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
김건희 '뇌물혐의' 특검조사 4시간반만에 종료…金 진술거부(종합)
N
[]
"트럼프, 아랍 정상들에 가자 전후 안 제시…서안 합병 반대"(종합)
N
[IT뉴스]
네이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품다… 디지털 금융 지각변동 예고
N
[연예뉴스]
“김고은에 미안”...‘은중과 상연’ 박지현 눈물로 전한 진심[인터뷰]
N
[스포츠뉴스]
광양서만 치렀던 전남드래곤즈 프로축구 순천서 27일 첫 경기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데스크가 만났습니다]권이균 지질연 원장 “발전한 지질연과 13년만 재회...AI 기반 다질 것”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3
2025-09-25 14:07:31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ZvKhuUlw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89a83688f8368db040c89b2abd27b78b3ed98b6825964b9de4f3dfd6bf97017" dmcf-pid="WtWVvqzTw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6025pjcn.jpg" data-org-width="700" dmcf-mid="82pkKgo9I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6025pjc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f912a6b527f46c4d69f0a4d4a6dc4d7f61a0fd9359a6267f72231c86ce06970" dmcf-pid="YFYfTBqyEN" dmcf-ptype="general">대학 강단에 서며 13년 전 기관을 떠난 책임연구원이 원장이 돼 친정 복귀했다. 지난 5월 취임한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이다.</p> <p contents-hash="6f975d667c06f6f90396643a7c1d4679ac23ead57a793bca041459280cc5ea1c" dmcf-pid="G3G4ybBWsa" dmcf-ptype="general">'이별 기간'이 짧지 않아 부담이 적지 않다고 했다. 더욱이 지질연이 다루는 기후, 에너지, 자원, 환경 등 분야는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여름 휴가까지 못 갈 만큼 바쁜 나날을 보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c041c79eb0416fc3a0167215b8015ba138a9cc1aa724cc68f0bd810f85145245" dmcf-pid="H0H8WKbYmg" dmcf-ptype="general">하지만 권 원장은 다시금 기관을 알아갈수록 자신감도 샘솟는다고 했다. 근거는 그간 기관의 발전상이다. 재회한 지질연은 인적자원 역시 이전보다 월등하고 탐해3호를 비롯한 인프라를 일신, 연구의 '기초체력'을 충실히 키웠다. 그동안 축적해 온 기관의 정보 역시 현재 인공지능(AI)이 중심이 된 시대를 헤쳐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ddbc6cb3adc8f1bd6537d3a26d7d383dd2d6dd46024ba08cf4f6e03b6f6314cd" dmcf-pid="XpX6Y9KGIo" dmcf-ptype="general">이들 품질 높은 자원을 무기로 벼려내 자원개발, 국민안전 등 기관 미션에 대응하는 권 원장의 복안을 들어봤다.</p> <p contents-hash="94eeafce1f9b6158a9a9f22973396221477a79d3f099db252fbef8ad6c116d1d" dmcf-pid="ZUZPG29HIL" dmcf-ptype="general">대담=이호준 전국부 부국장<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1f905e3d033e3d94d98d241d996e60ae573a6cbc27ec3d09d316ae5985663c6" dmcf-pid="5u5QHV2Xm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오른쪽)이 이호준 전국부 부국장과 인터뷰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7296plxl.jpg" data-org-width="700" dmcf-mid="6I9CQwDxs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7296plx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오른쪽)이 이호준 전국부 부국장과 인터뷰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c6aece37f352538780d3a8eacb33959a56786a06b7d14518c7c0d67839daae6" dmcf-pid="171xXfVZmi" dmcf-ptype="general">-오랜만에 지질연으로 돌아왔다. 소감이 남다를 듯하다.</p> <p contents-hash="475b90d8555f1b7d67b515bd970c2b8160f3719f7fb59134b138b0be008182e0" dmcf-pid="tztMZ4f5rJ" dmcf-ptype="general">▲부담감이 먼저 다가왔다. 지질연을 떠나 13년간 대학에 있었다. 지근거리에서 협력연구·공동연구를 지속해왔는데, 내부 현안을 세세하게 이해 못 한 것이 사실이다.</p> <p contents-hash="a2823d81cc6d66f2d4e82bdf311ed82f24e6f75f0d842d9c40d822be09178438" dmcf-pid="FqFR5841md" dmcf-ptype="general">기관 운영도 부담이다. 지질연은 500여명 정규직과 2000억 규모 예산을 갖춘 지질 분야 대표, 유일한 연구기관이다. 사회가 연구기관에 요구하는 기대 역시 과거보다 훨씬 높아졌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야 한다는 압력이 커졌다.</p> <p contents-hash="2b8464df9b9ff338fc548209d4d5d281f02f7b30e319558ac00c05e0c4387881" dmcf-pid="3B3e168tDe" dmcf-ptype="general">'한국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추진단'을 이끈 경험이 있긴 한데, 규모가 지질연에 비할 바가 아니다. 경험 부족을 메울 방법을 계속 고민 중이다.</p> <p contents-hash="08dadcff74ad3dcbbfc44aef8e26074c4cc4109a1d2deedb0d16657d02b4dae5" dmcf-pid="0b0dtP6FER" dmcf-ptype="general">그래도 13년 사이 기관 변화가 매우 긍정적이어서 도움이 된다. 13년 동안 인원의 3분의 1이 바뀌었는데, 신입 연구원 수준이 과거보다 월등하다. '지질연 발전에 가장 큰 힘이 되겠다' 싶어 앞으로 기관 운영에 자신감을 갖게 됐다. 또 기관의 기초체력이라 할 수 있는 장비·인프라 선진화 부분도 커 자신감이 더해졌다.</p> <p contents-hash="416c60381a735ab5a3cb62a28ea2f51d148fe0797fc486909d86ca309f92e056" dmcf-pid="pCEtAGYcIM" dmcf-ptype="general">-재회한 선배·동료·후배들이 전해온 의견이 있을 텐데.</p> <p contents-hash="663a0e2e228b1f677f52045e954652a4a3708914f8280b6b3d94d477c2a7930c" dmcf-pid="UhDFcHGkDx" dmcf-ptype="general">▲여러 채널로 좋은 의견을 전해왔다. 가장 주된 것은 분위기를 보다 활발하게 만들어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아무래도 젊은 원장인 만큼 '파이팅' 넘치게, 패기 있게 기관을 이끌어가 달라는 요청·요구가 제일 뜻깊게 다가왔다.</p> <p contents-hash="52ca2771bee663aba48bccdd80bbff3929567a9feaeab86b58055fcc5569a301" dmcf-pid="ulw3kXHEEQ" dmcf-ptype="general">-취임 초기 조직개편에 힘을 쏟았다.</p> <p contents-hash="c51b70c37ec4990f35fc1db4ff73163833ef772bf6afcee69edb7ea00c9c2f57" dmcf-pid="7Sr0EZXDEP" dmcf-ptype="general">▲본부 구성만 봐도 '지질연이 하는 일이 이런 것이구나' 할 수 있게끔 개편을 이뤘는데 조직 수를 다소 줄이면서, 집중화해야 한다는 것이 주된 관점이다. 본부 단위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해 기민하게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개편했다. 특히 기존 연구본부는 6개에서 임무중심 5개로 '선택과 집중'했다.</p> <p contents-hash="12e829dd660ec4deca933a24f60905b4125f66d63c848e62bf91c06d22094bc6" dmcf-pid="zvmpD5ZwD6" dmcf-ptype="general">지질연은 본래 골격이 되는 4개 핵심 미션이 있다. '자원탐사개발' '지구환경' '자원활용' '국토안전'이 그것이고, 그 수행에는 '지질조사'가 꼭 필요하다. 이들에 각기 대응하는 5개 연구본부다.</p> <p contents-hash="d5bf10a239699d7a2d3d9a62beb99dbfa70f29f8a0a246e0881f87b630a75258" dmcf-pid="qTsUw15rw8" dmcf-ptype="general">이 가운데 자원탐사개발 연구본부는 광물자원연구본부와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를 통합한 것이다. 여기에 AI 혁신시대에 발맞춰 '지질자원융합 지식본부'를 추가했다. 그간 모은 정보와 역량을 전산화해 융복합하는 일을 수행한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c80d286ba5ac41784ef2bf73666a3a78ec511d80ce9fa67bd5e0da410026107" dmcf-pid="ByOurt1mr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8570ttrc.jpg" data-org-width="700" dmcf-mid="P7VlMmrRI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8570ttr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84e3e0e64735c3d5770ed624d945dd4c2046ca3131ae7c78fe0ed754e22bed" dmcf-pid="bWI7mFtsrf" dmcf-ptype="general">-AI 대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해줬으면 한다.</p> <p contents-hash="d39366b0f33ffd16ef255e16e85b3ebadf59e6ba9ec94191ae6a9b0c84ca50fd" dmcf-pid="KYCzs3FOEV" dmcf-ptype="general">▲앞으로 모든 분야에서 AI와 같이 가야 한다. 당연히 우리 기관도 그런 변화에 앞장서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래야 생존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e8f7348bc05056f6c62473bc95fadd8400a0e2772ae1bfe2ed27584daef47f5e" dmcf-pid="9GhqO03Is2" dmcf-ptype="general">이전에 AI로 성능이나 신뢰도를 조금 높이는 정도로는 생존이 어렵다. 본질적인 연구 방향, 연구 체제까지 바꾸는 정도의 파급력을 갖추도록 AI 혁신을 이뤄야 한다.</p> <p contents-hash="276ccfc023780a7e51fe0126f57ad1c9f56fc1467eaf103db0f365f82391a86b" dmcf-pid="2HlBIp0CO9" dmcf-ptype="general">돌이켜보면 그 기반이 되는, 우리가 가진 땅 속과 주변 해역 데이터는 세계적으로도 꽤 경쟁력이 있는 소중한 것이라고 확신한다. 외부에서는 접근할 수 없는 안보 및 국방 데이터다. 이를 연구에 활용하면 지질 분야에서 선도 기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p> <p contents-hash="a47a5ac1ad8f694fa802f97f77e0085d931bc21dbd368270d15e1049d8ea1952" dmcf-pid="VXSbCUphsK" dmcf-ptype="general">그래서 기존에 가진 탐사 데이터 셋, 지질 정보, 공학적 정보를 AI 플랫폼에 적합한 구조로 바꾸고, 신규 데이터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향후 몇 년 동안 이런 작업이 이뤄진다는 세계적으로도 국가 간 대결에서 승리가 가능할 것이다.</p> <p contents-hash="c4a704e81ff1d78fc6dc8c377bf09fb1a15bd3514a7a209cf719cf3a162d8e13" dmcf-pid="fZvKhuUlOb" dmcf-ptype="general">하고 싶은 게 많다. 지질데이터를 AI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통합하고, 재난 대응과 자원 탐사 전 주기에 AI를 본격적으로 접목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155dd53b594057003a6487a20af8ec491fcf801cd670465b7c46bd00d17502db" dmcf-pid="45T9l7uSmB" dmcf-ptype="general">지진·산사태·화산 등 재해를 조기 예측·경보할 수 있는 지능형 대응 시스템 구축, 핵심광물 탐사·재활용, CCUS, 청정수소 등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도 AI 역할을 확대하고자 한다. 지오(Geo) AI 플랫폼과 지오빅데이터 통합시스템도 고도화해 국내외 연구자와 산업계가 자유롭게 활용하는 개방형 생태계도 만들겠다.</p> <p contents-hash="f037a593bd69a5bd1265c04160634d16caa3ab4f8b88bf4b7d72e98b947c83af" dmcf-pid="8pX6Y9KGEq" dmcf-ptype="general">또 전 사회적으로 소버린 AI가 강조되는 시점인데, 제 욕심으로는 임기 내에 AI 관련 초석을 다져 모범적인 주권 AI 플랫폼 모델을 제시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것만으로 제 소명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p> <p contents-hash="18b88ab2aaf2fdafbc03658287774b981c8bd42cb3f5bed49e7ad5075e23591a" dmcf-pid="6UZPG29HEz" dmcf-ptype="general">-조직 개편과 관련, 내부 의견을 많이 반영한 것으로 안다.</p> <p contents-hash="1260fd95e75973582add1a27ae4671c528e7fe3912892cca7eeb75d8c1b0348a" dmcf-pid="Pu5QHV2Xs7" dmcf-ptype="general">▲독단적으로 하지 않고, 내부 의견을 폭넓게 받았다. 모두를 100% 만족시키기는 어렵지만, 모두를 외면하지 않으려 했다.</p> <p contents-hash="0c682bf66086dfeb0659fc492e62675f23360b5da67929c0b19f4937571d4c9e" dmcf-pid="Q71xXfVZEu" dmcf-ptype="general">오자마자 조직개편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초안을 만들고, 각 조직에서 '소원수리'를 받았다. 초안과 최종안 차이가 꽤 큰데, 내 의견은 절반쯤 반영된 것 같다. 결과적으로 '중폭' 정도의 개편이 이뤄졌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b50c847a5c14128713e8c8c97e238363e7a8be18e3c3fd4d1fa1c55e1fde638" dmcf-pid="xztMZ4f5I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9855lspr.jpg" data-org-width="700" dmcf-mid="Qi8wVjNfs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259855lsp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7b3e2dc6872036e714396807e4f8dcdf878a9e5245301a7525feb722b0161f9" dmcf-pid="yEoWihCnEp" dmcf-ptype="general">-이밖에도 기관 운영에 내부 의견 반영이 크다.</p> <p contents-hash="b04d98596df122119fe323c5241fccdc3147a839f78020f9b29bcfc3aded9ad9" dmcf-pid="WDgYnlhLI0" dmcf-ptype="general">▲'앞으로 어떤 연구를 할 것이냐'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는 것이 원장으로서 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다.</p> <p contents-hash="34bf604f8b48dd127b41acba42cefb832ef8ae8b76ab6b09649776c4f485b89a" dmcf-pid="YwaGLSlow3" dmcf-ptype="general">이에 취임 직후 각 본부를 대표하는 '아이디어 뱅크'들을 소집해 '전략과제 TF'를 꾸렸고, 지질연이 앞으로 10~20년 동안 해야 할 연구과제를 도출하는 작업에 착수했다.</p> <p contents-hash="1af2832d9dd91a74eab3e41fd045fe7ff69f94a9a935caa4f2c126b5acb9668d" dmcf-pid="GrNHovSgOF" dmcf-ptype="general">TF가 연말까지 활동하면서 전략과제 기획안을 만들고, 나도 정기적으로 피드백을 한다.</p> <p contents-hash="0a9c33808f222babdb62203e2427df91a48be0f36c579cf3098d0d338248c021" dmcf-pid="HmjXgTvaEt" dmcf-ptype="general">나 역시 한 명의 연구자로서 어떤 연구를 하면 좋겠다는 나름이 생각이 있는데, 공동의 의견을 받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의견이 일치하는 과제가 나오면, 그것에 내 생각 일부를 더하면 된다.</p> <p contents-hash="99c456bc4f90035604cddd45e287e8c24f39006d2c7ccede2042b77bd1329349" dmcf-pid="XsAZayTNw1" dmcf-ptype="general">아직 스스로 생각을 풀어내 제안한 적이 없어 '구성원들과 생각이 다르면 어떻게 하나' 고민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사람들 생각이 다 비슷한 것 같다. 내 기존 생각이 이미 기획안 곳곳에 녹아들어 있었다.</p> <p contents-hash="4494cd205ffee2a4ab57f74558336c2dd4af482d4d949094a5c4a1df623b422d" dmcf-pid="ZOc5NWyjE5" dmcf-ptype="general">-CCUS 전문가다. 관련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데, 기관의 역할을 설명해 달라.</p> <p contents-hash="6f21b8efa21e4afb7f6a07d7cfe998bda00754fcfa567cb4449788bc4cb0e541" dmcf-pid="5Ik1jYWArZ" dmcf-ptype="general">▲CCUS 연구는 그동안 많은 굴곡이 있었다. 과거 한 때 회의론이 부상하면서 세계적인 암흑기가 도래한 바 있었고, 이후 '탄소중립'이 강조되면서 재차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다소 세계에 뒤처지는 것이 현실이다.</p> <p contents-hash="5de094728822ab8e42ec30c532f1e2a69069cf8e8d53497260c2145e869951b9" dmcf-pid="1CEtAGYcsX" dmcf-ptype="general">당연히 포기할 수 없는 분야다. CCUS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다. 에너지 전환과 기후위기 대응을 동시에 이끌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8cdf0fd730bf71b038905859c708df4596e38aaf212127772fdde81786f85484" dmcf-pid="thDFcHGkEH" dmcf-ptype="general">지질연은 국내 지질 특성에 맞는 저장 부지 안정성 평가, 저장 용량 산정, 장기 모니터링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특히 동해 가스전과 같은 해저 지층을 활용해 안전하고 경제적인 저장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 광물탄산화 같은 차세대 활용기술도 병행해, 이산화탄소(CO₂) 저감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CCUS 전 주기, 즉 포집-수송-저장-활용 전 과정에서 국가 표준과 기준을 제시하는 전문기관으로서 역할을 다해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서 기후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a821aacb3155ba496417e1450c48424787cb5a641349a4546a16e589992427a" dmcf-pid="FPKjqniBr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301146csup.jpg" data-org-width="700" dmcf-mid="xeWVvqzTm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etimesi/20250925140301146csu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6a830ff7118a4735dfe00d6c1658723c159592ae929414a66c1c5ea8ca7b8b7" dmcf-pid="3Q9ABLnbDY" dmcf-ptype="general">-해양학에 조예가 깊은 것으로 안다. 탐해3호를 활용한 해저 자원 연구에 관심이 많을 것 같은데.</p> <p contents-hash="17177d141b82dedbc86443b681eeffdc6dbc4d787fba21f99168d937a9c33890" dmcf-pid="0x2cboLKIW" dmcf-ptype="general">▲해양학을 전공했다고 해당 분야를 특별히 지원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스스로 조심스러운 탓에 해당 분야가 손해 보는 부분도 있지 않나 생각한다.</p> <p contents-hash="e24119eed87886a4c0ae880182dec3e6a24cffbae32036272ba9af6a7f1cfa73" dmcf-pid="pMVkKgo9sy" dmcf-ptype="general">그렇지만 바닷속 지질 연구는 지질연이 계속해 온 메인파트 중 하나다. 해양은 미래 자원 보고이자, 기후위기 시대 새로운 돌파구로 관련 연구가 필수다.</p> <p contents-hash="55f0206863fe26083e3d54bda876c17be2443a6f3d9ed3af07e2588c752281b3" dmcf-pid="URfE9ag2wT" dmcf-ptype="general">다행히 지질연은 최첨단 장비를 갖춘 '움직이는 실험실' 탐해 3호를 갖추고 있고, 그동안 외국 조사선에 일정 부분 의존해 데이터를 확보해야 했던 과거와 달리 세계 수준의 선도적인 조사 역량을 독자 보유하게 됐다. 이를 활용해 해저 희토류와 같은 전략광물 탐사, CCUS 저장 후보지 검증, 해저 지열·가스 자원 연구를 본격 추진하려 한다.</p> <p contents-hash="1ecc33b0a876476e6a4f868a36a277fecfee39a30ea325388da934739adc34df" dmcf-pid="ue4D2NaVDv" dmcf-ptype="general">특히 단순 시추와 분석에 머무르지 않고, AI 기반 데이터 처리 기술을 접목해 해양 지질조사 정밀도·속도를 동시에 높이고자 한다. 이에 더해 과학적 탐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탄소중립 달성, 해양지질 정보 확보라는 국가적 과제 해결을 모색하겠다.</p> <p contents-hash="6a22a65e7f9ce84e5194bd7915dd9cc2dd2019d7787d58879b200512d24e40bd" dmcf-pid="7d8wVjNfES" dmcf-ptype="general">-출연연 공통 문제인 우수 인재확보에 대한 생각이 궁금하다.</p> <p contents-hash="78d99a7e1ca4fc9c23a62229f34d2d2e6ee1eb4d46a6efca59d5f2deea08af9b" dmcf-pid="zJ6rfAj4rl" dmcf-ptype="general">▲연구의 성패는 결국 사람에 달려 있다. 그래서 '사람 중심의 연구원'을 만드는 데 큰 비중을 두고 있다.</p> <p contents-hash="76daec7ce7136385910feb16265625c80bd67b3fa654be4a8d1e12fb5c58c499" dmcf-pid="qiPm4cA8Ih" dmcf-ptype="general">무엇보다 먼저 연구몰입환경 조성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인 것 같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과학기술인이 연구를 하지, 행정 일을 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이런 환경과 분위기를 현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p> <p contents-hash="9dcb004e1514c11b3b86879c23bc9223610936b89d5baf282b51d838f2f046a1" dmcf-pid="BnQs8kc6rC" dmcf-ptype="general">그리고 처우개선 문제도 있다. 친구들보다 임금이 적은데 신명 나게 일할 수는 없다. 우수 연구자에게는 과감한 지원을 해야 한다.</p> <p contents-hash="b3e8613813d4f09e14eea18143cd8d1a5bd6b0ee300d263e64ffeefb8415e9a2" dmcf-pid="bLxO6EkPEI" dmcf-ptype="general">이에 자율성이 보장되는 연구환경을 조성하고, 연구자들이 안심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성과에 기반한 합리적 보상체계를 마련하려고 노력 중이다.</p> <p contents-hash="1b90ff8711eff6b75502c027eac767c91863c764a5cafb27326bbc2b8fb73723" dmcf-pid="KoMIPDEQIO" dmcf-ptype="general">책임본부장제를 통해 권한·책임을 명확히 해, 연구자 스스로 주도적으로 과제를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겠다. 나아가 해외 석학과의 공동연구, 국제 컨소시엄 참여, 현장 실증 기회를 확대해 연구자들이 세계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각도 있다.</p> <p contents-hash="2ca07a63c569ad1e2580ad79b6eeefc3289c920a751a8580f724cfeabc1f51d1" dmcf-pid="9gRCQwDxOs" dmcf-ptype="general">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도 적극 영입하고자 한다. 나 스스로 몇몇 대학에 가서 세미나도 여는 등 지질연을 알리는 개인적인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44b3aef91e651fa5c0d7be62d7778005b8fd23976c788fcf88072f16aa52cb0" dmcf-pid="2aehxrwMrm" dmcf-ptype="general">물론 이는 우리만 잘해서 되는 것이 아닌데, 다행히 새정부의 인재 확보 노력이 눈에 보인다.</p> <p contents-hash="e188eccf5373ae5c4d86044afd05e3ea4ec0c009adb001c0feb74a8a61f0734a" dmcf-pid="VNdlMmrRmr"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말은.</p> <p contents-hash="f228ea742ea3b28e65a6aaaeaf899681490a2fc1b32ebe8c12ff8c59cfd2a16b" dmcf-pid="fcnTdIOJrw" dmcf-ptype="general">▲'NEO KIGAM(지질연): 지구를 위한 혁신'이라는 표어 아래, 필요한(Necessary), 중요한(Essential), 선도적(Outstanding) 연구로 이끌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특히 재난 대응, 탄소중립, 핵심광물 공급망, 해저자원 탐사 등 국가적 현안에서 지질연이 반드시 역할을 해야 한다. 연구원 구성원과 함께 국민에게 신뢰받는 성과를 만들고, 글로벌 연구 무대에서도 인정받는 기관을 만들겠다.</p> <p contents-hash="0c61529204ea7a972ae337ef36d9b306ef0429dd608fdee175d82a2b670cf86a" dmcf-pid="4kLyJCIiOD" dmcf-ptype="general">○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p> <p contents-hash="76af81c5225367f45f44b7f7e84f894f132a0c3afca7c7b5c0221511b9e8326a" dmcf-pid="8EoWihCnwE" dmcf-ptype="general">권이균 신임 원장은 서울대에서 1997년 해양학 학사, 2000년 퇴적학 석사, 2005년 퇴적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질연은 2001년부터 재직했고 2012년 국립공주대에 교수로 부임, 산학협력단 CCS연구센터장 등을 수행했다. 이후 지난 5월 19일 제22대 지질연 원장으로 취임했다. 한국 CCUS 추진단장 등을 역임했고, 한국남부발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자문위원, 해저광물자원개발 심의위원 등으로 활동 중이다.</p> <p contents-hash="856f82d24ef22e9eaec544ca1713bf9976628b9a20c410fbe0a2e812ce9ad998" dmcf-pid="6DgYnlhLwk"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