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
與 "韓불구속 납득 불가…내달 4일 내란특별재판부 설치법 상정"(종합)
N
[]
유승준 이제 한국행 가능? '비자발급 소송 승소'…"입국금지 신중"(종합2보)
N
[IT뉴스]
[현장] 오픈AI "기술과 예술의 만남, 모두에게 영감 줄 것"
N
[스포츠뉴스]
'배드민턴 세계 랭킹 1위 고공 행진' 안세영, 35분 만에 8강 진출...'심유진과 대결'
N
[스포츠뉴스]
태권도 이예지, 그랑프리 챌린지 여자 49㎏급 금메달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빗자루 타는 마법사 말벌? 2025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 본선 진출작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
2025-08-28 16:17:38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A9W0YQ0R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e9b86412401652b8ca64c0576078ce1e96a38f1b2640e0f27916f87a591f5b" dmcf-pid="Yc2YpGxpd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Bidyut Kalita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2849fqql.jpg" data-org-width="680" dmcf-mid="zq4CCc0Cn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2849fqq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Bidyut Kalita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772d1790bf2021cada24717a97d1ae20d271703bbcc9c6f577552d88e62410" dmcf-pid="GkVGUHMUeZ" dmcf-ptype="general">언뜻 보면 말벌이 빗자루를 타고 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마녀처럼 마법 지팡이를 타고 놀러 다니는 것도, 해리포터 영화에서 본 퀴디치 같은 경기를 하는 것도 아니다. 새끼에게 줄 먹이를 주기 위해 애벌레를 물고 가는 모습이다.</p> <p contents-hash="6c3b38e89036fb566f806a2ff728b2daf30ed12833c446d0361cca83351ec511" dmcf-pid="HEfHuXRunX" dmcf-ptype="general">이 장면은 야생동물 사진작가 비듀트 칼리타가 포착한 것으로, '2025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작가(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대회 본선 진출작이다.</p> <p contents-hash="77cc3a698ee8d62a1cc494f2c06051af21c43d77f702f1d0444985620bde5a23" dmcf-pid="XD4X7Ze7LH" dmcf-ptype="general">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작가 대회는 영국 런던 자연사박물관이 주최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야생동물 사진 공모전이다. 매년 전 세계에서 수만 점 이상의 작품이 출품된다. 이 가운데 약 100점이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돼 전시되며, 올해 10월 14일 최종 심사를 통해 부문별 우승작과 단 한 장의 '그랑프리(Grand Title Winner)'가 발표된다. 그랑프리는 '올해 최고의 야생동물 사진'으로 예술성과 생태학적 가치, 메시지 전달력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에 주어진다. </p> <p contents-hash="800c9e5744ecf38707503ed42773670bbbbdd6fff33ec2fade68794fee367866" dmcf-pid="Zw8Zz5dziG" dmcf-ptype="general">영국 BBC는 27일(현지시간)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작가 대회 본선 진출작으로 선정된 우수작 중 16점을 소개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d02820f590c7746a1dc09e9775813ccc58c5c9ba23905fbd053ff70a5370db" dmcf-pid="5Tnz6qc6J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mmanuel Tardy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4133vwwl.jpg" data-org-width="680" dmcf-mid="qPa88zA8M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4133vww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mmanuel Tardy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299da0866db1ea2a91c29651e8160432aa6fc1769d23cb95b7897c0830843f" dmcf-pid="1yLqPBkPnW" dmcf-ptype="general">● 내 집은 없다</p> <p contents-hash="8f5d3a0d9e6ff3429275924c63be82e40d48ade86b1a840c1324334b69cfe1c3" dmcf-pid="tWoBQbEQdy" dmcf-ptype="general">도로를 건넌 뒤 철조망 기둥을 꼭 붙잡고 있는 갈색목 세발가락 나무늘보의 모습을 포착했다. 산림 파괴로 서식지가 줄어들어 나무늘보들은 다른 나무로 이동하기 위해 땅 위를 더 자주 건너야 한다. 이 때문에 더 많은 사고 위험에 노출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c433703c90d3fa041e8747e055cacfbd3a3fe9965f289c8c7e086ce35aa359d" dmcf-pid="FYgbxKDxJ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Bertie Gregory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5457euxg.jpg" data-org-width="680" dmcf-mid="B7vAAdWAn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5457eux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Bertie Gregory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0f6400215990326d561141a860b77f92658a4108b25d452eb5fad675c73e78" dmcf-pid="3GaKM9wMLv" dmcf-ptype="general">● 얼음 끝에서의 여정</p> <p contents-hash="0261223a488122a4ea7a9ab92a6afdba16c176f81bbd3bbb759b783ea00ba604" dmcf-pid="0HN9R2rRLS" dmcf-ptype="general">빙붕 끝에서 아슬아슬하게 서 있는 어린 황제펭귄 무리를 포착했다. 보통 대부분의 펭귄들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얼음 경사로를 이용해 바다로 안전하게 내려간다. 하지만 사진 속 어린 황제펭귄 무리는 얼음 경사로로 내려가는 길을 놓친 것처럼 보인다. 스스로 살아남아야 하는 어린 황제펭귄들은 결국 차가운 바다로 뛰어들어 첫 먹이 사냥을 시도해야 한다. 과학자들은 해빙(바다 얼음)이 줄어들면서 황제펭귄이 빙붕에서 번식하게 될 수 있고, 그 결과 이런 ‘도약’ 장면이 더 자주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627ed3dde496555ecd6926b7bfa07706c37a73010317be5e0fdf8896e8684e" dmcf-pid="pXj2eVme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utub Uddin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6692xbdo.jpg" data-org-width="680" dmcf-mid="bBfFFy6Fi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6692xbd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utub Uddin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1ac8f40f2a4a57c3b398301db2089726d98475aa1c51459065aec564c304a42" dmcf-pid="UZAVdfsdJh" dmcf-ptype="general">● 점액 곰팡이 가족 사진</p> <p contents-hash="7ac51f2b48d9a51e39f6206bcdfbb37cb119b42b0778845fa5e6faea77576636" dmcf-pid="u5cfJ4OJeC" dmcf-ptype="general">숲 속에 쓰러진 통나무 위에서 모여 있는 점액 곰팡이 무리다. 이 사진을 찍은 쿠투브 우딘은 작은 노란색 곤충 알까지 함께한 이 장면을 '기묘한 가족 사진'이라고 명명했다. 점액 곰팡이는 스스로 움직이는 단세포 아메바 같은 유기체다. 평소에는 독립적으로 살아가지만 먹이를 찾고 번식하기 위해 함께 모여 하나의 개체처럼 기능할 때도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6b51a39e2bf0cd198d45af8deb5758bcd59fcd29223e6c1a94defd07aedd24" dmcf-pid="71k4i8IiR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Jamie Smar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7926ppoa.jpg" data-org-width="680" dmcf-mid="K73sYObYJ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7926ppo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Jamie Smar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c491b2a26a64700a2ed0b1fdcc71c57fdb5ad67e1c055dd35074f87e3e6e6e6" dmcf-pid="ztE8n6CnLO" dmcf-ptype="general">● 붉은사슴의 포효</p> <p contents-hash="c80350803f64c687305d989c1b6880c474bb42a472e29900df4bd73e83ddb7e8" dmcf-pid="qFD6LPhLJs" dmcf-ptype="general">가을 번식철 영국 레스터셔주 대형공원 브래드게이트 파크에서 붉은사슴 수컷이 울부짖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울부짖음은 암컷을 끌어들이고 다른 수컷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한 번식기의 행동이다. 붉은사슴 수컷의 뿔은 매년 봄 새롭게 자라며, 점점 더 크고 인상적으로 변한다. 이 과정에서 '타인(tine)'이라 불리는 새로운 뿔 갈래가 하나씩 추가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9b157e6d02b4cd0d0d83849be3f193f7ac68c6b4f5d7debeafec39527f6d63" dmcf-pid="B3wPoQloe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mit Eshel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9146adzj.jpg" data-org-width="680" dmcf-mid="9tJ78zA8e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49146adz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mit Eshel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33aea8d6b3e441ab4b65f8fcc0f79fdf24b45c77025d8e0e18a8795eded067e" dmcf-pid="br65q1Jqnr" dmcf-ptype="general">● 무리 속으로</p> <p contents-hash="451d8a2ca50a941fdee72aa0e7ee1e72c148d30b68cfb1b31987949d3bfaaf3a" dmcf-pid="KmP1BtiBiw" dmcf-ptype="general">영하 35도의 혹한 속, 호기심 많은 북극늑대 무리의 모습이다. 이 사진을 찍은 아밋 에셀은 "늑대들이 너무 가까이 다가와서 그들의 숨결 냄새까지 맡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북극늑대는 캐나다 북부와 그린란드 북부에서만 서식한다. 인간과의 접촉이 거의 없어 사람에게 호기심을 보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58d2cee4fdb0898ce1b1f7eb291692441063c67c8de15785f9d1285059a2ce" dmcf-pid="9sQtbFnbn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esshav Vikram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0455mavp.jpg" data-org-width="680" dmcf-mid="2H0OGIKGn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0455mav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esshav Vikram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941d10ffa5abaccdf63ba8cd477a62c92aa98abbf9b120894362f09660882e6" dmcf-pid="2OxFK3LKJE" dmcf-ptype="general">● 캄차카의 정수</p> <p contents-hash="5fb674d36faaf1288ae26da505e769878c6d2789b4a347e39c4f4f3a3464aa79" dmcf-pid="VIM390o9Jk" dmcf-ptype="general">구름 사이로 일린스키 화산이 모습을 드러낸 가운데 갈색곰이 러시아 극동 캄차카 반도 남쪽에 있는 쿠릴 호수 기슭을 거닐고 있다. 갈색곰은 대체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사진에 찍힐 당시에는 다른 곰들과 함께 식사를 하기 위해 이동 중이었다. 태평양에서 올라온 붉은연어 떼가 산란을 위해 본래의 호수로 회귀하는 시기였기 때문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6845c78a484257b410f2e38e0814ec0e90d3f0cc771b5dc705c303e7f34fac9" dmcf-pid="fCR02pg2R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Parham Pourahmad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1797ucqn.jpg" data-org-width="680" dmcf-mid="Vgx5q1JqR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1797ucq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Parham Pourahmad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910a44f4a7dc8a374f5c7c4dd9950b67240d8b36d38bdeaab29c5dfc1a69d86" dmcf-pid="4hepVUaVMA" dmcf-ptype="general">● 두 코요테의 이야기</p> <p contents-hash="697381b2df878a190d06d792c1f30e799c977bf1f2ca6df5422306fe4a6de059" dmcf-pid="8ldUfuNfRj" dmcf-ptype="general">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대형 공원 버널 하이츠 파크의 어느 날 아침, 암컷 코요테의 꼬리 너머로 보이는 수컷 코요테의 황갈색 눈을 담아냈다. 사진을 찍은 파르함 푸라하마드는 한 쌍의 코요테를 몇 시간 동안 따라다녔고, 수컷이 암컷에게 코를 비비며 멈춘 순간을 포착했다. 코요테는 적응력이 매우 뛰어난 동물로, 한때 사라졌던 샌프란시스코에서 다시 모습을 보이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9c630a13b731435ecacd79b740419d5d26bd06325551c7d5bc8213e2cfc7219" dmcf-pid="6SJu47j4n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eana Kuster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3117ikmi.jpg" data-org-width="680" dmcf-mid="fJqCXh2XR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3117ikm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eana Kuster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ca38380bada22a1f5ae54ff769636f989d8029339238239f168e78df4766c18" dmcf-pid="Pvi78zA8La" dmcf-ptype="general">● 핑크빛 자세</p> <p contents-hash="31f116ca03499f2669adbefb17edbff95ceeaf79d134e2a3eefc03ca0d7e205d" dmcf-pid="QTnz6qc6Mg" dmcf-ptype="general">긴 다리로 머리를 긁고 있는 붉은 홍학의 모습이다. 붉은 홍학은 얕고 염분이 많은 습지를 우아하게 거닐며 먹이를 찾는다. 연체동물과 갑각류를 걸러 먹기 위해 여과섭식을 한다. 홍학의 분홍빛 색깔은 카로티노이드(조류나 새우 같은 무척추동물에 들어 있는 색소)가 풍부한 먹이에서 비롯된다. 카로티노이드가 몸에 흡수돼 깃털이 쌓이면서 붉은 빛을 띠게 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6846dd253da940b543d5582b546967512ec026666f474b11fea69f6a85cdb5e" dmcf-pid="xyLqPBkPM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Marina Cano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4370osvl.jpg" data-org-width="680" dmcf-mid="47Vy3WP3i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4370osv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Marina Cano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b86295ac6055490cd9eaac793e851a6fc900e6b6c318a4df84b099f3df2cde" dmcf-pid="yx1Dvw7veL" dmcf-ptype="general">● 매우 중요한 수업</p> <p contents-hash="b9e6dff52ada29f7c3a5f204642edb8978c56c0edd355aba66abf59bd3c24867" dmcf-pid="WMtwTrzTJn" dmcf-ptype="general">케냐 삼부루 국립공원에서 어린 치타들이 작은 영양의 일종인 '귄터딕딕(Günther’s dik-dik)'을 사냥하는 장면이다. 어미 치타는 곁에서 이를 지켜보고 있다. 치타 새끼들은 태어난 뒤 약 두 달 동안 은신해 지낸다. 그러다 생후 1년쯤 지나면 어미와 함께 사냥에 나서며 잠행과 사냥 기술을 배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43119331821eacd3e837566a8cebc79b8e8e3bdc4c6a1cdbd4e52c74c4f0cbb" dmcf-pid="YiUIHC9Hn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akshitha Karunarathna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5619tswx.jpg" data-org-width="680" dmcf-mid="8CrasNtse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5619tsw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akshitha Karunarathna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192fcb4bf98c1153df2367f2458efc54ad9b5bc68e1b52dbfb6b42882e6ba75" dmcf-pid="GnuCXh2XLJ" dmcf-ptype="general">● 독성의 끝</p> <p contents-hash="ae55da439a8e115630bb9c8465a0d4bbc96f873739a79d128b009061c66d61ef" dmcf-pid="HL7hZlVZnd" dmcf-ptype="general">스리랑카 동부 암파라 지역의 한 쓰레기 매립지를 헤매는 외로운 아시아코끼리의 모습이다. 이 매립지는 10여 년 전, 약 300마리의 코끼리가 서식하는 보호구역 인근에 조성됐다. 코끼리들은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플라스틱까지 먹게 되는데, 이는 서서히 코끼리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688f1da791b2993e70a9c84382f9bb52a80e36dc0350fa7f2fe56a511a4b8b" dmcf-pid="Xozl5Sf5d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Gabriella Comi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6868irgk.jpg" data-org-width="680" dmcf-mid="6iYIHC9HR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6868irg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Gabriella Comi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543afda50ecacfda6197a2dfd002338b234cc4c171d7873b4ab807104e59c49" dmcf-pid="ZgqS1v41JR" dmcf-ptype="general">● 위기의 순간</p> <p contents-hash="07a81d48f1cbdb6e0648595c22ac67a88b2b49cf39176ab40ea3c273e3b935a5" dmcf-pid="5aBvtT8tiM" dmcf-ptype="general">세렝게티 국립공원에서 한 마리 코브라가 낮잠 자는 두 마리 사자 쪽으로 다가고 있었다. 그러자 그중 가장 나이 많은 사자가 다가오는 위협을 감지하고 몸을 일으켰다. 그리고 고개를 들어 코브라와 마주하는 모습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78cde788b2f1f893e3869c67722fba8a948189ad437753b8d69a946fe68da37" dmcf-pid="1NbTFy6Fn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Ralph Pace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8127wubd.jpg" data-org-width="680" dmcf-mid="PdK02pg2n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8127wub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Ralph Pace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bd80ace241fde970af0f216529a30cd097d116cd6461f6b4c877e0ef601338c" dmcf-pid="tjKy3WP3dQ" dmcf-ptype="general">● 해파리 무리의 여름</p> <p contents-hash="c206022b827f37043711682a7a578d6602dcc797344ddeac1ab3bfc685c05fdb" dmcf-pid="FA9W0YQ0nP" dmcf-ptype="general">태평양 해파리(Pacific sea nettle)가 몰려 있는 모습이다. 이 사진을 찍은 랄프 페이스는 잠수복으로 덮이지 않은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셀린을 발라 쏘임을 막았다. 길게 늘어진 태평양 해파리의 촉수는 통증을 유발하는 강한 자극을 준다. 페이스는 "그 고통이 쐐기풀보다는 벌에 쏘이는 느낌에 더 가깝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b7d3675d1ef30ce7fd6dcb60685c3f15d578299d55b3122b91bb3bef89a28ef" dmcf-pid="3c2YpGxpi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itaram Raul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9649ajyb.jpg" data-org-width="680" dmcf-mid="Q2Frymqye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159649ajy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itaram Raul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833ca6feb25f9613c5981d43b235ef7a3488003ed18c44138860582a675b973" dmcf-pid="0kVGUHMUJ8" dmcf-ptype="general">● 자연이 돌아온 자리</p> <p contents-hash="634266166e81421b6e95dc965ddb2bcadbf10fbd115b7527ab09648d4eefd2ac" dmcf-pid="pEfHuXRud4" dmcf-ptype="general">완전한 어둠 속에서 박쥐들이 날아오르고 있다. 남아시아에서는 과일박쥐들이 버려진 건물에 집단으로 서식하곤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ddcb44805313a5f8bca64630d6cffffc68541216cd31c4a586023ae0e7ad5d" dmcf-pid="UD4X7Ze7M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Isaac Szabo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200912odig.jpg" data-org-width="680" dmcf-mid="xXJu47j4J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200912odi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Isaac Szabo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cbba65aaac87447e3593657062fd4d5fd7da006aed439122b92a712a162ff57" dmcf-pid="ukVGUHMUnV" dmcf-ptype="general">● 생명의 연약한 강</p> <p contents-hash="3983b4ef1eb71157aed7ed678e34fc79bbc4536969b131c861e5ef40a25050ab" dmcf-pid="7EfHuXRuJ2" dmcf-ptype="general">미국 플로리다의 이체터크니강에서 헤엄치는 암컷 롱노즈가(longnose gar)와 수컷 롱노즈가들의 모습이다. 롱노즈가는 북미의 강과 호수에 사는 길고 뾰족한 주둥이를 가진 물고기로, 공룡 시대부터 살아온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린다.</p> <p contents-hash="0bea8c00a7c9700691a06485df5ebaec5d3e04f79b7436d8692f82c068564870" dmcf-pid="zD4X7Ze7M9" dmcf-ptype="general">롱노즈가가 사는 수정처럼 맑은 이체터크니강은 플로리다의 컬럼비아 카운티에 있는 담수 용천이 흘려보내는 물줄기 가운데 하나로, 수질이 투명하고 맑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체터크니강은 수많은 생명을 살리는 터전이지만, 지하수 남용과 오염 같은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쉽게 훼손될 수 있는 취약한 생태계를 상징하기도 한다. 사진의 제목이 '생명의 연약한 강'인 이유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5e96b046a34f92ed4b392be11d257c41dc85dc05a53a0fe706fb6bcb5ac9cff" dmcf-pid="qw8Zz5dze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Jassen Todorov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202214rdwy.jpg" data-org-width="680" dmcf-mid="ythJkiGkM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dongascience/20250828161202214rdw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Jassen Todorov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70c6a693082e1742864b5ef0d01435298b79794a6653e6dafe6313a3c9eb486" dmcf-pid="Br65q1Jqdb" dmcf-ptype="general">● 황금빛 구름</p> <p contents-hash="fc80b7e6d4b96d9d21fa99cfd7b0b583511280acb962b81d47b0008696da7735" dmcf-pid="bmP1BtiBnB" dmcf-ptype="general">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만 상공에서 촬영된 모습으로, 광활한 염전 위에 비친 구름을 포착한 것이다. 약 5000헥타르(ha)에 달하는 이 염전은 햇빛을 받으면 끊임없이 색이 변한다. </p> <p contents-hash="edbe2d14c54e920c8ab84777a5e59732986042814fc64f2f5e2aa429d63a5ad6" dmcf-pid="KsQtbFnbLq" dmcf-ptype="general">[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