 경사 났다! '수영 간판' 황선우 올림픽 기록 깬 '특급 신예' 김영범..."中 세계 기록도 깨고 싶어" 당찬 각오
N
[연예뉴스]
현숙, 영수의 원픽 '정숙' 듣고 충격 "말 똑바로 하라고 했잖아"
N
[연예뉴스]
'다시 켜진 그린라이트' 현숙, 영수 직진 선언 "확실하게 똑바로 해"
N
[연예뉴스]
손연재, 폭풍성장 아들 공개…엄마 쏙 빼닮았네
N
[연예뉴스]
김동한 “태권도는 처음, 김요한과 멤버들의 응원 힘 됐다”(리플레이)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목록
글쓰기
[IT뉴스]“죄다 ‘유튜브’ 중독” 혀 끌끌 찼는데 ‘반전’…알고 보니, 더 좋다? [지구, 뭐래?-Pick]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
2025-10-22 17:47:34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amHIyaeY6"> <div contents-hash="1e34ff3831c61c4e21ad3335824f5d6ed67dd2ed755f671ce7703b3646ecc1ac" dmcf-pid="1NsXCWNd18" dmcf-ptype="general">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픽(Pick)> <br> <br>기후변화에 맞선다는 것. 때로는 막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한 작은 노력. 티끌같은 실천들이 모여 태산같은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정말 소소한 일상 속, 내 선택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비교해 드립니다. 궁금한 탄소배출량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c62444d8cf2c45f28f1c1a0ce6ff24bae4fa4cf2b48c621dfff30b826b29606" dmcf-pid="tjOZhYjJG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187fxws.jpg" data-org-width="1280" dmcf-mid="PQ5hcsRfX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187fxw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f742ad7aad9e0d76dae577a1bcbd0d8c5e83ffa3a41be0a5ed67dab22100f24" dmcf-pid="FAI5lGAiYf"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죄다 고개 숙이고 스마트폰만 본다”</strong></p> <p contents-hash="a273ec96a93358917fda4b36c58727c674c9ea72793f693a4b9ea347edb2e187" dmcf-pid="3NsXCWNd5V" dmcf-ptype="general">‘독서의 계절’이라는 별명이 무색한 대중교통 풍경. 대부분이 제각기 다른 전자기기를 쥐고, 화면을 들여다보고 있다. 종이책을 펼치는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p> <p contents-hash="0f0e4f1d4b5075b45306e554dd87116648b4922fef81e4ec12cc7bf614ee4b84" dmcf-pid="0jOZhYjJ12" dmcf-ptype="general">하지만 반전이 있다. 지금은 청년층을 중심으로 도래한 텍스트힙(텍스트(Text, 글)와 힙(Hip, 멋있다)을 합성한 신조어)의 시대.</p> <p contents-hash="ec2443c4deaf4ab8933a24147daf5ca1686f8e93acd83ac4fc9c80c4f36a5ad9" dmcf-pid="pAI5lGAiZ9" dmcf-ptype="general">언뜻 전자기기를 보는 것 같은 이들도 ‘독서’를 즐기고 있을지 모른다. <strong>바로 전자기기로 볼 수 있는 ‘전자책’ 소비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829f218e31eee52bd04c94d153109ff22442810c0118ada0086a2ae58337e8" dmcf-pid="UcC1SHcnG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시민들.[123r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511dfnt.jpg" data-org-width="1280" dmcf-mid="QRMbt7lwH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511dfn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시민들.[123r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8e068b0616d6856449d056d49b45a29fe2670eb5ae964e3af7753cad92e8f60" dmcf-pid="ukhtvXkLXb" dmcf-ptype="general">책은 ‘종이’로 봐야 제맛이라는 인식도 여전하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전자책은 더 친환경적인 독서 문화에 해당한다.<strong></strong></p> <p contents-hash="83da8cc7816bc8b5eee65c912e8c2bc38c8b2bd134e120f938fdf76c20a15c25" dmcf-pid="7ElFTZEoHB" dmcf-ptype="general"><strong>종이책과 달리 탄소배출량이 거의 ‘0’에 가깝기 때문.</strong></p> <p contents-hash="41c4d531af8d8ddbee2934751de77fc3fa2e7a3804e50e38bf83bcd6ed8a181c" dmcf-pid="zDS3y5DgXq" dmcf-ptype="general">종이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벌목을 피할 수 없다. 이밖에도 가공 및 생산·폐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배출량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p> <p contents-hash="0f541d43df6b96356d45ae9b4089a64a2f6f229cfd1d2a1c994fc98c98dcd784" dmcf-pid="qwv0W1waHz" dmcf-ptype="general">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신간으로 출간된 책만 7000만부 이상. <strong>신간 </strong><strong>제작 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만 한국인 약 2만명이 1년간 배출하는 양과 맞먹는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fefdb9f7251e93ea915d4fa53fa417f82d00a15f723aaa88b821f71f5d42ef" dmcf-pid="BrTpYtrNZ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의 한 서점에서 수험서를 고르는 시민. [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800uaxr.jpg" data-org-width="1280" dmcf-mid="x4XB1uhDX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8800uax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의 한 서점에서 수험서를 고르는 시민. [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ae73698453b32bc56e300ec281c0ac4a0a4d6f557ff1571892e367b8b8a915b" dmcf-pid="bQoONwQ9Hu"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가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재생용지가 사용되지 않은 일반 종이책(300페이지 분량)을 만들고 폐기하는데 따른 탄소배출량을 추산한 결과, <strong>1권당 약 3.04kg의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trong></p> <p contents-hash="0f36c82a35ea636ed91b329b41d22ce501c0900625ae078fe24931158ea9bb2d" dmcf-pid="KxgIjrx2XU" dmcf-ptype="general">이는 단순 생산과 폐기 단계에서의 탄소배출량만을 산출한 결과다. 책을 유통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배출량은 포함되지 않았다. 이를 고려하면, 실제 책 소비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1권당 3㎏, 그 이상으로 추산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f62417a1b1034d87ab43138736131e706e973c35c45406d1ef21a03bc7b81a" dmcf-pid="9MaCAmMVH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쇄용지.[헤럴드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082xdav.jpg" data-org-width="642" dmcf-mid="yx8gQiztG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082xda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쇄용지.[헤럴드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5477dfa1efc320fb29c80cb8c8f4d2164dae06b46a3ebab5e75dfd59f45f14f" dmcf-pid="23KdVx3GG0" dmcf-ptype="general">카페에서 흔히 쓰이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생산하고 폐기하는 데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총 66g. <strong></strong></p> <p contents-hash="bf82cf1110f6a0585c80f7c76df6cb08a4b81540a2bd87736ebadb062f8cda51" dmcf-pid="V09JfM0Ht3" dmcf-ptype="general"><strong>300페이지 분량의 종이책을 하나 소비하는 것이, 46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소비하는 것과 유사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얘기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c7d329844c4b8bb47bc0ede3daefc84564c0f72873a2fe6c339094661d026d1" dmcf-pid="fp2i4RpXX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을 찾은 시민이 베스트셀러를 고르고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337fiku.jpg" data-org-width="1280" dmcf-mid="WJ2i4RpXX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337fik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을 찾은 시민이 베스트셀러를 고르고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b72d92c8a51651e7ccebf011f6f9637a9cadf2d70c7123225d0a5f7f662879f" dmcf-pid="4UVn8eUZ1t" dmcf-ptype="general">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독서 문화는 빠르게 쇠퇴했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지난해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등을 계기로 ‘텍스트힙’ 열풍이 불며, 기존 관념을 뒤집고 있다. 쇠퇴하던 독서 문화가 반등하고, 관련 시장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p> <p contents-hash="b4d30e4c1f4f8b36be2b3cc2cbd1ac3adf3a0451ac674105d5774545176d2525" dmcf-pid="8ufL6du551" dmcf-ptype="general">책 생산도 늘었다. 한국출판연감에 따르면 지난해 신간으로만 총 7212만5640부의 책이 발행됐다. 이는 2023년에 비해 2.7%가량 증가한 수치다. 주요 서점 5사의 매출도 지난해 기준 4.1%의 성장세를 기록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9f136bc6eda52e24017fc39715d8696fa426ab218590ba11a73041de04feac3" dmcf-pid="674oPJ71G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3년 계묘년 새해가 밝은 가운데 4일 오후 서울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2023년을 알리는 많은 책들이 진열되어 있다. 이상섭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620okat.jpg" data-org-width="1280" dmcf-mid="Yw6axnqFX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620oka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3년 계묘년 새해가 밝은 가운데 4일 오후 서울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2023년을 알리는 많은 책들이 진열되어 있다. 이상섭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4bc04a97bac4a1a01d91ea30a982611da646bf91cb5f816de97b301e23f748b" dmcf-pid="Pz8gQizt1Z" dmcf-ptype="general">지난해 나온 신간, 즉 <strong>7000만권이 넘는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총 21만9262톤(일반 종이책 300페이지 기준)의 탄소가 배출돼야 한다.</strong> 이는 한국인 2만명이 연간 배출하는 탄소량과 비슷한 수준이다.</p> <p contents-hash="39b5276857bc29812a4ce982284cccb6f8edd3c70e61abe377baaf4685f5588e" dmcf-pid="Qq6axnqFXX" dmcf-ptype="general">출판업계 또한 재생용지 사용 비율 증대, 친환경 잉크 도입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하지만 <strong>근본적으로 벌목 등으로 지구 자원을 사용해야 하는 한계는 극복하기 힘든 상황이다.</strong> 초과인쇄와 반품 등에 따른 자원 손실도 이어지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8b2d2e7fbf6c241993bc225bbc488c4bd68eaf19566fbf585075136a6b3f7ae" dmcf-pid="xAI5lGAi5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자책 리더기를 사용하고 있다.[유튜브 채널 ‘가전주부’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889lucc.png" data-org-width="1280" dmcf-mid="GV6axnqFG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159889lucc.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자책 리더기를 사용하고 있다.[유튜브 채널 ‘가전주부’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84f1d9a8dc21371cd979854026b9fb42cdcef98df30bde9d4f69469188d78c" dmcf-pid="yUVn8eUZ1G" dmcf-ptype="general">이에 대안으로 ‘전자책’ 문화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된다. <strong>전자책은 종이책과 달리, 생산 과정에서 특별한 원료가 들지 않는 데다 유통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배출량도 ‘0’에 가깝다.</strong> 특별한 폐기 과정이 동반되지도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p> <p contents-hash="d86c6bcbf50ac026e977c31b6a36275d9f4d4ae46f5974a4ea2ffdbdc16c9280" dmcf-pid="WufL6du5tY" dmcf-ptype="general">일각에서는 전자책 소비를 위해 ‘전자책 리더기’를 구매하는 것 자체로도 탄소배출량이 크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오후두시랩 분석 결과, 통상적인 사양의 <strong>전자책 리더기를 생산·폐기하는 데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49.4㎏. 종이책 16개 분량에 불과하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0d466651c70117417d10fa48e648e290988f611a904ecb55df2cbefab852388" dmcf-pid="Y74oPJ71H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가 진열돼 있다.[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163cdrt.jpg" data-org-width="1280" dmcf-mid="HlqMK61yt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163cdr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가 진열돼 있다.[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9fe6af886fbc138a3af42120252c861c9ef1e1c214ef808fbe9b7e04060218" dmcf-pid="Gz8gQiztty" dmcf-ptype="general">전력 사용량 등을 고려하더라도, <strong>리더기를 구매한 후 20개 이상의 전자책을 읽을 경우 더 친환경적 선택이 될 수 있다는 것.</strong> 아울러 기존에 소유한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를 통해 소비하는 경우 탄소배출량은 큰 폭으로 줄어들 수 있다.</p> <p contents-hash="8dfeacc08d535ce4a7278a25bdc12ad3c6672a55cb3000ae61eef59b455b25e2" dmcf-pid="Hq6axnqFXT" dmcf-ptype="general">전자책 문화 또한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성인 중 1년에 1권 이상 종이책을 읽은 비중은 32%, 전자책은 19.4%로 집계됐다. <strong>2019년에 비해 종이책 경험률이 19.8%포인트 감소한 반면, 전자책 경험률은 2.9%포인트 늘었다.</strong></p> <p contents-hash="8dfbfe42a2832e9ab726bdf65006a875ff4d5d7a46fa7bd61d66f924781802f4" dmcf-pid="XBPNMLB3Hv" dmcf-ptype="general">특히 <strong>20대의 경우 전자책 경험률이 58.3%로 2019년에 비해 20%포인트가량 크게 늘었다.</strong> 심지어 종이책 경험률(47.4%)에 비해서도 높은 것으로 집계돼, 전자책 문화가 이미 보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전자출판(전자책·웹툰·웹소설 등) 시장 또한 지난해 주요 13개사 매출이 12.2% 증가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550d9b48e017ffce45d3e9c7e69dfdd38026a04e2f5e2d2df81522485ae35c9" dmcf-pid="ZbQjRob0G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점.[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471aafb.jpg" data-org-width="1280" dmcf-mid="XujlkOe4t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471aaf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점.[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753d18c02d967b75a80bca4277c8b5f1db9e621b804ce5ecb095e61c8bc5d7b" dmcf-pid="5KxAegKpGl" dmcf-ptype="general">이수연 오후두시랩 연구원은 “종이책의 경우 폐기 과정에서 소각될 경우, 제작 과정과 유사한 수준의 탄소가 배출된다”며 “소유한 책의 경우 폐기하고자 한다면, ‘종이류’로 분류해 재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향후 전자책 소비를 시도해 보는 것만으로도 친환경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b68f82778d87805e13733752ebbd78a829a33a4ad9d209296e6c614c3c5c5f7" dmcf-pid="13KdVx3GXh" dmcf-ptype="general">한편 오후두시랩은 기업, 제품, 도시, 개인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 그린플로(Greenflow)를 운영하고있다. 이를 이용해 제품 생산·유통 등 경제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ce4438325b207a8905e25d9b5ac60f0b747e5adb125dac178f858742a976ee7" dmcf-pid="t09JfM0HZ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748hynh.jpg" data-org-width="1280" dmcf-mid="Z7rGOTgRY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ned/20251022174200748hynh.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db0cbb16b424dfdd0d23b4600b140b61c9673e87bda7e2c0adcaf5797abc329c" dmcf-pid="Fp2i4RpXtI" dmcf-ptype="general"> [지구, 뭐래-Pick] 지난 기사 </div> <div contents-hash="baf13e3a736788ec8a8ebb4b642f169d81c734dc3ae85282770359923f2af780" dmcf-pid="3UVn8eUZZO" dmcf-ptype="general"> [1]“튀긴 치킨만 주로 먹었는데” 뜻밖의 충격…살만 찌는 게 아니었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02448?ref=naver <br> <br>[2]“여름휴가, 해외로 갈까 했더니” 드러난 충격 실상…돈만 비싼 게 아녔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12495?ref=naver <br> <br>[3]“하루 2~3잔 기본인데” 아무도 몰랐던 ‘충격 실상’…메뉴 잘못 골랐다가는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28059?ref=naver <br> <br>[4]“보기만 해도 ‘끔찍’” 공중 화장실 충격 실태…진짜 심각한 건 따로 있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38273?ref=naver <br> <br>[5]“귀찮아서 그냥 놔뒀다” 빨래 주말까지 방치했더니…뜻밖의 일 일어났다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53562?ref=naver <br> <br>[6]“술은 ‘캔’ 말고 ‘병’으로 마셔야지” 무조건 고집했는데, 뜻밖의 충격…나쁜 선택이라니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63224?ref=naver <br> <br>[7]“담배보다 더 독하다” 놀러갈 때 ‘필수’인데…모기 피하려다 ‘낭패’ [지구, 뭐래?-Pick] <br>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73805?ref=naver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