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토토사이트
신규사이트
업체홍보/구인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스포츠분석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업체
카지노
토토
홀덤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IT뉴스]
한국기업 텃밭 가꾼 베트남 전자 생태계…돈은 중국 기업이 쓸어간다
N
[연예뉴스]
'인간 라로슈포제' 박나래, 3개월 만에 밝힌 비화…"못 앉았다" ('나래식)[순간포착]
N
[스포츠뉴스]
‘0:3→4:3’ 스롱피아비, 정수빈에 극적인 승부치기 역전승, 김가영 임경진 백민주와 16강[휴온스배LPBA]
N
[연예뉴스]
천록담, 마지막 작별 인사 건넸다…"어디서든 또 만나길" [RE:스타]
N
[연예뉴스]
신동엽, 쯔양에 진심 어린 조언…"존재 자체가 예뻐" [RE:뷰]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목록
글쓰기
[IT뉴스][무등의 아침] “‘2조 5천억’ 국가AI컴퓨팅센터, 해남으로…‘유치 실패’ 광주시, AI 실증 분야 강점 키워야”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3
2025-10-22 11:17:31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Ra5RiztCX"> <div contents-hash="fd4b2acdb58de1dd43f29b98714b20e2f3936d4b236d600c66c8c3b66e06e014" dmcf-pid="F8JW8x3GTH" dmcf-ptype="general"> [KBS 광주]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801860e1c982ec73fafd93e203d721c515dd3d3f82855870fd4d8f45be0c42c" dmcf-pid="36iY6M0Hl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1431yiqo.jpg" data-org-width="4000" dmcf-mid="9ScN53sAl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1431yiqo.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c4a76fe2e133a3e583d1136fa81d31400c4859b323d19127fdf3bcb0790a9536" dmcf-pid="0PnGPRpXCY" dmcf-ptype="general"> <br> </div> <blockquote class="pretip_frm" contents-hash="0f5475d7e6e1445dd621d1d496b84d7fb26b82da7123d6c227937bbe507c5e94" dmcf-pid="pQLHQeUZSW" dmcf-ptype="pre"> ■ 프로그램명 : [출발 무등의 아침] <br> ■ 방송시간 : 08:30∼09:00 KBS광주 1R FM 90.5 MHz <br> ■ 진행 : 정길훈 앵커 <br> ■ 출연 :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 AI 융합학과장/슈퍼컴퓨팅센터장 <br> ■ 구성 : 정유라 작가 <br> ■ 기술 : 정상문 감독 <br> </blockquote> <div contents-hash="42962820a0d6b96db3b048c25d895c3528a74bfa89b32b352c8815185216ff5f" dmcf-pid="UxoXxdu5Wy" dmcf-ptype="general"> <br>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uMgZMJ71yT"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58XMlyaeT5"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58XMlyaeT5"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5f4LO8dTXB0?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91b80b2d01360f61e421efc98cfa23f69dba15916c22d2877b2c8985da1a91dc" dmcf-pid="7Ra5Riztyv" dmcf-ptype="general">▶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5f4LO8dTXB0</p> <p contents-hash="7fa09023b1ba243334bf2f394dbf117d84be2de2140f39ccd4c2c777e8f09875" dmcf-pid="zeN1enqFSS" dmcf-ptype="general">◇ 정길훈 (이하 정길훈): 정부가 어제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를 마감한 결과 삼성SDS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응모했습니다. 삼성 SDS 컨소시엄은 사업 예정지로 해남 솔라시도를 선택했다고 하는데요. AI컴퓨팅센터가 뭔지 또 AI 산업 생태계에 어떤 역할을 할지 전문가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 AI 융합학과 학과장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p> <p contents-hash="ec419e457e2ef8499c0b5384bfb8e3a71124d7894610072b9754c2d776a9a11a" dmcf-pid="qeN1enqFWl" dmcf-ptype="general">◆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 슈퍼컴퓨팅센터장 (이하 김종원): 안녕하십니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be17fc7117762082e426422af687b22645f1db2c10b4d2de8406fc640c726b5" dmcf-pid="BdjtdLB3l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3104ttfu.png" data-org-width="2622" dmcf-mid="WxexhTgRC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3104ttfu.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077fd5807b3b7efde0a151fb4cba749f72f09b53ff2dd5ddcdc66793e47ea06" dmcf-pid="bJAFJob0CC" dmcf-ptype="general"><br>◇ 정길훈: 먼저 이것부터 물어봐야 할 것 같아요. 인공지능 AI 관련해서 데이터센터 얘기도 나오고 이번엔 또 컴퓨팅센터 이야기 나오는데요. 데이터센터와 컴퓨팅센터 어떻게 개념이 다른 겁니까?</p> <p contents-hash="38e93648fc57431e4f62a3ee984f07f8eb6660b0e05ab66163d2b70e608e7e42" dmcf-pid="Kic3igKpSI" dmcf-ptype="general">◆ 김종원: 이렇게 말씀드리면 좋을 것 같아요. 인공지능을 하기 위해선 많은 GPU 장비가 필요하다.</p> <p contents-hash="3b3f356a6d0bdc753c4f4557f10f9cf81eafa3ed7410880b18978c38e22792df" dmcf-pid="9nk0na9UWO" dmcf-ptype="general">◇ 정길훈: GPU는 그래픽 처리 장치를 말하는 거죠?</p> <p contents-hash="ad4e4a9a16e1b8c5561b505f6633287b96147f9bfcd378303b20c81652f33e1c" dmcf-pid="2LEpLN2uhs" dmcf-ptype="general">◆ 김종원: 예. 이런 것들이 지금 수만 장 그런 급으로 필요한데 어떤 공간, 시설 이런 것을 갖춘 걸 저희가 데이터센터라고 부르게 됩니다. 그래서 시설이나 장비 위주의 관점에서 볼 때는 데이터센터가 될 것 같고요. 이 데이터센터를 가지고 그걸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AI 컴퓨팅을 위해서 활용할 것인지 그런 부분까지 조정하는, 단순하게 어떤 GPU의 제공보다는 그것을 넘어서 실제로 그것을 활용하는 부분까지 확장하는 그런 것에서 컴퓨팅센터의 역할이 확대된다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71c783d6f8e1479f5b949801c51c5df55ad4525d97ae8c7b2b4ed8aa4502e6c8" dmcf-pid="VoDUojV7vm" dmcf-ptype="general">◇ 정길훈: 컴퓨팅센터는 AI와 관련된 산업체라든지 학계라든지 또는 연구기관이라든지 이런 데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조성하게 된다고 이렇게 보면 되겠군요.</p> <p contents-hash="226d6484ee4cb47184ab020b33cc2c878ba8979bcadbab10cf8707dbaad0f8f4" dmcf-pid="fgwugAfzCr" dmcf-ptype="general">◆ 김종원: 그렇지요. 확대하는 것까지의 역할론이 단순한 제공이 아니라 어떤 장소나 GPU를 빌려 쓸 수도 있잖아요. 빌려 쓰는 것을 넘어서서 어떻게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도 계속 코디하면서 같이 진행하는 그런 센터 조직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21fd27396a4a0924e7b2a082a84fb16f811e66dff724fc578c3b37c41a15c472" dmcf-pid="4ar7ac4qvw" dmcf-ptype="general">◇ 정길훈: 어제 과기부가 이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를 마감했는데요. 결과를 보면 삼성SDS를 중심으로 해서 네이버나 카카오, KT 이런 대기업들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단독으로 응모했습니다. 사업 예정지로 해남 솔라시도를 선택했다고 하는데요. 왜 해남 솔라시도로 정했을까요?</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cb0588ee797299a3652913a816c24d9f44b79d470725f55898aaa8576740b5" dmcf-pid="8XUgXtrNC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남 솔라시도 조감도 (사진 출처: 전라남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4940vrhr.jpg" data-org-width="1700" dmcf-mid="YOEcFUCEC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4940vrh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남 솔라시도 조감도 (사진 출처: 전라남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27aae64f90751a55a4a414dc0693c89df93c04e7ea1c2da5464f7a84cbcc699" dmcf-pid="6ZuaZFmjSE" dmcf-ptype="general"><br>◆ 김종원: 데이터센터, 컴퓨팅센터는 기본적으로 어떤 공간에 시설을 넣고 해야 하는데 이런 센터들이 필요한 부분이 굉장히 확장성이 있고 키울 수 있는, 하나로 시작하지만 계속 다음 건물, 다음 건물 이렇게 지을 수 있는 그런 공간적인 부분의 확장성을 봐야 할 것 같고요. 또 어떤 부분이 있냐면 시설 입장에서 보면 가장 중요한 것이 전력과 냉각 지원, 이런 부분들입니다. 전력 부분에서 특히 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전력 공급 부분에 대한 유연성도 중요한 것 같고요. 그다음에 전력을 끌어오는 재생에너지만이 아니라 실제로 안정적인 전력과 함께 변전 설비가 같이 연결돼서 그것을 안정화하는 부분, 그리고 냉각 부분에서는 물을 중심으로 하는데요. 냉각을 할 수 있는 부분도 접근성이 좋아야 한다. 그런 것들이 전체적으로 고려됐다고 이렇게 봅니다.</p> <p contents-hash="ca5bcff78c62ef5c83609cb7006649bddec845d40bf9e8846309e75a86d7da15" dmcf-pid="P57N53sAyk" dmcf-ptype="general">◇ 정길훈: 전력과 용수가 풍부했던 게 선택된 이유라고 보시는군요.</p> <p contents-hash="0d915c639f00b14459ee7e81ae6cef716f8285e4f7ef9f149fdb21736069d3d6" dmcf-pid="Q1zj10OcTc" dmcf-ptype="general">◆ 김종원: 전력, 용수 그리고 공간 확장성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가 지금 생각하는 규모가 시설로 보면 (GPU)만 5천 장, 5만 장, 10만 장 계속하는데요. 전체적인 규모는 몇십만 장, 거의 100만 장까지 가는 그런 규모의 데이터센터들 이런 시설들을 합니다. 그런 것까지 확장하려면 계속 확장할 수 있는 부지, 해남 솔라시도에서는 20개 정도 규모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고려가 된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d8be467fe87bd0b29d07ef0abe15343c6e22a55d30168169ddd651f46e983fe2" dmcf-pid="xtqAtpIkvA" dmcf-ptype="general">◇ 정길훈: 사업비 규모가 2조 5천억 원에 달한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래서 광주를 포함해서 부산이라든지 포항이라든지 비수도권에 있는 자치단체들이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였는데요. 결국 삼성SDS 컨소시엄의 이번 결정을 보면 어떤 정치적, 정무적 판단보다는 상당히 경제적 논리에 의해서 선택한 것 같아요. 어떻게 보십니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1ff5e29cc528490f5c97aac0e65e58b201748a91c26438a98d306480e714908" dmcf-pid="yoDUojV7T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6299vtfv.jpg" data-org-width="640" dmcf-mid="GKNgXtrNT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6299vtf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c2579909506ea0ec5a47ce284243eff8b6ced030675365c7d3713a80c3b1ed" dmcf-pid="WgwugAfzSN" dmcf-ptype="general"><br>◆ 김종원: 네. 그렇지요. 전 세계적으로 보면 거대 AI데이터센터 구축을 주도하는 것이 아시겠지만 오픈AI, 스타게이트 이런 식의 예시를 보면 다 민간에서 주도하면서 끌고 가는 상황이 있습니다. 결국 민간의 굉장히 속도 유연성과 정부와 공공성을 잘 결합해서 접근해야 하는 거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민간에게 유연성을 줘서 그것을 끌고 갈 수 있어야 하고 앞으로 달려야 되고 전 세계적인 경쟁을 하는 그런 쪽의 측면에서 고려가 된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c9745e42b1aa9b1f7a25664204fb578b010c7fe3b5daa148163272d96cf3658c" dmcf-pid="Yar7ac4qSa" dmcf-ptype="general">◇ 정길훈: 그러면 국내 인공지능 산업 측면에서요. 이 국가AI컴퓨팅센터가 들어서게 될 경우에 AI 산업 생태계 조성에는 어떤 긍정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까?</p> <p contents-hash="bd7a8cdf97e1dc174ef45bc62b07f97b1c2ba6df9bdbebc1e7dc996f4fabbdcf" dmcf-pid="GJAFJob0Tg" dmcf-ptype="general">◆ 김종원: 산업 생태계 입장에서 어떤 민간과 공공이 같이 협력하는 구조에서는 중요한 것이 결국은 국가적인 입장에서 AI컴퓨팅 쪽에서는 추격해야 하는 상황이잖아요.</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e8d143e49d042fb885157fad9b5247edaa224c2a5dfbbfdd4bd486e6a9073b" dmcf-pid="Hic3igKpT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7585fske.jpg" data-org-width="640" dmcf-mid="HqQ6OlnQT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7585fsk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20690b70c6d93fd7ea8d8421eb1e37656ac835845d0128ed443bf609e6795f" dmcf-pid="Xnk0na9UyL" dmcf-ptype="general"><br>추격하는 부분에서는 저희가 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과 국가가 가지고 있는 공공성, 결국은 AI 컴퓨팅 인프라라든지 이런 것들은 모든 국토 전체를 결국은 AI가 서포트하는, 덮는 그런 역할이잖아요. 그렇게 되면 결국 국가가 하는 부분에서 그것들을 여러 가지 환경을 세팅해 주고 필요한 조정도 해주는 역할을 하고 민간에서 이익을 추구하면서 투자하고 확대할 수 있는 역할, 이 두 가지를 같이 갈 수 있게 만드는 그런 부분에서, 결국 어떤 거버넌스 입장에서 보면 그것들이 한 번에 연결되고 바로 실체적 액션을 할 수 있는 플레이어가 생겼다, 선수가 생겼다고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6eb5b40a94e3abb7abdcd9c8ed2a0e97502eca218c5ba0fdbcbea86d72a73e9e" dmcf-pid="ZLEpLN2uSn" dmcf-ptype="general">◇ 정길훈: 그런데 이 사업이 진행된 그동안 과정을 보면 과기부가 두 차례 이 사업을 공모했는데요. 어떻게 보면 민간 기업들 입장에서는 사업성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응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두 차례 유찰됐는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민간 기업 지분을 70% 확대하고 매수 청구권이라든지 그런 독소 조항도 삭제하지 않았습니까? 이 사업이 예정대로 잘 진행될까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p> <p contents-hash="5a200017aa57649cfcaee885b1dd0d8de5e5f90e607141ca68768d1dbb97fd68" dmcf-pid="5oDUojV7Wi" dmcf-ptype="general">◆ 김종원: 사업성 관련해서 두 번 이런 걸 겪고 세 번째 공모한 거잖아요. 그런 만큼 여러 가지 상황을 많이 정리한 것 같고요. 그렇지만 항상 민간이 원하는 가장 이상적인 환경과 공공이 원하는 형평성, 그런 것들에 대한 의견이 조금 달라서요. 그런 걸 잘 조화하면서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 지원한 컨소시엄이 국내의 이런 활동을 주도하려고 하는 기관들이나 기업들이 많이 참여했기 때문에 잘해 나갈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p> <p contents-hash="a512744ed02e7c77231afa0a913064eea1bdbc518a4aaca76da3e0bc4b1b7074" dmcf-pid="1gwugAfzlJ" dmcf-ptype="general">◇ 정길훈: 정부 설명을 보면 단독 응모한 컨소시엄 상대로 해서 연말까지 심사할 것이라고 해요. 그래서 우선 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고 내년에 특수목적 법인이지요. SPC 설립한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심사에서 어떤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까?</p> <p contents-hash="4c04746bdc07c552958d53979fe8e7428078d855dff1503dfe231fe311b272e3" dmcf-pid="tar7ac4qyd" dmcf-ptype="general">◆ 김종원: 그런 부분들은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어떤 제안을 했을 때 제안서 평가하는 분들이 이런 조건에서 어떤 특정 지역 선정에 대한 우려가 많이 표명된다면 그것에 대해 더 좋은 후보지가 있으면 조정할 수 있는 이런 힘을 가지고 있으면 좋겠지만 그렇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저희가 하는, 모든 이런 경쟁 방식을 할 때 제안자의 어떤 의견 부분을 최대한 존중해 주는 그런 방향으로 심사가 되지, 물론 적격한지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검토하고 결정할 것으로 봅니다.</p> <p contents-hash="2e71c9429af7988e1c0ac1a3d38d00424c9111ceed2dcb2466c9b9988725db30" dmcf-pid="FNmzNk8Bhe" dmcf-ptype="general">◇ 정길훈: 이번에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가 있었지만, 이달 초에는 또 오픈 AI, 챗지피티 만든 회사지요. 오픈 AI가 SK와 함께 전남에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고 하지 않았습니까? 전남 입장에서 보면 민간 AI데이터센터와 국가AI컴퓨팅센터 두 시설의 어떤 시너지가 발휘될 것으로 기대하십니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92337ddbbc80900d37e5c88edc6ebb995f61a8482e568646d7cce60970ba4e" dmcf-pid="3jsqjE6bl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8884icqu.jpg" data-org-width="640" dmcf-mid="XFHXxdu5v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558884icq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30bc1f3e700bbf80c8c1e9fa1f2c2cbe8e7bf30eb823c24cc41e0782281542d" dmcf-pid="0cIbcwQ9WM" dmcf-ptype="general"><br>◆ 김종원: 전체적으로는, 클러스터링이라는 단어를 쓸게요. 결국 모든 일이 모여서 어떤 판을 벌인다고 그럴 때 더 활성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잖아요. 상가들도 식당들도 다 모이는 그런 식으로 논리를 보면 데이터센터 문제도 똑같이 어떤 인프라를 갖다가 세팅할 때 하나를 위한 것이 아니라 2개, 3개, 10개, 20개 이렇게 그것들을 확장할 때 여러 가지 면으로 유리할 수 있는 거거든요. 그래서 클러스터링은 당연히 되고 그것이 제대로만 된다면 시너지 효과는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민간 주도와 협력 모델에 대한 부분이 어떤 식으로 상생 효과를 낼지 그것은 조금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일부 경쟁, 아주 부분적인 경쟁은 하겠지만 그것은 훨씬 더 자극제가 되는 역할이 아닐지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p> <p contents-hash="735316047b04197b770f54c35e7fd66d9594e16f43083e7d83d7dbd496971f8f" dmcf-pid="pkCKkrx2vx" dmcf-ptype="general">◇ 정길훈: 교수님 말씀하신 클러스터, 그건 이제 집적단지일 텐데요. AI 집적단지가 조성되면, 어차피 전남이 AI 집적단지로 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가 모두에 이야기했던 재생 에너지가 풍부한 것, 그래서 전남 입장에서 보면 해남 솔라시도를 에너지 신도시 비슷하게 이렇게 조성하려는 것 같은데요. 그런 전라남도의 기대를 어떻게 보십니까?</p> <p contents-hash="3fffd924a7477f6cfff914a44c014d4d6a5097c9b44ec29bb11b8c1c7ad158e6" dmcf-pid="UEh9EmMVyQ" dmcf-ptype="general">◆ 김종원: 에너지와 환경 입장에서 데이터센터라는 부분의 시설을 갖춰 그것을 확대하고 그것을 통해서 산업 경쟁력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역할이 될 것인데요. 그런데 데이터센터 부분이 많이들 이야기하지만, 직접적으로 어떤 대규모 고용을 하는 그런 시설은 아니거든요. 굉장히 자동화되고 운영되는, 그래야지만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시설이기 때문에, 물론 그걸 기반으로 해서 다양한 부가 산업, 그러니까 보면 제철소가 하나 있으면 제철소 연관 업체들이 다 단지를 이루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부분적인 효과는 있는데, 데이터센터는 위치적인 유연성이 조금 좋습니다. 국제적으로 어디 있어도 저희가 쓸 수 있는 거잖아요. 그런 부분에서 연결해서 본다면 광주와 전남이 어떤 관계가 되면 좋을지 여기까지 저희가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런 모습이 될 것 같아요. 전남에서는 결국 이 컴퓨팅센터라는 게 결국 시설적인 입장이라 그걸 활용할 수 있는 모델을 찾는 거고요. 광주는 계속 준비해 왔던 것들, 이야기했듯이 AX 실증밸리, 결국은 도시가 실험실이 돼서 AI가 정말 현장에 활용될 수 있게 하는 그런 거잖아요. 그런 부분에서는 전남이 할 수 있는 역할은 아닌 것 같거든요. 결국은 어떤 도시를 가지고 도시에 있는 공장들 그다음에 다양한 모빌리티 이동 수단들, 이것들을 결국은 지원하는 역할이 돼서요.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광주가 결국은 실제로 그것들을 실제로 쓰는 모습에서는 실증하고 선도하고 후방에서 전남에 있는 데이터센터, 컴퓨팅센터 시설들이 같이 연합해서 지원하는 그런 전체적인 모습에서 상황을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319568591612e955d8a92b56c8606b4916d62763210e654abca3b849a702a666" dmcf-pid="uDl2DsRfvP" dmcf-ptype="general">◇ 정길훈: 교수님이 AI 산업 관련해서 광주와 전남의 어떤 협력 방안에 관해서 이야기하셨는데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물어볼게요. 지금 광주 같은 경우에 국가의 AI 컴퓨팅 센터 유치를 위해서 총력을 기울여 왔지 않습니까? 공모 마감일인 어제도 광주광역시장, 국회의원, 시의원, 구청장, 시민사회단체 할 것 없이 성명서가 잇따라 나왔었는데 유치 실패하면서 지금 상당히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예요. 하지만 어차피 또 AI 중심 도시를 광주광역시가 표방하고 있으니까 어떤 식으로든 AI 산업의 활로를 뚫어야 할 텐데요. 직접적으로 '이걸 좀 신경 써라' 이렇게 조언하신다면 어떤 점을 조언하시겠습니까?</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7406b19497eb9a5cd8b8b1b2d1313c817ee29d5791c721106b5de1f4d0a5f2a" dmcf-pid="7wSVwOe4C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600226ucop.jpg" data-org-width="640" dmcf-mid="Z1Z5Rizty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22/kbs/20251022111600226uco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f6ca6d44ba59314d7ed867d17140cb53f0158e215c819d0f20812bdf2bcfa7c" dmcf-pid="zrvfrId8C8" dmcf-ptype="general"><br>◆ 김종원: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결국은 어떤 설비들, 컴퓨팅센터도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잖아요. 그런데 활용한다는 측면에서는, 결국 실증이라는 단어는 누가 더 잘 활용하고 누가 더 많은 인공지능을 키울 수 있느냐는 거거든요. 다양하고 특화된 분야의 데이터를 준비해서 그것이 더 잘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축적된 데이터를 가지고 이렇게 활용한다고 말씀드릴게요. 그래서 그걸 누가 많이 가지고 있고 그것을 통해서 데이터가 점점 확대되고 이 좋은 데이터가 다시 인공지능 모델한테 돌아가게 할 수 있는 부분이거든요. 이 부분에 대해서 결국은 광주가 잘하고 리딩하고 있는, 그동안 준비했던 게 집적 단지가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에너지 헬스케어, 모빌리티 이런 분야들에 대해서 한 것이잖아요. 그것을 끌고 나가서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4b57eab2e6ebf941cea606403455d7b49efb4440aa78e28a172e792fb33ace22" dmcf-pid="qmT4mCJ6C4" dmcf-ptype="general">◇ 정길훈: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감사합니다.</p> <p contents-hash="105bd399ef9dd809a932bfa3463fccc76f66e40f813d696d02ee5eceb32958d3" dmcf-pid="Bsy8shiPvf" dmcf-ptype="general">◆ 김종원: 감사합니다.</p> <p contents-hash="efaf62f6439308d2ee74be0df66bba4b4266ca3c8e72688dd5b113f12af3337c" dmcf-pid="bNmzNk8ByV" dmcf-ptype="general">◇ 정길훈: 지금까지 김종원 광주과학기술원 AI융합학과 학과장이었습니다.</p> <p contents-hash="53d32b053381b82b2c9f58ef02a988e761db3c7654f2af19f4678ee130a0f14c" dmcf-pid="KjsqjE6bh2" dmcf-ptype="general">정길훈 기자 (skynsky@kbs.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