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IT뉴스]
한국은 반도체-일본은 로봇 최강자…둘이 만나면 ‘공장 자동화’ 적수가 없다
N
[연예뉴스]
아이브 리즈X이서, '아깽즈' 보컬 케미 폭발[우쥬레코드]
N
[연예뉴스]
임윤아, 소녀시대→원톱 배우 성공 비결 '인성'…"편견? 내가 잘하면돼"[종합]
N
[스포츠뉴스]
윤재명 쇼트트랙 대표팀 4개월 만에 복귀…2026 밀라노 동계올림픽 지휘
N
[연예뉴스]
'폭군의 셰프' 이채민, 마동석·강한나 제치고 1위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NASA도 못한 길, 한국이 먼저 열었다”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1
2025-09-11 05:07:27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김준 연세대 교수, NASA 특별 공로 훈장 수상<br>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성과 인정받아<br>오존층·미세먼지 연구서 위성 센서 개발까지<br>과감한 투자와 꾸준함이 만든 국제 리더십</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kms9bnbEC"> <p contents-hash="8d28bea12e7bedb1703ba6080675992d1207cb7210b3f04da0e2c9fd631ee821" dmcf-pid="GEsO2KLKII"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기획연구 단계에서 예산을 확보하려 할 때 ‘NASA도 하지 않는 일을 우리가 할 수 있겠느냐’는 도전을 많이 받았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우주개발은 미국, 일본, 중국에 비해 상당히 늦었죠. 미국은 1950년대, 일본과 중국은 1970년에 이미 위성을 올렸지만, 우리는 1992년에야 첫 위성인 ‘우리별 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예산을 확보한 2010년은 우리별 발사 후 18년이 지난 시점이었는데, 단순히 남들이 하는 것만 따라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설득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b4598808fa85d2c54d2a3c17313fce5458e3da936a80dbf047ac49e264e9c8" dmcf-pid="HDOIV9o9m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가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위성 센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Edaily/20250911050448006jfjo.jpg" data-org-width="670" dmcf-mid="yH30NgSgs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Edaily/20250911050448006jfj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가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위성 센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30b65f2ace9c9542dde4f0b6af97a80179f78dec0a2d3eae6e4f2efdd954ed73" dmcf-pid="XwICf2g2ss" dmcf-ptype="general"> 한국인 최초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특별 공로 훈장을 받은 김준(61)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를 만났다. 특별 공로 훈장은 NASA가 외부 인사에게 수여하는 최고 등급의 훈장으로, 지난달 27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시상식이 열렸다. </div> <p contents-hash="fb704aa425aced58820fe083a8da9700e8881db60c0185d5f954970db4a9a7df" dmcf-pid="ZrCh4VaVsm" dmcf-ptype="general">김 교수는 “훈장을 받는다는 소식을 공식적으로 늦게 통보받아 급작스럽게 받았다”며 “NASA가 명예퇴직을 진행 중이라 담당자가 마지막 근무일에 메일을 보내왔고, 전체 인력의 상당한 부분이 줄어든다고 해서 걱정이 앞섰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40daf654819e5733b7d2c1fabae1e114ef2567da4777491ba1e9d183a060391" dmcf-pid="5mhl8fNfwr" dmcf-ptype="general">그럴 만도 한 것이, 김 교수는 NASA와 20년 넘게 공동연구를 이어왔다. 특별 공로 훈장 역시 20년 이상의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수여되는 상이다. 그는 “다행히 현재 협력하고 있는 대기질 연구는 영향이 없다”며 “다만 NASA에서 최근 제외하는 기후 연구 분야는 에너지 정책과 상충된다고 보는 듯하다”고 우려했다.</p> <p contents-hash="1e5d00adbcdf8e36e529c86ac09c37ad4f768d9d1dc22e8f00c3fc7ab5cafd21" dmcf-pid="1Jga3t8trw" dmcf-ptype="general"><strong>오존층에서 미세먼지까지, 연구의 전환</strong></p> <p contents-hash="d73044fe53daea0e1a22422ed5e7862e3eab2a98600b72f3c6631e78b7660147" dmcf-pid="tiaN0F6FED" dmcf-ptype="general">김 교수는 1980~90년대 오존층을 주로 연구하다 2003년부터는 미세먼지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2010년대 들어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미세먼지를 만드는 오염 기체들을 함께 보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위성 연구는 필연적인 선택이 됐다.</p> <p contents-hash="6f84d486d1d9c4609152d32521301840f63b99519d6411b2766954ff351ce48f" dmcf-pid="FnNjp3P3OE" dmcf-ptype="general">1991년부터 2003년까지 항공우주연구원에서 근무한 그는, 파장별 복사에너지를 측정하여 극미량 기체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개발하며 여러 차례 실패와 감사를 겪었다. “실패했다고 감사원 감사까지 받으며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지만, 성공했을 때는 모든 괴로움이 사라졌다”고 회상했다.</p> <p contents-hash="a3ea6343e71b892e96dcc815100ddc9829d9c9c29710d6f08fdf1e87bdbb073c" dmcf-pid="3LjAU0Q0Ok" dmcf-ptype="general"><strong>NASA 설득, 그리고 세계 최초의 성과</strong></p> <p contents-hash="6994b74ec1e3fd68c8585b2d39f3ab4d12c23c7d5e44c3e612375cece76419a8" dmcf-pid="0oAcupxpsc" dmcf-ptype="general">NASA와의 협력은 쉽지 않았다. 김 교수는 “처음엔 세계 최고의 선진 기술을 가진 곳이라 우리를 거들떠도 보지 않았다”며 “NASA는 위성 본체보다 과학적 임무가 필요했고, 우리는 위성 본체 개발과 발사가 필요해 서로 보완이 될 수 있었고 그 점을 공략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b0b1c2c5a7b10ace42f7d812007e44fe9cb7f8cc5f4ac9bddd4ee014ab32b88" dmcf-pid="pgck7UMUIA" dmcf-ptype="general">그는 재미 한인 과학자들과 접촉을 넓히며 NASA를 설득했고, 한국의 센서 알고리즘 결과가 더 정확하다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신뢰를 얻었다. 결국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과 2010년 확보한 예산으로 2020년 발사된 천리안위성 2B호에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을 탑재하는 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ecfb46cb76d64630511fd8fa9b636f6c9bb7fab6c3f892c449015e01576d1282" dmcf-pid="UakEzuRuDj" dmcf-ptype="general">김 교수는 “저궤도 위성은 약 하루 15회 궤도비행하지만 특정 지역은 1~2회밖에 측정 못한다”며 “정지궤도 위성은 같은 위치에서 연속 관측이 가능해 대기오염물질의 발생과 이동 경로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NASA보다 먼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신속하고 과감한 정부의 투자 덕분”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effbd11a0203056883646e9254f70851d0f44e929fe1ae05c72a6a790e1eae1d" dmcf-pid="uNEDq7e7EN" dmcf-ptype="general"><strong>국제적 리더십 확보, 남반구로 확장 목표</strong></p> <p contents-hash="e81c33573ad242d3f7f6aea2eb8ab0a749be8f9c7f345357139550065aac2a6f" dmcf-pid="7jDwBzdzsa" dmcf-ptype="general">GEMS 발사 이후 2023년 NASA는 TEMPO, 유럽은 센티넬4 위성을 띄우며 삼각 편대비행체제를 구축했다. 이제는 전 세계 대기질 동시 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국은 2010년부터 정지궤도 환경위성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해왔으며, 지난 2~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16차 학술대회에서는 위성 측정값과 지상 자료의 일치 여부를 검증한 결과가 발표됐다.</p> <p contents-hash="721fc9fa5da127dd04cac9093571716c7b2765b2e6bb7f6c3e1cf5a7d6cc65d0" dmcf-pid="zAwrbqJqmg" dmcf-ptype="general">김 교수는 “매년 세계 연구자들이 한국에 와서 실제 측정 정확성을 확인한다”며 “미국이나 유럽은 40~50년 해온 일을 한국은 짧은 시간에 해냈고, 국제 리더십을 갖게 된 점을 놀랍게 본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bc2a0f098275a0a60f2a6725cd0edc553d6bc640c3898475f912513df2cf0efd" dmcf-pid="qJga3t8tEo" dmcf-ptype="general">그는 앞으로 연구를 아프리카·중동·남반구 지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남아메리카, 호주 등으로 확장해 진정한 전 지구 대기질 감시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국 과학의 국제 리더십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d5c1087c75970ba8aa5432866fcd80971e68c6eecdb1becdf7b1abc4a58d3f6" dmcf-pid="BiaN0F6FOL" dmcf-ptype="general">그는 “우리나라가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려면 당장의 필요를 충족하는 연구뿐 아니라, 장기적 성과를 낼 수 있는 과학 분야에도 예산을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a86659c472f131e09d2536a443e7d0bef1745162fa2ea4a58f4fc9c6813b2ae" dmcf-pid="bnNjp3P3s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가 이데일리와 인터뷰 하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1/Edaily/20250911050449372pzqj.jpg" data-org-width="670" dmcf-mid="WPnL1ZVZI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1/Edaily/20250911050449372pzq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가 이데일리와 인터뷰 하고 있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b6df4916d6c4593f91a212ba207eed0b7e73f4ce473b1890f0bf77feb268869" dmcf-pid="KLjAU0Q0Ii" dmcf-ptype="general"> 김 교수는 “초기에는 하드웨어 중심, 공급자 위주의 위성 계획을 세웠지만 천리안 2호를 발사하면서 비로소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임무수요 측면을 고민하기 시작했다”며 “통신 등 상용 위성은 당연히 필요하지만, 우리가 정지궤도 환경위성을 선도적으로 올리며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한 것처럼 과학 연구 분야에도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div> <p contents-hash="98c9fdf35d1362d52935d6438df7478c8663cc9efabaab70da76bec78576d949" dmcf-pid="9oAcupxpmJ" dmcf-ptype="general">성과 확산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는 위성 예산은 발사와 지상국 운영 비용까지만 반영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치를 높여 응용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지원이 있긴하지만 많이 부족하다. 위성 수명 내내 장기적인 분석이 가능하고 미래를 대비하도록 연구개발 예산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558ad6f561377a2aa11708432ecc1852112fe269145347f70e43bf12ad2335d" dmcf-pid="2gck7UMUEd" dmcf-ptype="general">후학들에게는 꾸준함을 당부했다. 김 교수는 “힘든 과정이 있더라도 목표를 잃지 말고 끝내 이뤄내길 바란다”며 “인생에서 기회는 많지 않지만 반드시 한두 번은 온다. 나에게는 2010년 기획연구 예산이 확정되었던 그날이 바로 그런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그 기회가 내 것이 되려면 평소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목표 의식을 가지고 꾸준히 준비한다면 언젠가는 반드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d00a9b952e7fac9ae972a79544c19c5fb41d5e892d332e416ee6a5384e04cd2" dmcf-pid="VakEzuRuse" dmcf-ptype="general">김아름 (autumn@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