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토토사이트
신규사이트
업체홍보/구인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스포츠분석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업체
카지노
토토
홀덤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연예뉴스]
'화자의 스칼렛' 김시은, 충무로가 주목한 신예의 감각적인 연기
N
[연예뉴스]
가수 마션&늑우∙Allroot∙LONA, 10월 1주 차 위클리 키트앨범 스포트라이트 선정! 독보적인 색채로 그린 감정선!
N
[연예뉴스]
은지원, 13년만 재혼에 긴장 "결혼식 당일 돼봐야..♥9세 연하 신부 꼭 와주길" ('살림남')
N
[연예뉴스]
'13년만 재혼' 은지원, 예비신랑 한가위 소원…"신부가 결혼식에 나타나주길" ('살림남')
N
[연예뉴스]
'전참시' 이영자, 대파 100kg 요리 가맥집 오픈…알바생 풍자 경악 [TV캡처]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소버린AI의 원조는 바로 세종대왕입니다 [전자만사]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2
2025-10-04 22:47:28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세종대왕이 한글 만든 이유는<br>백성들이 뜻 펼치게 하기 위함<br>소버린AI로 AI생태계 구축해야<br>가장 중요한 인재 데려오려면<br>‘애국’과 ‘창업’이라는 꿈이 필요<br>스타트업 실패해도 경험은 남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AnZoRWAT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fdd6ccdb782fb3b3d9a43f21f62e330a9ca37dd83d98ffb26a0acb122e7329" dmcf-pid="tcL5geYcy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종대왕께서 만든 것은 소버린 문자였습니다. <구글 제미나이로 생성한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6608dsry.jpg" data-org-width="700" dmcf-mid="GUiJ1Wxpy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6608dsr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종대왕께서 만든 것은 소버린 문자였습니다. <구글 제미나이로 생성한 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1e46e216aa5842ff9cdf3fe5e4d5ad96dc268e456fa16f387212943cb4d548e" dmcf-pid="Fko1adGky0" dmcf-ptype="general"> 챗GPT로 유명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최고경영자)가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이 대통령을 만나기 전 오픈AI CEO는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만났구요. 그리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를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div> <p contents-hash="2f9a6c335d6aa925c5b97830957888382e6800055853a7ef0cf9b1c4df88b64a" dmcf-pid="3EgtNJHEh3" dmcf-ptype="general">그런데 이 자리에서 샘 올트먼 오픈AI는 이렇게 말합니다.</p> <p contents-hash="8395ec5759c0ac841555c97474249473acfc03d86e5171ff4e9b62ff63c607ff" dmcf-pid="0DaFjiXDhF" dmcf-ptype="general"><strong>“한국은 세계 어느 국가도 갖추지 못한 산업 기반을 갖고 있다. 소버린 AI(정부 주도 AI)의 목표를 같이 지원할 수 있길 바란다”</strong>고 말합니다.</p> <p contents-hash="f075f8ffb72566726dfe4d6d181b481359fabbfb3c9edf526cf08e0019a68f34" dmcf-pid="pwN3AnZwSt" dmcf-ptype="general">대체 소버린 AI가 뭔데 샘 올트먼이 이를 언급한 걸까요? 소버린 AI는 지금 전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AI 키워드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p> <p contents-hash="047008f63cb0875aa0ec6f4bbe02ab58db43b3700f5a44d09496ec86ccb88234" dmcf-pid="Urj0cL5rT1" dmcf-ptype="general">샘 올트먼이 소버린AI를 얘기한 것이 의미있는 이유는, 사실 그가 <strong>소버린AI라는 흐름을 만들어내는데 일조한 원인 제공자</strong>이기 때문입니다. 그가 만든 미국 중심의 AI가 아닌 우리나라의 AI를 만들자는 것이 소버린AI의 시작이죠.</p> <p contents-hash="c96e98e77e7aa59121a78058fa385c2864b4f344820d0edfb5c0138b14cf894a" dmcf-pid="umApko1mh5" dmcf-ptype="general">2022년 11월 오픈AI가 공개한 챗GPT가 전세계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만들었고, 이를 계기로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하는 AI가 빠르게 사람들의 생활에 스며들었기 때문입니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께서도 챗GPT, 제미나이 등을 사용하고 계실 것 같은데요.</p> <p contents-hash="63eb7d66dfb7639f9a8fde845862a115bc1cc763b0bbf775d77ac28047b2b72a" dmcf-pid="7scUEgtsyZ" dmcf-ptype="general">인간처럼 대화할 수 있는 이 LLM은 텍스트를 넘어 음성으로 대화를 하고, 이미지를 그리고, 동영상을 만들기도 합니다. 앞으로 로봇에 들어가 스타워즈에 나오는 R2D2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도 곧 나올 것이라고 사람들은 믿고 있습니다.</p> <div contents-hash="7eacd3615aaa538b0cc4bac6a9427185ecb9cd46e67d22f183f686ee05fafd2d" dmcf-pid="zpZJ1WxphX" dmcf-ptype="general"> <div> <strong>AI가 전기라면?</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741c4b097989fedcf77773ebb6e65120814e3746f6340e4611abdcdcae078af" dmcf-pid="qU5itYMUl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소버린AI가 얼마나 중요하냐면 ETF까지 나왔습니다. 광고아닙니다. <하나자산운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7868rhbs.png" data-org-width="524" dmcf-mid="HsXHnxTNl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7868rhbs.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소버린AI가 얼마나 중요하냐면 ETF까지 나왔습니다. 광고아닙니다. <하나자산운용>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b7e0842470744fc8e26c0c5445fe79e454cad9c7e1e775ae27208a81602c04c" dmcf-pid="Bu1nFGRuCG" dmcf-ptype="general"> 그런데 언어와 이미지를 다루는 LLM은 학습한 데이터에 따라 결과물을 내놓는데 이것이 사용자의 국가관과 충돌하기도 합니다. 학습한 데이터에 따라 결과가 나온 것일 뿐인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쁜 것이죠. 예를 들어 <strong>‘독도는 누구 땅?’이라고 물어보면 한국인들이 선호할만한 대답이 나오는데, 동일한 내용을 ‘다케시마는 누구 땅?’이라고 일본어로 물어보면 아무 의견도 밝히지 않는 답</strong>이 나옵니다. 이건 일본인들이 원하는 답이죠. </div> <p contents-hash="f9693edc096fb46787679c9743bd21bca548a9ccd7615e581d569ac928d48bb8" dmcf-pid="b7tL3He7vY" dmcf-ptype="general">챗GPT나 제미나이는 영어로 된 데이터들을 학습하기 때문에 당연히 미국이나 서방 사람들의 생각이 거기에 담겨있습니다. 반대로 중국에서 만든 AI는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역사관과 사고 방식이 담겨져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 것 자체도 이를 학습 시킨 사람들이 어떤 국가에 속해있는지에 따라서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c9b3f32ce7ea60b33120e6a4ae6e269e8f62546c70347ec7a60e19baa45d1ee1" dmcf-pid="KzFo0XdzTW" dmcf-ptype="general">그런데 이것이 큰 문제일까요? 역사관이나 사상은 우리가 AI를 쓰는 일의 매우 일부에 불과합니다. AI와 역사토론을 하지 않는 이상 크게 중요한 문제는 아니죠. 만약 역사관이나 국가의 정서를 AI에게 교육시키는 것이 소버린AI라면 아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808ae9e53594de01f982041ddc6a89cef5f76fd336f6ead693416ab66e7d19fe" dmcf-pid="9q3gpZJqWy" dmcf-ptype="general">더 중요한 것은 이 AI를 자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느냐의 문제에 달려있습니다.</p> <p contents-hash="5c9c3adcacd80613e9cc3aa4ff21ce5d9597e99755327f0db409ddad0f979cb4" dmcf-pid="2B0aU5iBTT" dmcf-ptype="general">저는 AI를 전기에 비유를 많이 하는데요. <strong>AI데이터센터라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같은 것이 AI 입니다.</strong> 그런데 이 발전소가 한국에는 한 곳도 없고, 해외에만 있어서 이 전기를 항상 수입해서 사와야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한국에 사는 사람들은 마음이 편할까요? 불편할까요?</p> <p contents-hash="565c33c2e00a93f82c43eadddb1651b6a215292c9339527dd777519418fc95f2" dmcf-pid="VbpNu1nbSv" dmcf-ptype="general">이 전기가 “독도는 일본땅이야!”라고 말하는 것과는 비교하기 어려운 불편함입니다.</p> <p contents-hash="b8b068abf248c0810aa6e6df4e51b357776d7049998da5c9fa03219e6ba41814" dmcf-pid="fKUj7tLKWS" dmcf-ptype="general">이번에는 발전기를 만드는 회사와 거기에 들어가는 부품이 모두 외국산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수입해서 사다쓰면 되니까 괜찮지만, 전쟁이라도 나면 어쩌지? 라는 상상은 누구나 해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부기관이나 군대같은 곳이라면 적국의 스파이를 막기 위해서라도 국산 제품을 사용하려고 할 것 같습니다.</p> <p contents-hash="8a808895b8db210318623a3627bb49b7415495e44b0159839a698c36bc27d930" dmcf-pid="49uAzFo9hl"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우리가 전기를 만들어야하는데, 발전기를 돌리는 방법을 아무도 몰라서 그 사람들을 해외에서 모셔와야하면 어떨까요? 돌리는 방법은 누군가 알아도, 발전기의 원리를 이해하는 엔지니어가 한국에 하나도 없다고 하면 어떨까요?</p> <div contents-hash="42aa247cbe53813141062c6c3cb6b514d5acc499f58e32522f71b63c7b480e7f" dmcf-pid="83HeZTP3Ch" dmcf-ptype="general"> <div> <strong>어떻게 AI 인재를 육성할 수 있을까</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32440505738992ce011b388e9ed924ccc7624321f88c306230a87a93160044" dmcf-pid="60Xd5yQ0v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갑자기 일본어로 된 그림을 그려준 챗GPT 입니다. <챗GPT로 생성>"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9105xluy.jpg" data-org-width="500" dmcf-mid="XDXHnxTNT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09105xlu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갑자기 일본어로 된 그림을 그려준 챗GPT 입니다. <챗GPT로 생성>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aef9368a220e4b0552f5b1cab2104672e6225088b0266cbb5746c344b99b650" dmcf-pid="PpZJ1WxpWI" dmcf-ptype="general"> 무식한 비유이지만 이렇게 보면, 한국에 AI 데이터센터가 있어야합니다. 또, AI데이터센터를 구축할 수 있는 역량이 한국에 있어야합니다. 사실 한국 기업이 모든 걸 할 수는 없고, 모든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AI가 전기만큼 중요한 것이라면, AI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반도체부터, 서버, 전력장치, 냉각장치까지 모든 것들을 한국에서 생산 가능해야합니다. </div> <p contents-hash="9a8e45f2c1368ab6a55f096e444eed542293d19c2682932d373edecf13a0dacf" dmcf-pid="QU5itYMUyO" dmcf-ptype="general">인프라 뿐만이 아니라 이런 AI인프라에서 일할 전문가와 엔지니어들이 있어야합니다. AI모델을 만들줄 아는 사람, AI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만들줄 아는 사람 등등 말이죠. 그런데 사람을 데려오고 육성하는 것이 사실 제일 어려운 부분입니다.</p> <p contents-hash="8e3658acca85d12be4e8d814cd44d4d40fc6e039f47b9c05bff3c8db2b7a63df" dmcf-pid="xu1nFGRuCs" dmcf-ptype="general">지금의 AI, LLM이라고 하는 것은 사실상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만들어진 기술입니다. 처음에는 미국 대학에서 연구되던 기술이 구글의 손에 의해 상업화가 됐고, 오픈AI, 아마존, 메타 같은 회사들이 뛰어들어 이들의 주도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관련 기업들이 하드웨어를 제공하고 있고, 세계 3대 클라우드회사(=전기회사)들에 의해 전세계에 서비스 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이 그들이죠.</p> <p contents-hash="3a229213f82ef662d890dec8872e782b0fe540613e3e177459272813ab237c9f" dmcf-pid="ycL5geYclm" dmcf-ptype="general">앞서 말씀드린 발전소를 가지고 전기를 서비스하는 한국전력 같은 큰 회사가 3개 있는데 이 회사들이 전세계 전기(AI)의 50%를 공급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f28c62ae6c70b81681cc2e70d48bdd2f92e87fcd802d9b0dabb0bd8610c1cfc8" dmcf-pid="Wko1adGkyr" dmcf-ptype="general">중국은 미국의 이런 AI 생태계를 그대로 따라해서 미국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습니다. 이제 AI라는 전기는 사실상 오직 두 국가에서 만들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여러분은 중국산 전기와 미국산 전기 중 어느것을 쓰시겠습니까?)</p> <p contents-hash="5c4fb5e5c08ed244207d1ee98399cc0c7f21955583f9e9c6e6a0ce28c4cd1aa7" dmcf-pid="YEgtNJHESw" dmcf-ptype="general">이런 점에서 한국은 AI 관련된 인재들을 데려오기가 어렵습니다. 미국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미국의 유능한 사람들을 데려와야하는데, 이 사람들은 굳이 한국에 올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p> <div contents-hash="154868110215dca44af8945a7734b896dc084bbd790e9449dc96a6d8f610a1ab" dmcf-pid="GDaFjiXDvD" dmcf-ptype="general"> <div> <strong>사업보국은 창업가들의 꿈이다</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38cd41f644dc85bc06f1798d4b6c1f30f064ee907dc4dc5857ebb226448974" dmcf-pid="HwN3AnZwv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테크트리를 잘 타야 국가가 번영할 수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10372zbqx.png" data-org-width="600" dmcf-mid="Zj7cq3g2S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10372zbqx.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테크트리를 잘 타야 국가가 번영할 수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38302ece2cbfe45e88e93b8aa6c0da125610db11d039aae21ba8dd341e3f8c46" dmcf-pid="Xrj0cL5rTk" dmcf-ptype="general"> 이런 인재들을 데려오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strong>첫번째는 미국 AI 기업들이 한국에 진출해서 한국사람들을 뽑고 교육시키는 것이죠. </strong>그러다보면 이 사람이 뛰어난 인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div> <p contents-hash="5894cf5e8759ba5c9bac0ad80ef859a386e768ed38bc08a463969a8fadb45b3e" dmcf-pid="ZWCVlrBWlc" dmcf-ptype="general"><strong>두번째는 실리콘밸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꿈’을 불어넣어 데려오는 것이죠. </strong>이른바 ‘국뽕’입니다. “한국의 오픈AI를 만들어 보지 않겠니?” “한국의 엔비디아를 만들어 보지 않겠니?”와 같은 것입니다. 가능성이 보이는 사람에게 벤처투자를 하고, ‘창업자’라고 치켜세워주고, 이들이 성공을 위해 열심히 뛰도록 열심히 지원해주는 것입니다. 성공할까요? 99.9%는 실패하게 될 겁니다.</p> <p contents-hash="d0a6fc768921f6e3588d2790f478a8f77ed8f50f6febafca932cd3cc05b7e11f" dmcf-pid="5YhfSmbYyA" dmcf-ptype="general">그래도 이 과정에서 남는 것은 있습니다. 발전기를 만들어보고, 작동시켜보고, 원리를 이해하는 사람이 남는다는 것입니다. 이 사람들은 다시 대기업에 갈수도 있고, 미국 기업으로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운 좋게 다음번에 AI가 아닌 다른 새로운 기술적인 흐름이 만들어지면 이 사람이 배웠던 기술과 이를 계기로 만들어진 생태계가 기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346e288c3dad4c9cfebfa298da830a954984e9b9ec064c12ac7c6a6602afd719" dmcf-pid="1Gl4vsKGSj" dmcf-ptype="general">한국에서 AI가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많은 분들이 클라우드 업체가 없어서라고 말합니다. 클라우드도 전기를 비유로 말씀드리자면, <strong>클라우드가 생기기 전에는 집에다가 소형 발전기를 뒀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어느날 깨닫게 됐습니다. 발전기는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큰 규모로 짓고, 큰 기업이 생산한 전력을 사용량에 비례해서 돈을 지불 하는 것이 낫겠다고 말이죠. </strong>그런데 한국 기업들은 여전히 집 안에 발전기를 둔 곳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큰 클라우드 회사도 없고, 아까 말씀드린 3대 클라우드 회사들의 영향력이 큽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같은 한국 클라우드 업체들이 지금보다 훨씬 컸다면, 한국의 AI 발전속도는 지금보다 더 빨라졌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면 지금 AI 개발 속도가 빠른 이유 중 하나는 미국과 중국의 클라우드 회사들이 엄청난 돈을 AI 연구에 쏟아붓고 있기 때문입니다.</p> <p contents-hash="b97c254c71516f08bd97ed6804a1eca73aa6d0c25b1e1996f8fad7cd802dcb02" dmcf-pid="tHS8TO9HWN" dmcf-ptype="general"><strong>기술의 세계는 이른바 ‘테크 트리’를 타기 때문에 이전 세대의 기술을 갖지 못하면 영영 뒤쳐집니다.</strong> 그렇기 때문에 AI 인재들을 한국으로 데려와야합니다. ‘스타트업’을 통해서 우수한 인재들이 한국에 들어오게 만들어야합니다. 단순히 AI모델에만 국한할 것이 아니라 반도체부터 서버까지 국산화를 시도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이 모든 것이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되기 때문이죠.</p> <div contents-hash="9a26eab26a322011334c61e0cf2e672e9f952c67e5fb0c5b38c350a6f40910b4" dmcf-pid="FXv6yI2Xla" dmcf-ptype="general"> <div> <strong>AI시대 세종에게서 얻는 교훈</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59558ac02d9e9dacd5516280ab1cf12588d429b5f24c35d433bfe9ea9769bd3" dmcf-pid="3ZTPWCVZT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0월9일은 한글날입니다. <출처=세종문화회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11684druf.png" data-org-width="500" dmcf-mid="5yUj7tLKC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10/04/mk/20251004223911684dru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0월9일은 한글날입니다. <출처=세종문화회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b6db24c7c7bf2226f499a943d8e62f8316b2420ac7b68ad3b4015fef5edd3be" dmcf-pid="05yQYhf5To" dmcf-ptype="general"> 한국인들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 하나인 세종대왕 께서는 한글을 창제하면서 이런 말씀을 하셨죠. </div> <div contents-hash="6fb632cd939a7817b35dcdc429604efbc5c53f55f7a47d795b06566a5d30d63f" dmcf-pid="p1WxGl41CL" dmcf-ptype="general">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문(문자)과 서로 통하지 않으니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div> <p contents-hash="5420f48b5dbbbc77f9eb9b33231bebd79ef9d84f45b5a7631362e5d2407033ec" dmcf-pid="UtYMHS8thn" dmcf-ptype="general">수많은 유학자들의 상소와 반대를 무릅쓰고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만드신 것은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는 아닐 겁니다. <strong>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뜻을 능히 펴지 못하기 때문에 만드신 것이죠.</strong> 만약 우리가 이때 한글을 만들지 않았다면, K팝도 케데헌도 나오지 않았을 겁니다.</p> <p contents-hash="77c18072e1a80f0a30a5b29d77cde6de3fa1cf83a2b9fd967d27bc3c8fff92ca" dmcf-pid="uFGRXv6FWi" dmcf-ptype="general">AI가 그렇게 중요한 것이라면 사람들이 한국에서 뜻을 펼칠수 있는 기회를 줘야합니다. 그 기회라는 것은 곧 개방적이면서도 독립적인 AI생태계와 경제를 말합니다. 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소버린 AI가 아닐까요?</p> <p contents-hash="c91002ecddd4f6c9cb775e4de08c68284a6c458760f2f790283301fbf2180cd9" dmcf-pid="7ZTPWCVZTJ" dmcf-ptype="general">[이덕주 기자]</p> <div contents-hash="6f9bab0c508c46c85add5ba24f56f7d3b6bf5c2c43f54bed7eb3427e870546ef" dmcf-pid="z5yQYhf5ld" dmcf-ptype="general"> 전자만사는 반도체부터 시작해 스마트폰, TV, AI를 작동시키는 데이터센터까지 전자산업의 모든 이슈를 쉽고 가볍게 다룹니다. 매주 금요일 오후 격주로 연재됩니다.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