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연예뉴스]
마동석X서인국X이주빈, K-히어로 액션 완성한 삼각 케미 ('트웰브')
N
[스포츠뉴스]
‘유방암 수술만 2번’ 다브러스키, US오픈 테니스 여자 복식 우승
N
[연예뉴스]
‘라이브와이어’ 폴킴, 현빈♥손예진 결혼식 축가 비화 공개
N
[연예뉴스]
'사망' 대도서관 누구…국내 유튜버 1인 방송 선구자·스타 유튜버
N
[연예뉴스]
유튜버 대도서관, 자택서 사망…누리꾼 애도 물결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설마 했는데 삼성마저…'中 반도체 공습'에 그야말로 초비상 [강해령의 테크앤더시티]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0
2025-09-06 12:37:30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삼성도 中 반도체 설계 툴 쓴다고?"…중국 굴기, 너무 거세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4Qr43LKhq">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424a70e003e27d989603ec9f578b77d952a2f222f6d3db8352d38a50d99291f" dmcf-pid="Q8xm80o9S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중국의 SMIC 팹 내부 전경. 사진제공=SMIC"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49206qcvv.jpg" data-org-width="1200" dmcf-mid="2240Deyjy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49206qcv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중국의 SMIC 팹 내부 전경. 사진제공=SMIC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6202a0bd11a51593c9c87b02aff90a06c3e011b507c793d5dee0e8b67606b07" dmcf-pid="x6Ms6pg2h7" dmcf-ptype="general"><br>독자님들께선 중국 반도체에 대해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저는 취재 중 느낀 솔직한 느낌을 말씀드려보면요. 이미 한국의 생태계 수준을 넘어 점점 더 큰 격차가 생길 수 있겠다는 걸 피부로 느껴집니다.</p> <div contents-hash="897446ad7d1858d947128434dd2319c53856eed51ef68986052c066177cd5a5a" dmcf-pid="ySW9SjFOhu" dmcf-ptype="general"> 매일매일 보도하며 긴급성을 타전하는 게 아쉽지 않을 정도라는 느낌을 받고 최근 눈에 띄는 중국 반도체의 약진에 대해 두가지 포인트로 요약했습니다. 소재·부품·장비(소부장)와 중국의 AI 반도체 생태계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시겠습니다. <br> </div>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2b70149d71924a8558263556001eef5fb82f790e5ab4785d55be4db4dfe03701" dmcf-pid="WvY2vA3IvU" dmcf-ptype="line"> <div contents-hash="ee39376d28a1faed4bb559003cad8a4c78027400889825cc7d418a03228402f0" dmcf-pid="YTGVTc0Chp" dmcf-ptype="general"> <strong>中 장비 1위 나우라 상반기 영업익, 韓 1위 세메스의 8배</strong> </div>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5ad18d28d2eec5c0f917e39963f8eb37cf981556052d9353ef6d41df86784cc0" dmcf-pid="GyHfykphv0" dmcf-ptype="line"> <div contents-hash="2ad983151c891cfa4980770297ad2e046cfd8b7599f5f078a305434019e44c7f" dmcf-pid="HYZ8YDuSC3" dmcf-ptype="general"> <br>우선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부터 보시겠습니다. 지난주 중국 반도체 1위 기업 나우라가 상반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0d45ae681b1d42fad219604535c4a3d1ea201e4b062fdfb031fead1eafbf03" dmcf-pid="XG56Gw7vy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중국 반도체 장비 1위 나우라와 한국 1위 세메스 연간 실적 비교. 자료출처=나우라, 세메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0542ymxq.jpg" data-org-width="724" dmcf-mid="V15IQuNfC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0542ymx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중국 반도체 장비 1위 나우라와 한국 1위 세메스 연간 실적 비교. 자료출처=나우라, 세메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3412b8dea12c64ab2988e84aa2cd8d1cc611b7a8f21474669e0518362945f37" dmcf-pid="ZH1PHrzTWt" dmcf-ptype="general">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61억 4154만 위안(약 3조 1472억 원), 33억 2247만 위안(약 6478억 원)입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5%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2.25% 성장했습니다.</p> <p contents-hash="e0d2299250a47eaa03b809782c222fb287a53d5bd6490dca2e1cfa32928d669c" dmcf-pid="5XtQXmqyC1" dmcf-ptype="general">올해 실적을 우리나라 1위 반도체 장비 회사 세메스와 비교해볼까요. 성장세가 눈에 띄면서 절대적인 수치도 훨씬 앞서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02afeb3d932a22d6d04c30e101bb4b37f3cf0d592ad49bf803298226714dabf" dmcf-pid="1ZFxZsBWh5" dmcf-ptype="general">세메스는 상반기 1조 1054억원 매출, 821억 원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매출은 11.5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41%로 역성장했습니다. </p> <p contents-hash="cefd9dfdfe92b04b9c5672ef109c148773f11edd0860463a9fa033d2897b74ab" dmcf-pid="t53M5ObYWZ" dmcf-ptype="general"><strong>나우라는 세메스 올 상반기 매출보다 2.84배 높고, 영업이익은 7.89배 차이가 납니다.</strong></p> <p contents-hash="51746edfd7589a818bcc3ce07743d98d7a1238eaefa45ed52f51035b3a82190c" dmcf-pid="F10R1IKGhX" dmcf-ptype="general">사실 나우라가 세메스를 실적으로 역전한 건 어제오늘 일은 아닙니다. 세메스는 딱 2021년까지만 나우라보다 앞섰습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세메스를 제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아예 ASML·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램리서치·도쿄일렉트론·KLA 등 글로벌 5강 업체에 이어 세계 6위를 차지한 엄청난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a481597b091f172405b2189f5009db2c0931770048d36119f87673c82f388f" dmcf-pid="3tpetC9HS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나우라의 반도체 식각 장비. 사진제공=나우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1766elgt.jpg" data-org-width="964" dmcf-mid="fHnhMzA8h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1766elg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나우라의 반도체 식각 장비. 사진제공=나우라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d226ebd8da7c202111f6a923bbc4daefa922623ef94d4c879e5b0f8d3b6385a" dmcf-pid="0FUdFh2XhG" dmcf-ptype="general">물론 한국과 중국의 선두 회사들끼리만의 비교가 모든 장비 생태계를 대변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상징적인 신호인 것도 분명합니다. </p> <p contents-hash="59bcb9e4391620cc9a795e4d07471b398a5e8dda23bbbe5f812a7de4549fcf17" dmcf-pid="p3uJ3lVZWY" dmcf-ptype="general">실제 국내 장비 기술이 전반적으로 중국의 약진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시각은 비슷합니다. 심지어 아예 몇몇 중국 전공정 장비 제품군이 생각보다 쓸만 한국으로 들여올만 하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94ba129b28d1861f68c450021f3f7682cd2fa465f2276b5f885735075794a442" dmcf-pid="U07i0Sf5lW" dmcf-ptype="general">비단 장비 분야 뿐만이 아닙니다. 우리나라에는 거의 없다시피 한 설계자동화툴(EDA)에 관한 이야기입니다.</p> <p contents-hash="52cb0784a5254c5ee268715a79b2e7872b3065906a17e8a44eefa4c1ec4ca936" dmcf-pid="upznpv41vy" dmcf-ptype="general">이들이 한국 반도체 생태계로 점점 스며들고 있다는 점도 지켜볼 만한 포인트입니다.</p> <p contents-hash="3b6ae5d9953f9a3a1882814f30d4e507d359dbeb2afdc60867099d6db27b0014" dmcf-pid="7UqLUT8thT" dmcf-ptype="general">우리나라에서 중국 EDA의 영향력은 아직 미미합니다. 이미 세계 시장에서 상당히 유명한 케이던스·시높시스·지멘스 등 미국 기업들의 솔루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인데요.</p> <p contents-hash="87fdd72e650a2e52e583f027917873f1e412c4672432a9afbaf5019eab856653" dmcf-pid="zuBouy6FTv" dmcf-ptype="general">하지만 <strong>취재에 의하면 우리나라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마저 일부 테스트칩 특성 분석, 공정 최적화에 세미트로닉스(semitronix) 등 중국 EDA 회사들의 솔루션을 수년 전부터 공급받은 것으로 파악</strong>됩니다.</p> <p contents-hash="c888e31e43b9b28fa4c1620959353c3faa4d796016e08269e0dc23ebaf9212d6" dmcf-pid="q7bg7WP3CS" dmcf-ptype="general">우리 정부는 2019년 일본 수출규제 사태 이후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운 적 있습니다.</p> <p contents-hash="6039dd074c72ee7d4fcd15df8df09b455dae8938b118842d7a587cf6a0d69ddb" dmcf-pid="BbVAbXRull" dmcf-ptype="general">두 번의 정권 교체가 있었고, 6년이라는 시간이 흐르는 동안 우리 소부장 업계는 어떤 의미있는 성과가 있었을까요. </p> <p contents-hash="391d807c5a8274517c62ec0458533459af2fbc0fb7fd034720c6d7991214c632" dmcf-pid="bKfcKZe7Wh" dmcf-ptype="general">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힘만으로 반도체 제조 패권 경쟁력을 가져가기는 힘듭니다. 글로벌 반도체 인프라 전쟁이 일어난 사이 반도체 개발 비용과 난도가 크게 상승하고 있어 생태계 협력이 필수인 시대가 됐습니다. </p> <p contents-hash="db386f333fe6fc7201229fac92660198b0c803c7dca1f4f005e55ef82c3818c6" dmcf-pid="K94k95dzTC" dmcf-ptype="general">그러나 지금 우리 반도체 장비사들의 경쟁력은 제자리걸음입니다. 그래서 이들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라는 제한된 생태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아직도 그들의 '퀄 테스트' 선상에도 올라가기 힘든 열악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만연합니다.</p> <p contents-hash="9ae347945c80894c634d9d43c4fce36af785201b3115a372307cc453fcb1ba00" dmcf-pid="928E21JqSI" dmcf-ptype="general">물론 정부는 올해 4월 반도체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을 위한 투자보조금을 신설하면서, 기존 27조원 예산에서 33조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p> <p contents-hash="b84e32c37e68ef0b9bf939d4571d683d3ffafe8d1c591245b802318ad2ddd550" dmcf-pid="2V6DVtiBTO"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미 1~3기 반도체 펀드를 통해서만 133조 원을 투입해 엄청난 생태계를 만든 중국의 절대적인 규모를 보면 초조해지는 느낌은 어쩔 수 없는 듯 합니다. 게다가 주 52시간 근무제는 열정적인 연구를 주저하지 않는 글로벌 반도체 R&D 트렌드와 크게 동떨어져 있기도 하죠.</p> <div contents-hash="1ca35faaae5c2973ddc652e8f109539bc3828b9539579ca93d0346b6eac1242f" dmcf-pid="VfPwfFnbTs" dmcf-ptype="general">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는 지금 이런 현황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br> </div>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2af144b255e01cd30a399c758a338ffdf2382ecad7268fc51cd3b4808f30fef0" dmcf-pid="f4Qr43LKym" dmcf-ptype="line"> <div contents-hash="e69884d194e98888f7c8be49c2455e95bafecfeefa782f712dc74a0f6ca11c88" dmcf-pid="48xm80o9lr" dmcf-ptype="general"> <strong>SMIC와 중국 AI 칩 업계의 동맹</strong> </div> <hr class="line_divider" contents-hash="0be1454418c92bf8e9f7aecdb986a8339496c5739bf66c0f5e6adbf3d68307d8" dmcf-pid="86Ms6pg2Cw" dmcf-ptype="lin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43dabb61b63e4bf9e8800738e394d1d4e775976d115e1393ddacc7787b54c52" dmcf-pid="6PROPUaVv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알리바바의 AI 칩. 사진제공=알리바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3007lejw.jpg" data-org-width="687" dmcf-mid="4cCpwdWAy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3007lej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알리바바의 AI 칩. 사진제공=알리바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acb46c4d2030e31a032eb04b494ac6baea9db58af1666d3dded093b321ec502" dmcf-pid="PQeIQuNfhE" dmcf-ptype="general">다음은 AI 반도체에 대해 보시겠습니다. 요즘 국내외 언론에서는 중국의 AI 반도체를 집중 조명하는 추세인데요.</p> <p contents-hash="19baf62897f2b8da0c660f47221b11bb31e91fd94b715804fc319f447d4f5c92" dmcf-pid="QxdCx7j4Wk" dmcf-ptype="general">올 초에는 딥시크로 세상이 한바탕 난리가 나면서 여기에 활용된 화웨이의 '어센드' 칩이 주목을 받았고요. 요즘은 알리바바가 자체 AI 칩을 개발했다는 발표가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죠.</p> <p contents-hash="4178a485a554d4dc7bb284703ba6e19caf63bdfa294c73ac379099c88a7d111a" dmcf-pid="xMJhMzA8Sc" dmcf-ptype="general">이런 국면 속에서 중국 반도체 현황이 잘 정리된 모건 스탠리의 9월 4일자 리포트를 입수할 수 있었는데요. </p> <p contents-hash="85fe67b48a8659634d44d66a88560699896e00125a3aaccaeb20de9aa6ec6df8" dmcf-pid="yWX4WEUlWA" dmcf-ptype="general">우선 화웨이를 중심으로 한 중국 AI 칩 업체들과 현지 1위 파운드리 회사 SMIC의 공생 관계에 대해 나타낸 흥미로운 장표를 보시겠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6412fbf63dc32fe2466dbf443d15ff15aab1826ddb1e608f05e16422b29e78" dmcf-pid="W6Ms6pg2T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MIC의 중국 자체 AI 칩 생산 능력과 매출. 자료출처=모건스탠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4280wqfs.jpg" data-org-width="576" dmcf-mid="8lVNqGxpv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4280wqf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MIC의 중국 자체 AI 칩 생산 능력과 매출. 자료출처=모건스탠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c3e84993c1cc88c58a7baf78c9017cdd1140b6da9171f4db5507c4891ae5ff6" dmcf-pid="YPROPUaVvN" dmcf-ptype="general"><br>모건스탠리는 올해 SMIC가 12인치 웨이퍼 기준 월 7000장으로 시작해 내년에는 1만 3000장, 2027년에는 1만 8000장의 AI 반도체를 생산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p> <p contents-hash="2054f78262e3c484b013074e1922335fa0bd65a24e8fa452910c52fd4de5679d" dmcf-pid="GQeIQuNfva" dmcf-ptype="general">이 생산량 중에서 중국 대표 IT 기업인 화웨이의 물량 비중이 크기는 합니다.</p> <p contents-hash="4e4d071c1b5559924041f8ac6cc3a416ffc8db9eed43d2c0fa53e6239228b0f5" dmcf-pid="HxdCx7j4Wg" dmcf-ptype="general">우선 화웨이는 올해부터 완전 주력 제품인 '어센드 910C'를 7나노 공정으로 생산하는데, 생산능력은 월 1000장 수준이고요. 내년에는 910D(모건스탠리 보고서에는 910X로 언급돼 있지만 정황상 910D입니다) 양산하기 시작합니다.</p> <p contents-hash="deee7393af2d165e23e77080ecaf52ad8d0443f322539ee88d206a476cb51a17" dmcf-pid="XMJhMzA8vo" dmcf-ptype="general">올해 미국이 엔비디아 'H20' 중국 수출을 규제하자 대항마로 내놓은 '어센드 920'에 대한 정보는 빠져있습니다. 외신상으로는 SMIC의 6나노 공정을 활용해 하반기부터 생산한다고 합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cbc4768dd87140f322a86061591965c728238babd654f187d8c7778b3f1fa8" dmcf-pid="ZRilRqc6T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화웨이, 캠브리콘, 알리바바 등 중국 기업들의 AI 칩 개발 현황. 자료출처=모건스탠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5506kygl.jpg" data-org-width="1167" dmcf-mid="6d56Gw7vl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6/ked/20250906122955506kyg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화웨이, 캠브리콘, 알리바바 등 중국 기업들의 AI 칩 개발 현황. 자료출처=모건스탠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cbbba336ac06275ca60e29e05719a953c9786ff1728864a189dadd8d96eb654" dmcf-pid="5enSeBkPln" dmcf-ptype="general">화웨이를 제외한 다른 회사들의 웨이퍼 생산이 늘어나는 것도 있습니다. 캠브리콘, 알리바바 등의 칩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올해 월 3000장이었던 이들의 AI 칩 생산능력은 2027년 월 7000장까지 늘어날 듯 합니다. </p> <p contents-hash="b2d2e60b7d72c10d2eb86c23a34475602139110ce8e91985385f66e70b315575" dmcf-pid="1dLvdbEQyi" dmcf-ptype="general">이것은 생산량으로 보나 중국 내 수요로 보나 엄청 큰 규모는 아닙니다. 12인치 웨이퍼로 환산했을 때 현재 SMIC의 반도체 웨이퍼 생산 능력은 총 22만 장 수준입니다. 많아야 전체의 3% 입니다.</p> <p contents-hash="8c3cb5e9a4851c2580fa38a03fa1ba1f1dabd139edf9068f3a8331fce307331d" dmcf-pid="tJoTJKDxhJ" dmcf-ptype="general">또한 현재 생산 중인 화웨이 910B의 웨이퍼 수율도 30% 수준이라고 하니 생산 비용이 높고 칩 생산량은 더 적을 듯 합니다. </p> <p contents-hash="eff8052495a440a5424cca31a5fcbb933a32c91d01081d5ba0b58c1ce7c6b405" dmcf-pid="Figyi9wMSd" dmcf-ptype="general">2027년이 돼도 중국 내 AI칩 수요를 39%만 충족할 수 있다고 합니다.</p> <p contents-hash="71da3f2ea525cf0fcb12b34cd2b6a1a12163d961b99f84b60ceaf5f339214b7e" dmcf-pid="3naWn2rRhe" dmcf-ptype="general">성능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모건 스탠리는 자료를 통해 "중국 AI 연구자들과 대화해보면 이들은 아직도 자국 AI 칩보다는 H20을 더 선호하고 있다"며 "소프트웨어나 클러스터 쪽에서 엔비디아가 훨씬 앞선다"고 설명했는데요.</p> <p contents-hash="e18f2e26589e34ab845b146ba779661c22e563dc35ac39a218cc4c8aea4afbe6" dmcf-pid="0LNYLVmeWR" dmcf-ptype="general">엔비디아가 수년 동안 갖춰놓은 '풀스택' 소프트웨어를 따라잡기에는 중국도 많은 시간이 필요할 듯 합니다.</p> <p contents-hash="27e34bf8244142f751f3232dcd022a614b608381a8aef5330b234ad4378d5668" dmcf-pid="pojGofsdTM" dmcf-ptype="general">다만 반도체와 AI 굴기라는 목표에 완전히 '올인'하는 중국의 분위기 상 흐름은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적어도 매번 인력난에 시달리면서 시장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한국의 실정보다는 희망적입니다. 국가가 공격적으로 AI 반도체 생태계를 육성해야 하는 배경이기도 합니다.</p> <p contents-hash="6f0811045094e871a7cf44eadc22df920c26227dc172c3b550ddb4630e8136b8" dmcf-pid="UgAHg4OJvx" dmcf-ptype="general">중국은 화웨이, 캠브리콘의 자립을 돕겠다면서 엔비디아 AI 반도체 'H20'을 더이상 받지 않겠다는 강수를 뒀죠.</p> <p contents-hash="316b44f5bbdcf3f5f60285e4d31bac58ba8d11e7e3c5869b8b723e656bea1827" dmcf-pid="uacXa8IivQ" dmcf-ptype="general">중국 정부에 AI 반도체 기술에 대한 초조함이나 결핍이 느껴지기보단 외려 '위협하려면 해봐' 같은 여유가 보일 정도입니다. 한 업계 반도체 전문가는 "미국이 실수하는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p> <p contents-hash="c7c3147b81435f5936899f174e01d8855045ad7b6fdf1dc696d93405041cfccc" dmcf-pid="7AD1AQloyP" dmcf-ptype="general">앞으로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에서 중국이 어떤 기술로 치고 나갈 것인지에 대해 더욱 면밀히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p> <p contents-hash="020e68d815dfc4a917c9c7d8a6d9c3a64b621b701fef0194f99f6c8eb59eb6e8" dmcf-pid="zcwtcxSgv6" dmcf-ptype="general">강해령 기자 hr.kang@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