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스포츠뉴스]
‘역대 최대 규모 파견’ 한국 사격 선수단 105명, 아시아사격선수권대회 출정
N
[연예뉴스]
진구, 5년 전 갑자기 활동중단 잠수 탄 이유는? ('여행을 대신해 드립니다')
N
[연예뉴스]
윤정수, 예비신부 최초 공개?…‘1호가 될 순 없어 2’ 예고 화제
N
[연예뉴스]
이동욱♥이성경, 애틋 입맞춤 침묵... 위기 찾아와(착한사나이)
N
[연예뉴스]
'비정상회담' 럭키, 내달 한국인 여성과 결혼…"예비신부 임신중"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사이언스샷] “우스워? 목숨 건 싸움이야” BMC 과학사진전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
2025-08-15 06:07:30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사이가산양 수컷들의 대결이 우승<br>과학자들의 연구 현장을 생생히 전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LgTbgqyNQ"> <p contents-hash="99d3a057f35b36c8ce5db111450dfb30686d194b3d9a04553518628c250b25b3" dmcf-pid="HU7Jh7IigP" dmcf-ptype="general">사이가산양(학명 Saiga tatarica) 수컷 두 마리가 초원에서 맞붙고 있다. 맥(貘)을 닮은 커다란 코 때문에 우스꽝스럽기도 하지만, 둘에겐 목숨이 달린 심각한 싸움이다. 수컷들은 발정기에 암컷을 두고 치열한 싸움을 하는데, 이때 50~70%가 목숨을 잃는다. 죽느냐, 아니면 짝을 찾느냐 절체절명의 순간이다.</p> <p contents-hash="fe40317cb43f43ffa3228d93e570d5f1eb2df2972dcaf89560ffdd0eb92461db" dmcf-pid="XuzilzCnk6" dmcf-ptype="general">영국의 국제 학술지 ‘BMC(BioMed Central) 생태학과 진화’와 ‘BMC 동물학’은 “올해 과학사진전에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대 척추동물학과의 안드레이 길요프(Andrey Giljov) 교수가 ‘사이가산양의 초원 스파링’으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고 15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57c50436e9718345b4518a105afdd5ea2c67b0ef2e2b230b067e3f57ce0cc80" dmcf-pid="Z7qnSqhLg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종합 우승, '사이가산양의 초원 스파링', Andrey Giljov/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7626xjsw.jpg" data-org-width="4954" dmcf-mid="2OiaW9TNa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7626xjs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종합 우승, '사이가산양의 초원 스파링', Andrey Giljov/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a92ee0a82cc3ee91c158560e2ed347a70a258d21205c7bad89ede0902d7c12e" dmcf-pid="5zBLvBloN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7913sgqf.png" data-org-width="1800" dmcf-mid="VmbfcXj4a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7913sgqf.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c678042ab672324826cf200233d3a8f9b3cbe58ad1857bf7ac3475c033e24891" dmcf-pid="1qboTbSggf" dmcf-ptype="general"><strong>◇‘죽느냐 짝을 찾느냐, 그것이 문제로다’</strong></p> <p contents-hash="de97e7f38444ce8ed8ef69780db070cd7930b32ebd785fa48e63c783752af921" dmcf-pid="tBKgyKvagV" dmcf-ptype="general">두 학술지는 2021년부터 매년 생태학과 진화생물학, 고생물학, 동물학 연구자들이 자연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찍거나 만든 이미지를 대상으로 사진전을 개최했다. 주최 측은 종합 우승 작품과 함께 네 가지 부문에서 우승자와 준우승자를 선정한다. 집단사회 행동과, 움직이는 생물, 색채 전략, 연구 현장 부문이다.</p> <p contents-hash="3026cf8c12b58e5177c9c88f450d1a785c3a15f700e8f70aabb377f7baaabbbb" dmcf-pid="Fb9aW9TNk2" dmcf-ptype="general">사이가산양은 코가 커서 큰코영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큰 코는 먼지를 걸러내면서 혈관으로 몸에 들어가는 차가운 공기를 데운다. 길요프 교수는 “수컷들의 대결장 근처에 위장 은신처를 마련하고 사이가산양이 놀라 도망가지 않고 다가오도록 소리도 내지 않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0ef3ca331c787a3a7f94446d2e2028347c07163d4ab9f7b7e0eb278d3917ad4" dmcf-pid="3K2NY2yjj9" dmcf-ptype="general">야생동물 사진전은 많다. BMC 사진전이 특이한 점은 사진에 숨은 과학적 의미까지 본다는 점이다. BMC 생태학과 진화 학술지의 편집위원인 크리스티 힙슬리(Christy Hipsley)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는 “파스텔 톤의 배경과 만화 같은 얼굴이 이 순간의 폭력적인 분위기와 대조를 룬다”고 평가하면서 “사이가산양은 빙하기와 서식지 파괴, 밀렵까지 견뎠지만, 수컷들이 번식기까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라고 과학적 질문도 잊지 않았다.</p> <p contents-hash="1d9547014253cb198acefad43c76defd801b08c3b6da11dfe680f163be42039e" dmcf-pid="09VjGVWAkK" dmcf-ptype="general">사이가산양은 258만년 전에서 1만 2000년 전에 이르는 플라이스토세(世)만 하더라도 매머드와 같이 전 세계 대초원을 누볐으나 지금은 러시아, 카자흐스탄, 몽골에서만 발견된다.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생태계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까지 내몰렸었다. 보전 노력 덕분에 개체 수가 많이 회복됐지만, 여전히 번식기에 격렬한 싸움으로 수컷들이 목숨을 잃어 과학자들을 안타깝게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8b59c67b566526d5b48fb8546c21640c8c9bea6ec3f30c5e20a4aa58ae130d" dmcf-pid="p2fAHfYca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집단사회행동 부문 1등, '유충과 자연: 근접 촬영의 여정', Sritam Kumar Sethy/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9305zcaw.jpg" data-org-width="3019" dmcf-mid="fGF9NYg2c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19305zca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집단사회행동 부문 1등, '유충과 자연: 근접 촬영의 여정', Sritam Kumar Sethy/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1b0cdaf722b38012bf29042a64a6acc1d2d2a5673ce79876abe15fd5af2ea30" dmcf-pid="UV4cX4GkjB" dmcf-ptype="general"><strong>◇‘뭉치면 산다, 엄마 있으면 끄떡없어’</strong></p> <p contents-hash="cfc329212ba471c5bb8617183bb5ceeb4953fc876ae4926f5ce3648557dd74f5" dmcf-pid="uGXfcXj4aq" dmcf-ptype="general">집단사회행동 부문 우승은 인도 브라마푸르대의 스리탐 쿠마르 세티(Sritam Kumar Sethy)가 노린재(Acanthocoris scaber) 유충들이 잎에 모여 있는 모습을 찍은 ‘유충과 자연: 근접 촬영의 여정’에 돌아갔다. 사진을 찍은 잎은 습도가 높아 곤충들이 성장하고 탈피하는 데 안전한 공간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f316710624b8d2811e04eb83d05f804dab546f2073f8b5f9910120f28552ba55" dmcf-pid="7HZ4kZA8cz" dmcf-ptype="general">세티는 “유충들이 모여 있으면 포식자가 쉽게 덤비지 못해 각자 먹이가 될 가능성을 줄인다”며 “집단을 이루면 먹이와 수분과 같은 필수 자원을 얻는 데도 도움이 돼 취약한 초기 발생 단계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cc4bddc2c76ccabfaf013f80b58e87dd11ed8b3a20d26c806d9bd27e304ab0e" dmcf-pid="zX58E5c6g7" dmcf-ptype="general">준우승은 영국 엑서터대의 닉 로일(Nick Royle) 교수가 찍은 ‘송장벌레의 육아’가 받았다. 송장벌레는 작은 동물의 사체에 알을 낳고 키운다. 로일 교수는 검정수염송장벌레(Nicrophorus vespilloides)가 쥐의 사체에서 유충에게 먹이를 주는 모습을 찍었다. 겉으로는 끔찍한 모습이지만 그 안에는 송장벌레 어미의 지극정성이 담겨있다. 송장벌레는 짐승의 썩은 고기에서 새끼를 키우지만 수시로 천연 소독제를 분비해 병원균을 차단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b77efb66c9764a6235badf6713352b7ff5c107291a96236d61d42cde93fdbb" dmcf-pid="qZ16D1kPk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움직이는 생물 부문 1위, '쥐라기 헤브리디스 분지 위를 비행하는 익룡', Natalia Jagielska/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0656sldh.jpg" data-org-width="3000" dmcf-mid="4S9eIUsdA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0656sld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움직이는 생물 부문 1위, '쥐라기 헤브리디스 분지 위를 비행하는 익룡', Natalia Jagielska/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b5cacc58e1c8ed06bc206f66e2b177eb69fb235b0ce4f1c29957366e4801c86" dmcf-pid="B5tPwtEQoU" dmcf-ptype="general">움직이는 생물 부문 우승은 사진이 아니라 상상도이다. 홍콩 중문대의 나탈리아 자기엘스카(Natalia Jagielska) 박사후연구원이 출품한 ‘쥐라기 헤브리디스 분지 위를 날아가는 익룡((翼龍)’이다. 하늘을 나는 대형 파충류인 익룡은 약 2억3000만년 전 지구에 출현해서 육지의 공룡과 함께 중생대를 지배했다.</p> <p contents-hash="70e83185e4289de71d51078ba35ca62a5a41da346d52c37ae88f0387d68b15c7" dmcf-pid="b1FQrFDxAp" dmcf-ptype="general">자기엘스카 박사는 2017년 스코틀랜드 스카이섬에서 발굴된 1억7000년 전 익룡인 디어크 스기아타나흐(Dearc sgiathanach) 화석을 X선으로 촬영했다. 이 정보로 신체 구조를 재구성해 익룡이 생전 어떻게 비행하고 사냥했을지 연구했다. 수상작은 그 결과로 나왔다. 자기엘스카 박사는 “디어크는 익룡이 더 크고 육상 생활에도 적응한 형태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329a47c72dc406e02423cf6e6ab3467d12257660876881c9738913c7abfcb73" dmcf-pid="Kt3xm3wMo0" dmcf-ptype="general">준우승은 노르웨이 바랑게르에서 핀란드 자연자원연구소의 알빈 하르덴볼(Alwin Hardenbol) 박사가 배를 타고 찍은 혹등고래(Megaptera novaeangliae)의 사진이 받았다. 혹등고래가 해수면을 박차고 도약하는 순간을 포착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5dd958f3e8830db550f842ede35efa34445135acb8486bbbeb0ea0db52976c" dmcf-pid="9F0Ms0rRA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색채 전략 부문 1위, '눈에는 눈', Abhijeet Bayani/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1980ujol.jpg" data-org-width="4000" dmcf-mid="8x9ilzCnc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1980ujo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색채 전략 부문 1위, '눈에는 눈', Abhijeet Bayani/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144a21813ba3429b029a650f1d852d111d022ce1f08c19a9034feac5b712401" dmcf-pid="23pROpmeAF" dmcf-ptype="general"><strong>◇‘내가 아직도 딱정벌레로 보여?’</strong></p> <p contents-hash="fcc00fdcb9682b78a3246bdb40cd16569267b158d3698055b7d3956e1502d122" dmcf-pid="V0UeIUsdgt" dmcf-ptype="general">색채 전략 부문 우승은 인도 과학연구소의 아비제트 바야니(Abhijeet Bayani) 박사가 출품한 ‘눈에는 눈’이 받았다. 이 사진은 딱정벌레의 위협 행동(deimatic behavior)을 포착했다. 곤충이 실제보다 더 크거나 위협적으로 보이도록 해 포식자를 위협하거나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0e41487598df34db2d5c45848816722c48a12d4a98f472ff067137f5767eb732" dmcf-pid="fpudCuOJN1"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갑자기 덩치가 큰 동물의 눈 모양을 보여 포식자를 겁주거나 순간적으로 주의를 분산시켜 탈출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바야니 박사는 “처음 딱정벌레를 발견했을 때 다른 바가 없었지만, 정면에서 촬영을 시작하자 갑자기 몸을 돌려 황소가 바라보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8099e78a07ca38fc543ec871b8ac1d2a6175360b5ae1962cafa778fe264baba" dmcf-pid="4U7Jh7Iik5" dmcf-ptype="general">준우승은 인도 브라마푸르대의 스리탐 쿠마르 세티가 보이에사마귀개구리(Fejervarya limnocharis)가 나무와 한 몸이 된 순간을 찍은 ‘위장술의 달인’에 돌아갔다. 개구리 피부는 나무의 거친 껍질과 거의 구분되지 않아, 포식자를 피하고 사냥감을 습격하기에 완벽한 위장술을 제공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58e6f5b35c513003cf1af17b5809ac1d92578b48872f9e02814f4c57b8a665a" dmcf-pid="8uzilzCnN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 현장 부문 1위, 영국 희귀 딱정벌레 연구용 전자태크, Nick Royle/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3338hgjf.jpg" data-org-width="4000" dmcf-mid="6TKJh7Iij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3338hgj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 현장 부문 1위, 영국 희귀 딱정벌레 연구용 전자태크, Nick Royle/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14acade58f716a2e7aef93a3021aa85ca96e9b6dccdc02269cc244c6afd09d8" dmcf-pid="67qnSqhLaX" dmcf-ptype="general">연구 현장 부문 1위는 영국 엑서터대의 닉 로일 교수가 파란 땅딱정벌레(Carabus intricatus)에 전자태그를 붙인 모습을 찍은 사진이 수상했다. 전자태그 덕분에 희귀 곤충이 먹이를 찾고 짝을 찾는 동안의 움직임과 행동을 추적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969cf68940b2669d6983ce598cf5936a6befec126de5ea69392d9b5c8a0ec8cc" dmcf-pid="PNAGVA9HoH" dmcf-ptype="general">BMC 생태학과 진화의 편집위원인 카멜 맥도걸(Carmel McDougall)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교수는 “기술의 발전이 종의 보존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 데 어떻게 도움을 주는지 보여주는 아름다운 사진”이라고 평가했다.</p> <p contents-hash="3d3d38fbc927154ab62391f7c7779bca00b32186bafe3d1bed053a1730df56cd" dmcf-pid="QjcHfc2XNG" dmcf-ptype="general">2위는 영국 애버딘대의 잭 뱀버(Jack Bamber) 교수가 출품한 ‘불침번’에 돌아갔다. 스코틀랜드에서 뇌조 가족이 동작 감응 카메라에 찍힌 사진이다.</p> <p contents-hash="e48a848d4015a871c34f27720211b67beb793be0f1ea6e74c900a4262c016b00" dmcf-pid="xAkX4kVZAY" dmcf-ptype="general">핀란드 자연자원연구소의 알빈 하르덴볼 박사가 출품한 ‘경계’는 핀란드에서 서유럽 해안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휴식 중인 기러기(Branta leucopsis)가 주변 환경을 살피는 순간을 포착해 장려상을 받았다. 노르웨이 오슬로대의 조너선 골든버그(Jonathan Goldenberg) 박사는 나뭇가지 위에 균형을 잡은 보석 도마뱀붙이(Naultinus gemmeus)의 사진인 ‘찾아봐’로 장려상을 받았다.</p> <p contents-hash="9672504d119bb54531adb32ffeade690290e95bd5354d485b3aaebe49760b676" dmcf-pid="yU7Jh7IiaW"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11ae39a4093654a942fa5f4d4776dd5d5602883de95a391be2c044d55334caf6" dmcf-pid="WuzilzCnky" dmcf-ptype="general">2025 BMC Ecology and Evolution and BMC Zoology Image Competition, DOI: <span>https://doi.org/10.1186/s12862-025-02423-6</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57bed5f3fb56e6c60d22e299d11785933474a2d42bdf0204c0892cc52bede3c" dmcf-pid="Y7qnSqhLc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려상, '경계', Alwin Hardenbol /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4685bxhw.jpg" data-org-width="4000" dmcf-mid="PruQrFDxk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4685bxh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려상, '경계', Alwin Hardenbol /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f50bbb9b7539ac599467369f199cf2a739bb8215c8763412c69722e3a2459fa" dmcf-pid="GzBLvBloo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장려상, '찾아봐', Jonathan Goldenberg/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6116qisd.jpg" data-org-width="3797" dmcf-mid="QEj1Pw8tj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6116qis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장려상, '찾아봐', Jonathan Goldenberg/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11e6fdf898658de9610f157a408f219e067dd7798eefb02a3f80c09beb9e3f" dmcf-pid="HqboTbSgk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움직이는 생물 부문 2위, '점프', Alwin Hardenbol/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7514stae.jpg" data-org-width="4000" dmcf-mid="xT6Ope3Ij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7514sta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움직이는 생물 부문 2위, '점프', Alwin Hardenbol/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101cb509bd9bf9478b3888c2d6859f28594dc5399300e8cffccffe5cd4a69f5" dmcf-pid="XBKgyKvaA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연구 현장 부문 2위, '닭들의 불침번', Jack Bamber/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8949sdlq.jpg" data-org-width="4000" dmcf-mid="yxm7ildzo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28949sdl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연구 현장 부문 2위, '닭들의 불침번', Jack Bamber/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312fae59e6170408273fc7efbc077676791a86f8448769f4045dea59a0b0e12" dmcf-pid="Zb9aW9TNN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색채 전략 부문 2위, '송장벌레의 육아', Nick Royle/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30393abny.jpg" data-org-width="3808" dmcf-mid="WTudCuOJc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30393abn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색채 전략 부문 2위, '송장벌레의 육아', Nick Royle/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2097f379c291428faf8fd7d4d0989cf7f6e335ec5d5668efdc52b9cf0dcdacc" dmcf-pid="5K2NY2yjc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색채 전략 부문 2위, '위장술의 달인', Sritam Kumar Sethy/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31830jhlu.jpg" data-org-width="3000" dmcf-mid="YeEZ8Ef5g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chosunbiz/20250815060231830jhl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색채 전략 부문 2위, '위장술의 달인', Sritam Kumar Sethy/2025 BMC journals image competition.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17675aabd308f5d1ddf0b0e0fee7ded18df2a7d97e8a6fa6744cf14e6e2f208" dmcf-pid="19VjGVWAaI"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