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IT뉴스]
랜섬웨어에 개인정보 훼손…테라스타 과징금·과태료 800만원
N
[IT뉴스]
제71회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에 구산중 학생팀 선정
N
[IT뉴스]
똑같이 ‘랜섬웨어’ 해킹 받았지만…‘백업’ 유무에 과징금 엇갈려
N
[연예뉴스]
'퍼스트 라이드' 한선화, 강하늘 진심에 눈물 줄줄.."너무 고마워서" [Oh!쎈 현장]
N
[연예뉴스]
'퍼스트 라이드' 한선화 "'술도녀'·'놀아주는 여자'이어 대박 조짐? 개봉 전 별똥별 봐"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생생뉴스] ‘KAIST 최연소 임용’ 석학도 중국행…인재 유출 대안은?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1
2025-09-25 10:27:28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0sQ2DEQvT"> <div contents-hash="c0a8be94418f7ce1aaf25f485d82ecc44a4d0f9adb36a9a1a76181cb8de513fc" dmcf-pid="QpOxVwDxTv" dmcf-ptype="general"> [KBS 대전]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471ebf6d8fb47aa06c355aa1cc7ba01cfed31fe131b15df13cbb0dca03a9d5" dmcf-pid="xUIMfrwMT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48380cubo.png" data-org-width="4015" dmcf-mid="ZjEXvV2XS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48380cubo.pn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c4a76fe2e133a3e583d1136fa81d31400c4859b323d19127fdf3bcb0790a9536" dmcf-pid="yAVWCbBWSl" dmcf-ptype="general"> <br> </div> <blockquote class="pretip_frm" contents-hash="ad3c1a698343c1401cf86ebe75089dac11141ebb411abaa2d6ab9eadbe9c7d93" dmcf-pid="WcfYhKbYWh" dmcf-ptype="pre"> ■ 프로그램명: KBS대전 생생뉴스 <br>■ 방송시간 : 오전 8시 30분(1Radio 94.7 MHz) <br>■ 진행 : 박지은 기자 <br>■ 출연 : 이종복 목원대 교수(대학정책연구소 이사장) <br>■ 구성 : 한세희 작가 <br>■ 기술 : 민경수 감독 <br> </blockquote> <div contents-hash="42962820a0d6b96db3b048c25d895c3528a74bfa89b32b352c8815185216ff5f" dmcf-pid="Yk4Gl9KGvC" dmcf-ptype="general"> <br> </div> <div class="video_frm" dmcf-pid="GE8HS29HTI" dmcf-ptype="embed">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8Y3MfrwMlW" dmcf-mtype="video/youtube"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8Y3MfrwMlW" scrolling="no" src="https://www.youtube.com/embed/nP89ok1caRQ?origin=https://v.daum.net&enablejsapi=1&playsinline=1"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0637ffcf17b372883b9da539725b6643301b750b7e64c5a682b3f47338c69475" dmcf-pid="HM3wN5ZwyO" dmcf-ptype="general">■ 유튜브 영상 바로 가기 https://www.youtube.com/watch?v=nP89ok1caRQ?si=CZSSiBRo5PWfIKan</p> <p contents-hash="5c0789c0b57c3e131c19d79969b9b94ea516500fc2cbd460e14e4b83506717f1" dmcf-pid="XR0rj15rys" dmcf-ptype="general">◇ 박지은 기자 (이하 박지은): 대한민국 과학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AI와 첨단 기술 인재들이 미국 비자 문제로 발이 묶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런 가운데 중국은 막대한 연구비와 파격 조건을 내세워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오늘 생생 인터뷰 이 문제 짚어보겠습니다. 목원대학교 이종복 교수와 함께하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교수님 카이스트 최연소로 임용됐던 교수가 중국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런 소식이 전해지면서 우리나라 연구 환경의 구조적인 문제까지 언급되고 있는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p> <p contents-hash="37c6b066d429e35f98691c9224c9fafe5bec35ee84014afd164e45d3236267a5" dmcf-pid="ZepmAt1mym" dmcf-ptype="general">◆ 이종복 목원대 교수·대학정책연구소 이사장(이하 이종복): 이번 카이스트 최연소 교수의 중국행은 단순히 한 개인의 진로 선택을 넘어서서 한국 연구 환경에 구조적 문제를 아주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측면에서 짚어보자면요. 첫째는 이게 개인의 선택인가 아니면 구조적 문제인가 하는 것을 생각해 봐야 하는데 겉으로는 더 나은 조건을 찾아서 떠났다. 이런 개인적 사정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한국 연구자들이 공통으로 호소하는 구조적 한계 즉 연구비가 부족하다든가 과도한 행정 부담 그리고 불안정한 고용 또 장기 연구 지원에 관한 그런 전망 이런 것들이 모두 다 결합한 문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즉 이번 사건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 수 있다고 하는 적신호가 왔다 이렇게 볼 수 있고요. 또 해외에서 이에 단순한 유혹 때문에 넘어간 것이냐 아니면 국내의 문제 때문이냐, 이것도 짚어 봐야 하는데 <strong>중국은 최근에 아주 파격적인 연구비와 높은 연봉 또 독립 연구실 또 장기 과제를 계속 주겠다든가 또는 리더십의 기회를 주겠다든가 하는 것을 패키지로 이렇게 제공하면서 젊은 스타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어요. 반면에 한국에서는 젊은 교수나 연구자가 몰두하기 연구에 몰두하기보다는 과제 따기 경쟁이라든지 행정 보고 또 짧은 평가 주기 등 이런 문제 때문에 시달리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이탈은 조건의 비교라기보다는 한국에서 장기적 연구의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는 구조적 신호가 아닌가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strong></p> <p contents-hash="5908ff395a571fa6595f7a048588ba0b367e7185d41de4640514a2c512572449" dmcf-pid="5dUscFtsvr" dmcf-ptype="general">◇ 박지은: 개인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보면 이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구조적 문제가 그대로 드러난 게 아니냐 이 부분을 지금 지적하고 계시는데요. 그렇다면 이런 의미들을 우리가 좀 깊고 무겁게 봐야 할 텐데요.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건지도 말씀해 주실까요?</p> <p contents-hash="41a16a66738983e49dd3bbc5e89342645826272c30422c24ed4ddb08535f891c" dmcf-pid="1JuOk3FOTw" dmcf-ptype="general">◆ 이종복: 사회적으로 끼치는 파장을 보면요. <strong>국가 브랜드에 큰 타격을 가져올 수 있다. 그래서 이를테면 카이스트 최연소 교수가 해외로 떠났다는 그 사실 자체가 한국이 더 이상 젊은 인재를 붙잡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구나! 이런 부정적 신호 그리고 또 연구 생태계의 사기가 굉장히 저하되어 있다.</strong> 특히 지난 정권에서 그 연구비 대폭 삭감으로 인해서 많은 연구자가 떠났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연구계가 그 연구원들의 그 보수랄까 연봉 이런 것을 호봉제나 연봉제로 정해서 안정적으로 지급하지 않고 연봉은 적게 책정해 놓고 연구 성과에 따른 혜택으로 이제 나머지 그 수입을 보장하는 걸로 했었기 때문에 연구비가 줄어들면 단순히 수입이 줄어드는 게 아니라 연구원을 줄여서 거꾸로 남은 연구원들의 수입을 보장하려고 하기 때문에 연구원들이 굉장히 불안해 네 떨고 이런 상황 속에서 연구가 제대로 되지 않겠죠. 그런 문제가 있는 것이고 그러다 보니까 정책의 신뢰성이 이제 문제가 되는 거예요. <strong>정부가 수년째 인재 양성이라든지 첨단 전략 기술 육성 이런 것을 강조해 왔지만 실제로 현장에서는 인재 유출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정책과 현실에 괴리가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strong></p> <p contents-hash="4f8b20e2311989e4a37e684ff5fd2529c91f3ab5236adf6a5ac4858f84d8344d" dmcf-pid="ti7IE03IhD" dmcf-ptype="general">◇ 박지은: 정책과 현실의 괴리가 있다 이 부분 좀 짚어주셨는데요. 수치로 좀 짚어보죠. 실제로 과학 인재들의 해외 이동 흐름 어느 정도로 심각한가요?</p> <p contents-hash="9ffe52df612ca5c215c3f413b69fdc085bc79c2092f84b09f1c4287a6bcaf12b" dmcf-pid="FnzCDp0CCE" dmcf-ptype="general">◆ 이종복: <strong> 미국을 기준으로 보면 전 세계 연구 인력 중에 약 11만 명 정도가 석박사 학위를 받은 C 레벨급의 인재에 속하는데 이들에게 발급한 EB 1.2 비자 발급 규모를 보면 인도인들이 약 2만 명 1년에 중국이 1만 명, 브라질이 만 천 명 또 한국은 5600명 이래서 네 번째 한국이 차지하고 있는데요.</strong> 이건 단순 숫자 비교이고 인구 비례로 한다면 <strong>인</strong><strong>구 10만 명당으로 한다면 한국이 10.98명으로 가장 큰 규모로 인구가 연구 인력이 유출되고 있다. 이런 결과가 나와 있고요. </strong>또 카이스트 계열 4개 과학기술원이 있죠. 이 과학기술원의 교수 인력 유출도 굉장히 심각한데요. 과학기술원이나 카이스트 같은 데에 이제 교수님들은 그 강의나 교육보다도 연구에 많은 시간을 바치게 되어 있는데 이들 인구가 많이 빠져나가고 있는데 그중에서 약 160명이 빠져나갔는데 그중에 어디로 갔는지 살펴봤더니 약 32명은 서울대로 가고 51명이 서울대 이외에 수도권 대학으로 이전하고 나머지 약 25명은 해외로 빠져나갔어요. 이게 단지 서울대나 혹은 서울에 있는 대학이 그 생활 여건이나 이런 것들이 좋기 때문에 단순히 그쪽으로 빠져나갔다기보다는 카이스트라고 하는 이 상징적인 연구 메카가 지금 어떤 문제가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을 해봐야지 않겠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p> <p contents-hash="402cd2db0cdeebb9edcdb416033dffe0273ed8c6984f746e198591d8571f2b2f" dmcf-pid="3LqhwUphvk" dmcf-ptype="general">◇ 박지은: 그렇습니다. 이 과학기술 인재를 길러내는 요람이라고 불리는 과학기술원에 계신 교수님들이 해외 대학 그리고 서울대 그 이외에 수도권 대학으로 지금 빠져나가고 있는 흐름에 대해서 짚어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정책은 어떤지도 좀 들여다봐야 할 것 같아요. 우리 정부가 과학기술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 특단의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는 했습니다. 그럼 어떤 것들이 필요할지 우리 하나씩 짚어볼까요?</p> <p contents-hash="4ae8255fcb97e673dd6a45eae3a27adcb5ad2a31c62f5fc6a195c2d39905726c" dmcf-pid="0oBlruUlCc" dmcf-ptype="general">◆ 이종복: 엊그제 23일에 발표한 내용을 보면 <strong>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것인데 과학기술 인재 유출 방지 유치 대책 마련을 위해서 민관 합동 테스크포스를 만들겠다. 그래서 이것을 통해서 약 2023년에 388명 정도 순 유출이 있었대요. 그런데 이것을 2030년 앞으로 이제 약 5년 뒤에는 500명 순유입으로 역전시키겠다. 이런 이제 그 계획을 내놨는데 물론 계획은 좋습니다. 그런데 그 계획이 뒷받침되려면 거기에 걸맞은 정책과 유인 효과가 있어야 하는 데 그런 효과도 함께 나올지 지금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c7eb95d5c82177f4ecbcf5d9ad6807fa7278fb5ed3ef2430c12922dc0fb54a6" dmcf-pid="pgbSm7uSv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49963kbdk.jpg" data-org-width="640" dmcf-mid="1ngvsz7vT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49963kbd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9f6b9c6f658ed81243b1eb9751713f37b06969d3698d6b8a3b7b6f8ef51b0df" dmcf-pid="UM3wN5Zwlj" dmcf-ptype="general"><br>◇ 박지은: 말씀하신 대로 이게 단순히 많은 돈을 주기만 해서 되는 것이냐 아니면 구조적인 문제가 이번에 드러났으니까, 우리가 어떤 것들을 좀 고쳐야 하는지도 좀 조목조목 짚어야 할 것 같은데요. 교수님께서 제안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합니까?</p> <p contents-hash="0252f013291e1162617bc4424c1676db7362001f1813178dea6c0b6cbf549e2e" dmcf-pid="uR0rj15rlN" dmcf-ptype="general">◆ 이종복: 한국에서 이렇게 연구자들이 계속 떠나는 이유를 크게 연구비 부족이라든지 행정 업무 과다 그리고 불안정한 고용 구조 이런 것들을 꼽고 있는데요. 불안정한 고용 구조라는 것은 어떤 문제냐 이 그 젊은 교수 연구자 상당수가 비정규직이에요. 말하자면 그 대학 교수처럼 뭐 정년 트랙으로 들어가면 정년까지 임기가 보장되고 월급이 보장되고 이러는 자리가 아니라 아까 말씀드린 대로 연구 과제당 연구비에 의해서 또 그 보수가 지급되고 연구 과제가 많고 적은지에 따라서 그 수입이 달라지고 또 국가의 R&D 정책에 따라서 연구비 규모에 따라서 이 연구 인력이 줄어들었다 늘어났다 하는 이런 불안정한 그런 구조로 되어 있다는 거 이런 것들이 가장 큰 그 원인이라고 보고요. 연구비 부족도 단순한 구조적 안정성을 전제로 해결할 수는 있지만 연구비가 늘어난다고 하더라도 연구자 개인의 고용이 불안정하다면 안정적 또 창의적 연구가 불가능하겠죠. 반면에 연구자 신분이 안정된다면 부족한 연구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계획 속에서 협력 산업 업계 등으로 협력하면 이것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는데 이런 것들이 서로 이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걸 제대로 좀 살펴봐야 할 것 같고 이 연구를 저도 해봐서 알지만 국책 연구는 실제 연구에 투자되는 시간보다는 그 부수적인 행정이 굉장히 까다롭고 많습니다. 그래서 연구비 이를테면 집행도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에 그런 것 신경 쓰다 보면 제대로 연구할 시간이 굉장히 부족하고요. 그런 과도한 업무를 일반 행정 쪽에서 좀 많이 지원해 주든지 그런 별도 인력이 있으면 좋은데 이것을 대개 연구 책임자가 알아서 해야 하므로 굉장히 어려움이 많고 그래서 이런 고용 안정화라든지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좀 생각해야 하고 연구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해서 창의적 연구가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그런 연구 과제를 진행할 수 있는 그런 어 시스템이 좀 안착해야 하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c67ea2754460729a03c1cd41e1276b6a03022de79172c0e80846f6e358bc2d0" dmcf-pid="7epmAt1my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51311obfl.png" data-org-width="1132" dmcf-mid="49Y27ag2h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25/kbs/20250925102251311obfl.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6f7acf27fdf01235952f7bb954d52b4d237a3ddd7d55b40c3fb9755dc285fa39" dmcf-pid="zdUscFtshg" dmcf-ptype="general"><br>◇ 박지은: 교수님께서 제안해 주신 항목 가운데 이 산학연이 협력해서 시너지를 내는 부분 굉장히 공감하고요. 그리고 정부와 정권에 따라서 왔다 갔다 하는 연구비와 그리고 중요 과제들의 우선순위가 바뀔 수 있다는 점들, 그런 부분은 우리나라의 한계로 꼽히고 있지 않느냐고 생각이 되는데요. 그렇다면 이 부분 좀 여쭤볼게요. 정년 임기 보장 이런 부분들을 해 달라 이제 말씀하시는 건데 사실 해외 대학들도 이것과 동일하게 운영하고 있지는 않잖아요. 연구에 따라서 실적을 보장받고 하는 형태 아닌가요?</p> <p contents-hash="619c86e880ec64a17b833aa3f417cd2ef77ba57f0e5a6c3faf4254962d4b27f3" dmcf-pid="qJuOk3FOvo" dmcf-ptype="general">◆ 이종복: 연구직이라는 그 특성상 그 두 가지 양면성이 있어요. 연봉을 일정하게 정해주고 안정된 그런 자리를 제공해 주면, 사람이 좀 나태해지고 그렇죠. 연구회를 더 열심히 하지 않아도 뭐 성과가 나한테 돌아온 성과가 똑같으니까 좀 게을러질 수 있죠. 그런 성향 때문에 이제 어 그 보수의 일정량만 보장을 해주고 나머지는 연구 결과에 따라서 차등적으로 어 취할 수 있게 이렇게 해놓으니까 그래야지 또 열심히 한다. 그러다 보면 또 이제 부작용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 이거 자꾸 더 하려고 하고 경쟁적으로 하고 이러다 보면 연구가 부실해질 수 있고 또 연구의 어떤 질이 아무래도 성과 위주로 치달을 수 있다. 이런 문제가 있고요. 또 다른 문제는 연구 결과에 대한 실효성 문제 그 산업화 문제 이런 것과도 연결이 되는데요. 예를 들면 우리 <strong> 대전의 연구 단지가 엄청난 많은 연구 인력이 있는데 여기서 연구되는 내용들이 곧바로 밖에 나가면 금방 산업화할 수 있는 많은 기업이 뒷받침해 주고 기업들이 그것과 연계되어서 이게 산업으로 연결되면 연구자들에게도 지속적인 그런 수입원이 되고 그렇죠. 이게 산업으로 연결된다면 그만큼 보람도 있고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텐데 이런 것들이 연구는 연구대로 끝나고 산업계에서는 산업계대로 우리에게 필요한 연구가 없다고 또 아우성치고 이런 이제 엇박자가 있는 거죠.</strong></p> <p contents-hash="2c6fda486a0f7b92b6d6c05ccc164d658fd1ad442d5312086a7422036f3706c8" dmcf-pid="Bi7IE03ICL" dmcf-ptype="general">◇ 박지은: 해외 선진 사례를 통해서 비교해 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교수님께서 좋았다고 소개해 주실 만한 사례도 있을까요?</p> <p contents-hash="533ae44dfa5f0f1882ba12fb4a612f6e8e57a0d8d4848a5661e760eb2bf08e09" dmcf-pid="bnzCDp0CTn" dmcf-ptype="general">◆ 이종복: 정부와 대학 그리고 기업이 함께 노력을 해서 연구 성과를 잘 활용하는 그런 사례가 있어요. 미국에서도 그런 게 있었고 독일에서도 있었고 그랬는데 미국 DARPA, NSF 프로그램처럼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대학과 기업이 공동 컨소시엄 형식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이런 프로그램도 있었고 독일에서는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정부 기초 연구를 지원하고 기업은 참여형 응용 연구를 또 대학은 이것을, 인력을 제공하는 이런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이런 경우가 있었고 가까운 이 싱가포르에서도 A*STAR 프로그램이라고 그래서 정부가 연구소를 세우고 대학과 기업은 함께 인재를 양성해서 여기서 연구할 수 있는 그런 풀을 제공하고 이런 것들을 잘하는 그런 경우가 있었는데 한국에서도 이런 가능한 협력 모델을 만들어야 하겠죠. 그래서 이를테면 국가는 전략 연구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특히 AI 반도체 바이오 같은 분야별로 정부 대학 기업이 함께 투자하고 대학은 인재 양성을 시켜서 또 기업은 데이터를 모으고 자금을 제공하고 정부는 안정적 장비라든지 연구비를 제공하고 이런저런 일종의 산학연 공동 정년 보장 제도 같은 것을 좀 만들어서 여기에 한 번 들어가면 연구자들이 그 평생 여기서 연구하면서 고소득을 또 올리고 안정된 이런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이런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봅니다.</p> <p contents-hash="6a2954801d3e379bb46222ecdfc7fd38fd533ce94f613712d308632803670c5f" dmcf-pid="KLqhwUphhi" dmcf-ptype="general">◇ 박지은: 산학연이 확실하게 협력해서 국가 경쟁력을 끌어낼 수 있는 기술까지도 개발하고 장기적으로 이끌어 가는 게 중요하다 이 부분 말씀해 주고 계십니다. 국가가 특히 AI 분야에 관심이 많죠. 그렇기 때문에 AI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한 예방책도 가져야 할 텐데, AI 같은 첨단 인재들을 유출하지 않고 우리 인력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p> <p contents-hash="59d035dd041df5840d768eb21fc55bdefbdc69a0533b1315f53f5d0e9e28a89f" dmcf-pid="9oBlruUlyJ" dmcf-ptype="general">◆ 이종복: AI는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굉장히 중요한 분야예요. 단순한 과학 기술의 발전을 떠나서 그래서 그 국방 금융 산업 사이버 보안에 이르기까지 국가 시스템 전반에 AI가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이 AI 핵심 인재가 해외로 빠져나간다면 이건 단순히 산업 경쟁력의 손실을 넘어서서 국가 전략 기술의 주권 상실로 이어질 수가 있어요. 그래서 이거 굉장히 심각한 문제고 글로벌 쏠림 현상이 심각합니다. 특히 AI 분야는 승자 독식 구조로 되게 되어 있어요. 그 가장 우위의 기술을 가진 기업이 2위 3위의 기업을 전부 다 잠식하고 있는 이런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서 2위 3위로 밀려난다면 그 뭐 사실 별 효과가 없는 거예요. 그래서 우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그 국가에서도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고 AI 생태계가 지금 우리나라는 굉장히 좀 취약한 편이죠.<br>이를테면 논문 생산력은 높지만, 데이터나 컴퓨팅 자원 이런 것들은 굉장히 부족하고 연구자의 창업이나 산업 연계 생태계 이런 데가 아직 정착이 안 돼 있어요. 그래서 인재가 장기적으로 머물 그 동인 동력이 부족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결국 AI 박사 석사들이 졸업 후에 국내 대학이나 연구소보다는 해외 기업으로 빠져나가는 그런 사례가 많다 이게 좀 걱정이 되는 거죠.</p> <p contents-hash="dc70269fe5dd90d7ee591267cb38a67c3cd18ec0fe9bf0119434b081d533fee4" dmcf-pid="2gbSm7uSCd" dmcf-ptype="general">◇ 박지은: 그렇군요.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 <blockquote class="pretip_frm" contents-hash="51b8ae22ae1d0dc2768ea33b294d8ab364287f3c62538b9918695c2e031a68f0" dmcf-pid="V2YgevSgWe" dmcf-ptype="pre"> 인용 보도 시 ‘KBS대전 생생뉴스’를 밝혀주십시오. <br>저작권은 KBS대전에 있습니다. </blockquote> <p contents-hash="02370702530abe3fc1e881dcaa134160a893f0772b4dbb1c40e9a047193b3de0" dmcf-pid="fVGadTvayR" dmcf-ptype="general">박지은 기자 (now@kbs.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