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
김건희, 구속 이후 첫 조사 시작..."공천 개입 추궁"
N
[IT뉴스]
KAIST, 전력 없이 빛만으로 20배 민감한 센서 개발
N
[연예뉴스]
KAIST, 전력 없이 빛만으로 20배 민감한 센서 개발
N
[연예뉴스]
팬덤중계, 8월 3주차 라인업
N
[연예뉴스]
'우정잉 걸그룹' 투데이야, 데뷔곡 '꺼지지 않는 빛' 발매…광복의 가치 표현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4K 모니터 가독성·작업 공간 딜레마, 37인치로 한방에 해결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0
2025-08-14 09:27:29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뷰] 삼성전자 뷰피니티 S8 37형 모니터(S80UD)</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xa0xiUlNx"> <p contents-hash="87c01dad9cf2c9f0ea12235ea6194db54c7790b56d5c779d1eb544b83fa25a77" dmcf-pid="tMNpMnuSkQ"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삼성전자 뷰피니티 S8 37형 모니터(모델명: S80UD, 이하 S80UD)는 8월 현재 국내 출시된 37인치 모니터 중 4K UHD 해상도(3840×2160 화소)를 구현했다. 기존 32형 4K 모니터의 가독성 문제와 듀얼 모니터 구성의 복잡성을 동시에 해결했다.</p> <p contents-hash="bb3e42e73230ba95295830d03d95fd7f0e0135a05a193756a90967c946f0fc71" dmcf-pid="FRjURL7vcP" dmcf-ptype="general">sRGB 색공간을 100% 충족하며 HDR10으로 10억 7천만 색(10비트)을 이용해 HDR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다. 영상 입력 단자는 HDMI 2.0, 디스플레이포트 1.2, USB-C(DP Alt) 등 총 3개이며 USB-C 단자는 기기 충전과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06caf262328df2293b6f1362b9b5bcefd168afb6645d1134f68a82ee1ce851" dmcf-pid="3u4luKvag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삼성전자 뷰피니티 S8 37형 모니터.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3492xzwk.jpg" data-org-width="604" dmcf-mid="U5qmnjKGo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3492xzw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삼성전자 뷰피니티 S8 37형 모니터.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0232beac83c94f7744cba1b925cc80fafcc19def336087623a35e424bf90a34" dmcf-pid="078S79TNa8" dmcf-ptype="general">모니터 케이스의 85% 이상에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했고 EPEAT GOLD, 에너지스타, TUV 탄소발자국 인증 등을 획득했다. 디스플레이 높이와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탠드도 기본 제공한다. 가격은 60만 9천원(삼성전자 공식몰 기준).</p> <p contents-hash="50022697df2e1a6adf19dd83c4168a336e778924a62811058e586a4438f683a2" dmcf-pid="pz6vz2yjj4" dmcf-ptype="general"><strong>화면 테두리 최소화</strong></p> <p contents-hash="500643fc8470eb650551799645fc51a68a62f9895ab57775e9574ac745f8a9d7" dmcf-pid="UqPTqVWAcf" dmcf-ptype="general">S80UD는 화면 테두리를 최소 수준으로 줄이고 브랜드 로고와 LED도 화면 아래 최소 수준으로 배치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ac27107b9571d5727a37de4ea0c9f9f11de047a5846a4b0b3846610df75362" dmcf-pid="uBQyBfYck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화면 테두리를 최소화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4748ztdl.jpg" data-org-width="640" dmcf-mid="u1RXsSJqk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4748ztd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화면 테두리를 최소화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4530111e25c549c6722e598ed00c92f99a2b2096acd71b6f4e599c11a7fef9a" dmcf-pid="7bxWb4GkN2" dmcf-ptype="general">영상 입력 단자는 HDMI 2.0 1개, 디스플레이포트 1.2 1개, USB-C 1개 등 총 3개이며 PC와 연결하면 USB-A(USB 3.0) 단자 3개를 활용한 허브 기능도 쓸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54fab1951e49da460ea69bf57e056d1061a305424e1feb98db0e2cfb68eb2ee" dmcf-pid="zKMYK8HEc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HDMI 2.0 단자, 디스플레이포트 1.2 단자, USB-C 등 영상 입력을 지원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5994wmun.jpg" data-org-width="640" dmcf-mid="74Yf3zCno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5994wmu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HDMI 2.0 단자, 디스플레이포트 1.2 단자, USB-C 등 영상 입력을 지원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53bd1732087312bd3a17f9b83a4379ad11982d4fcf52b69ce1583bb54a8a7b2" dmcf-pid="q9RG96XDaK" dmcf-ptype="general">USB-C 단자는 영상 입력과 USB-PD 90W 충전 기능, 1Gbps 이더넷 연결까지 지원한다. 썬더볼트 단자 내장 노트북과 케이블 하나로 모든 연결이 끝나며 기본 제공 USB-C 케이블 이외에 썬더볼트3나 USB4를 지원하는 케이블도 호환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cdcd2a213105dd57a74dfa50b6f7a80298e67adcfdddfbbf4dea4d28d644ed" dmcf-pid="B2eH2PZwk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USB 허브 기능을 이용해 각종 입력장치를 연결해 활용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7258wntr.jpg" data-org-width="640" dmcf-mid="z11xz2yjN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7258wnt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USB 허브 기능을 이용해 각종 입력장치를 연결해 활용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c34a8e9b370f26697a74cb5a74308d22642141db7f760b7f4cb6e8c09404aa9" dmcf-pid="bVdXVQ5rAB" dmcf-ptype="general">모니터 화면 뒤 전원 버튼은 각종 메뉴 조절 기능을 겸한다. 기본 제공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 USB-C 케이블, HDMI 케이블 등이며 디스플레이포트 케이블, USB 허브 활용에 필요한 타입 B to A 케이블은 별매다.</p> <p contents-hash="69697826b6756d8c32817fd3205eeb52e0e7beda80a6c71590b2dba17a3f09f4" dmcf-pid="KfJZfx1maq" dmcf-ptype="general"><strong>스탠드 도구 없이 조립... 높이·각도 최적 조절 가능</strong></p> <p contents-hash="a13a1b542517d3ee635854407305353ab30097b2805ece47757bda3bd57b287c" dmcf-pid="94i54Mtsgz" dmcf-ptype="general">S80UD는 조립할 때 별도 공구 없이 바로 조립이 가능한 '이지 셋업 스탠드'를 적용했다. 스탠드 베이스를 바닥에 놓고 지주를 끼운 뒤, 모니터 본체를 지주에 걸기만 하면 조립이 끝나며 분해 과정에도 공구가 필요 없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0b35d16e3a795e21fb0ebdcba3b9ad76bd760e54ee6236330a3104ae684a54" dmcf-pid="28n18RFOk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상하 각도는 위로 20도, 아래로 -5도 조절 가능하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8485zafk.jpg" data-org-width="640" dmcf-mid="qLMIgkVZg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8485zaf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상하 각도는 위로 20도, 아래로 -5도 조절 가능하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5edfe6348f3f147e862c455e31e1dca2d50051bcf2fefdfd98997e32bdad7ed" dmcf-pid="VpVCpBloN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좌우 각도는 최대 30도로 조절 가능하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9730auvj.jpg" data-org-width="640" dmcf-mid="B80dK8HEN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19730auv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좌우 각도는 최대 30도로 조절 가능하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fc85acb2cba6ab49610a000c037764f5f4bf081f157e4f7b42a54312302726" dmcf-pid="fUfhUbSgAU" dmcf-ptype="general">스탠드는 화면 높이(0~12cm), 상하 각도(-5도~+20도), 좌우 각도(최대 30도)를 조절해 눈 높이에 맞는 최적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돌리는 피벗 기능이 필요하다면 베사 규격(100×100) 별도 마운트나 모니터암이 필요하다.</p> <p contents-hash="00fbaefd236441e1715431f34e6cbdca0dc1015dfe921488760041d08f40c96d" dmcf-pid="4u4luKvagp" dmcf-ptype="general"><strong>윈도11 화면 배율 125% 설정시도 눈 피로 덜해</strong></p> <p contents-hash="f0f564f1a48208ca39391db4957bb322e405869f4a613896caff56c5dab9ef02" dmcf-pid="878S79TNk0" dmcf-ptype="general">기존 32형 4K 모니터에서 화면 배율을 100%로 설정하면 글자가 지나치게 작아진다. 윈도11에서 화면 배율을 150%로 설정하면 가독성과 해상도 면에서 균형을 찾을 수 있지만 활용 가능한 영역도 그만큼 줄어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a12052c04ac74f5d1b24b1f7e34555fd336120ab5f73b55971bf286344a4bde" dmcf-pid="6z6vz2yjg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윈도11에서 화면 배율을 125%로 설정해도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1002bezl.jpg" data-org-width="640" dmcf-mid="bR940qhLa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1002bez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윈도11에서 화면 배율을 125%로 설정해도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6a8cab0d666a60e1be7e924a9c870626deab1769ebfd9fdece35a88bd211039" dmcf-pid="PqPTqVWAo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맥OS에서 3008×1692 화소로 설정한 상태. 1.2미터 떨어진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수준이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2228usoa.jpg" data-org-width="640" dmcf-mid="K7q91Usdk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2228uso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맥OS에서 3008×1692 화소로 설정한 상태. 1.2미터 떨어진 상태에서 식별 가능한 수준이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6492f145e3be9e8fff617df05103cf0dcf85c486621128f23b8467236dc1980" dmcf-pid="QBQyBfYcAt" dmcf-ptype="general">S80UD는 시력 1.0 기준, 화면과 1.2미터 가량 떨어진 상태에서 윈도11 운영체제는 화면 배율 125%, 맥OS에서는 3008×1692 화소로 설정해도 글자와 아이콘 등을 명확히 알아볼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9e64b4d09b347c85323db547692293af4a4f1cd51f11dc2be1d2a2ade3780c3" dmcf-pid="xbxWb4Gka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임이나 그래픽 등에 적합한 각종 화면 모드를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3573bxww.jpg" data-org-width="640" dmcf-mid="9voPuKvaN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3573bxw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임이나 그래픽 등에 적합한 각종 화면 모드를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2ba7cf96de63a25081e121cb26be216d1cc82b36e020d63c585c23828df8900" dmcf-pid="yryMrhe7c5" dmcf-ptype="general">업무나 영상 재생 등에 중점을 둔 모니터로 AMD 프리싱크나 베사 어댑티브싱크, 가변주사율 등 게임 관련 특화 기능은 없다. 단 일인칭시점슈팅(FPS), 롤플레잉게임(RPG) 등 게임 특성에 맞는 색상 모드는 내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365d3eb6cf45f5f7c1e2700358d0e16c88116149d0a61e038baca38d88a3c8e3" dmcf-pid="WmWRmldzcZ" dmcf-ptype="general"><strong>OTT·유튜브 HDR 콘텐츠 재생 가능</strong></p> <p contents-hash="36a525be15f4937ea0c7820cded6680c6518fc3ce1006a48d6a6184b9c4865b2" dmcf-pid="YsYesSJqAX" dmcf-ptype="general">S80UD는 10비트 출력이 가능한 VA 패널을 내장했다. HDR 기능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와 연결하고 윈도11과 맥OS 등에서 이를 활성화 하면 넷플릭스 등 OTT 플랫폼이나 유튜브에 올라온 HDR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1ec1439f71c0b2b76de34e9ce8a37ec7bd66cdda1f3f7fc71231d6310f5b3b1" dmcf-pid="GOGdOviBA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HDR 지원 설정 후 유튜브 HDR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4835zstq.jpg" data-org-width="640" dmcf-mid="2Wmg8RFOA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4835zst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HDR 지원 설정 후 유튜브 HDR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e79980b4532099ff6e9a05a18c5377d7f2e10e38cdffb51f6b05b3b8ac4647c" dmcf-pid="HIHJITnbc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화질 최적화 기능은 밝기와 대비를 자동 조절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6088tldz.jpg" data-org-width="640" dmcf-mid="fOCAxiUl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6088tld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화질 최적화 기능은 밝기와 대비를 자동 조절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426633b984b79d90c6b05879546b8662aef684a74930cc57182dd6fc2924b3a" dmcf-pid="XCXiCyLKjY" dmcf-ptype="general">'AI 화질 최적화' 기능을 활성화하면 전체 화면 색상 표현을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외부 조명 밝기에 따라 밝기와 색 온도 등을 자동 조절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edf6653e37d294aa652931fb5a64138f3fb526cebc809eeb9b35e92b0c20c4" dmcf-pid="ZhZnhWo9a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눈 보호 모드는 청색광과 화면 깜빡임을 최소화해 눈의 피로를 줄인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7328qgip.jpg" data-org-width="640" dmcf-mid="HWxbZ0rRa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7328qgi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눈 보호 모드는 청색광과 화면 깜빡임을 최소화해 눈의 피로를 줄인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53bcfa3adb611648db4f7b325abb91e413d45ec7cac523bd8ecb885bb4ceaf" dmcf-pid="5UfhUbSga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색약자를 위해 화면의 색채를 조절하는 '흑백' 모드를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8620txau.jpg" data-org-width="640" dmcf-mid="X7b8pBloa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8620txa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색약자를 위해 화면의 색채를 조절하는 '흑백' 모드를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45ee76807a616d628ae09c69cf5edc572d2643b8b13cd4b0b758b81d5fdf77f" dmcf-pid="1u4luKvakT" dmcf-ptype="general">'눈 보호 모드'는 청색광과 화면 깜빡임을 최소화한다. 밤에 어두운 실내에서 작업할 때 '낮음' 수준으로 설정하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색약이나 저시력자를 위해 색상 대비도를 높이는 '고대비', '흑백', '색상 반전' 모드도 내장했다.</p> <p contents-hash="9b3cef60efa470391d49145211d83be470918cac387dbe09197591c61c08d517" dmcf-pid="t78S79TNov" dmcf-ptype="general"><strong>두 기기 화면을 한 번에 보는 동시화면 기능 내장</strong></p> <p contents-hash="364e6917dc379949ce3f42125097eae66df65c77ae1e859a2d6c29c619dccd4c" dmcf-pid="Fz6vz2yjaS" dmcf-ptype="general">S80UD는 서로 다른 두 PC 기기의 영상을 한 화면에 비출 수 있는 '동시화면' 기능을 내장했다. 비교 시연 등 두 기기를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환경을 위한 픽처바이픽처(PBP)와, 기기 작동 상태만 모니터링하는 픽처인픽처(PIP)를 모두 지원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36605562d5c5a81a49678a44213a007abf508002498bb17a8f2093a8c3058a4" dmcf-pid="3qPTqVWAa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PBP 모드로 윈도 데스크톱(왼쪽)과 맥OS 화면 확장(오른쪽)을 동시 표시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9934goxb.jpg" data-org-width="640" dmcf-mid="Z1FzGtEQg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29934gox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PBP 모드로 윈도 데스크톱(왼쪽)과 맥OS 화면 확장(오른쪽)을 동시 표시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5304c09a7cb956199dbd94eb0da45f8bde40f4e624c402cd267dc4019379185" dmcf-pid="0BQyBfYcoh" dmcf-ptype="general">PBP 모드에서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8:9 비율, 1920×2160 화소 화면 두 개로 분할된다. 각각의 화면이 세로로 긴 형태가 되어 문서 작업이나 코딩 작업에 유리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a557b6416a367da6a2f421a7111cacc5116c8ae1051e1ebfb775abeda3330d3" dmcf-pid="pbxWb4Gkc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PIP 모드로 맥OS 화면을 작게 표시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1289vnfw.jpg" data-org-width="640" dmcf-mid="5UCCaEf5N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1289vnf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PIP 모드로 맥OS 화면을 작게 표시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1b24114baf60da67e1eb5b4627b160d0da97be28ca84d59c40cb87c85e57a1c" dmcf-pid="UKMYK8HEcI" dmcf-ptype="general">PIP 모드에서는 메인 화면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은 창으로 보조 기기의 화면을 띄울 수 있다. 보조 화면 크기와 위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d8fb51dfdac719efef9c94d22fc00e0734367927c21865b1655f04e7fa367c" dmcf-pid="u9RG96XDj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USB 연결 기기를 전환해 주는 기능을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2547nzyp.jpg" data-org-width="640" dmcf-mid="1yrriNbYc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2547nzy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USB 연결 기기를 전환해 주는 기능을 내장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568963bc034a406252bb9283875c00b23d69f25cc7b777c009ce92a66d235ae" dmcf-pid="72eH2PZwNs" dmcf-ptype="general">USB-C로 노트북을 연결했다면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사이에서 USB 키보드·마우스 입력을 전환해주는 간이 KVM 기능도 작동한다. 모니터 메뉴에 'USB 전환' 기능을 할당하면 키보드·마우스 입력도 함께 전환되어 별도의 KVM 스위치 없이도 두 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ca4cb0ddeb98dd4903a80b01d6b3d10f915a5a98a09972ba4e8b522d261443d5" dmcf-pid="zVdXVQ5ram" dmcf-ptype="general"><strong>화면 쉽게 나눠 쓰는 전용 소프트웨어 제공</strong></p> <p contents-hash="08a5853f0318a26fc0ce65096fbaa9fb84df2b9698b63aecc93b039d37528d9e" dmcf-pid="qfJZfx1mjr" dmcf-ptype="general">4K 해상도는 풀HD 화면을 네 개 합친만큼 넓은 영역을 제공하지만, 운영체제 내장 화면 분할 기능으로는 1:2분할, 2:1 분할, 1:1:1 등 특수한 형태를 구현하기 어렵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abeaa0bfcfa39f4434d3d2d090640fbb5b7f70f3e9768302ed0c1541e1052c" dmcf-pid="B4i54MtsA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화면 분할 기능을 돕는 전용 소프트웨어 '이지세팅박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3769ncxe.jpg" data-org-width="640" dmcf-mid="tZ11CyLKc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3769ncx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화면 분할 기능을 돕는 전용 소프트웨어 '이지세팅박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82d846e96d50813c9ad5bfdbef2c01202118753f588355f5c702f2deadeca7" dmcf-pid="b8n18RFOA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지세팅박스로 화면을 1:2 분할(3분할) 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5049autv.jpg" data-org-width="640" dmcf-mid="Fhff3zCnN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5049aut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지세팅박스로 화면을 1:2 분할(3분할) 한 결과.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0f01a1ee89b2fd0ab7dccee71a9077c48f64b589ee121a531b3d2b473c1c2c8" dmcf-pid="KKMYK8HEjE" dmcf-ptype="general">전용 소프트웨어 '이지세팅박스'는 2/3/4/6 분할 등 총 10가지 화면 분할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창을 끌어 화면 위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자동으로 배치되어, 수동으로 창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p> <p contents-hash="cb113b96030968ab5ec15640004e1ecabc271860915e0a2df72a0edcb51b792f" dmcf-pid="99RG96XDak" dmcf-ptype="general"><strong>절전 기능 활성화시 최대 18W 절감</strong></p> <p contents-hash="9cd17c95d0664d3634902ae9a369c8066a149992f07414107664b473f8037f5c" dmcf-pid="22eH2PZwoc" dmcf-ptype="general">전력량 계측 장비(HPM-100A)로 대기 상태와 화면 밝기, 절전 기능 활성화에 따른 전력 소모를 실시간 측정했다. 먼저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 소모 전력은 0.978W로 1W 미만의 대기 전력을 실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7fa9787e0fec3d256ba2d9926e8041d3dbb9b257cf17bb35de6cb34f682677" dmcf-pid="VVdXVQ5rk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기 상태에서 소모하는 전력은 1W 미만으로 측정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6292cupm.jpg" data-org-width="640" dmcf-mid="3Ou40qhLg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6292cup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기 상태에서 소모하는 전력은 1W 미만으로 측정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272598af24547cb34a20e7e37fa6e501f15c850e22cb060c10c3c27b7820dcc" dmcf-pid="ffJZfx1mkj" dmcf-ptype="general">화면 밝기 50, USB 키보드/마우스를 모두 연결한 기준으로 SDR 모드와 HDR 모드 모두 최대 55W를 소모한다. 화면 밝기를 조절하면 소모 전력은 23.6W(밝기 0)부터 55W(밝기 100)까지 선형적으로 변화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122a8a4188389809fedf760e9b4f0dd26f2ea7fcb0fb4975c0d697412be2403" dmcf-pid="44i54Mtso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절전모드 활성화시 전력소모 변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7530gyyc.jpg" data-org-width="640" dmcf-mid="08Po4Mtsg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7530gyy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절전모드 활성화시 전력소모 변화.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5436b921f17aa4766454105bdba0642d2cf3aec05933802b3438f33204a38cf" dmcf-pid="88n18RFOk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밝기 별 전력 소모 변화."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8871waoq.jpg" data-org-width="640" dmcf-mid="KN391UsdN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38871wao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밝기 별 전력 소모 변화.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00d88efe6bdc3ef8e2e1883e658ca8f6766aba72b7e13e9242a3cc9ec44626" dmcf-pid="66Lt6e3Igg" dmcf-ptype="general">모니터 메뉴에서 '에너지 절약 솔루션'을 활성화하면 전체 화면 색 균형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백라이트를 지능적으로 조절해 소모 전력을 38W까지 낮춘다. 절전 기능 활성화 시 최대 18W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p> <p contents-hash="36d79aa844cdd3f6039ecb5b6690ba9703991e44bdae81d4ffbb26a3141cb327" dmcf-pid="PPoFPd0CNo" dmcf-ptype="general"><strong>가독성·공간활용도 최적 화면 크기 구현</strong></p> <p contents-hash="eb673192a931d45449797e01f0c8dee5cc6f0b313ac790aea5615976bd7a52d4" dmcf-pid="QQg3QJphoL" dmcf-ptype="general">28인치 4K 모니터는 4K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지만 100% 배율(1:1)로 그대로 쓰는 데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32인치 4K 모니터가 등장했지만 가독성을 확보하려면 150% 배율 설정이 필요하며 실제 작업 공간도 그만큼 줄어든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4266156cf1c87a84b13e58efe9ebcd8fd5f59dbc4eb8e4e3ea305ec34a9630b" dmcf-pid="xxa0xiUlN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840×2160 화소, 최대 60Hz 화면주사율을 지원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0085htcv.jpg" data-org-width="640" dmcf-mid="9itxz2yjA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0085htc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840×2160 화소, 최대 60Hz 화면주사율을 지원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b96ce9f88d32243074c9ba45f1b0407a2710bf43ac507ffa172682f27439798" dmcf-pid="yy3NyZA8ji" dmcf-ptype="general">S80UD는 37인치 패널로 28인치 4K 모니터의 가독성 문제와 32형 4K 모니터의 화면 배율 조절 필요성을 동시에 해결했다. 27인치 QHD 모니터, 혹은 24인치 풀HD 모니터를 두 대 놓고 쓰는 것 대비 전력 소모나 공간활용도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e587d96765b508fa2122891101c21590101b2954f20d30d60d2fdf1d304928a" dmcf-pid="WW0jW5c6a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탠드 하단에 각종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1283ofhq.jpg" data-org-width="640" dmcf-mid="28ui2PZwo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1283ofh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탠드 하단에 각종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bf01ad238110f7aa606b17fe75b72fcd8ae8bc36bc04ffd65cae0e87aaad900" dmcf-pid="YYpAY1kPNd" dmcf-ptype="general">듀얼 모니터 구성이 부담스럽거나 공간이 제한적인 환경에서 모니터 한 대로 최대 효율을 뽑아낼 수 있다. 사진이나 그래픽, 코딩, 데이터 분석, 영상감시 모니터링 등 한 화면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봐야 하는 환경에 적합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579c3b908cc5196e76a7c7a8b37f70ae41d1c006c7e64a69e5e5d3a24ea1bf" dmcf-pid="GUfhUbSgA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원 버튼은 각종 메뉴 조절 기능을 겸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2545jfca.jpg" data-org-width="640" dmcf-mid="Vmqo4Mtso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ZDNetKorea/20250814092142545jfc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원 버튼은 각종 메뉴 조절 기능을 겸한다.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215452a10610b34fc6d7b8fdcd429e0bb618866d4365698a1dfb3f381161dd9" dmcf-pid="Hu4luKvaAR" dmcf-ptype="general">다만 모든 기능 조작을 전원 버튼을 겸한 컨트롤러에만 의존한다는 점은 아쉽게 느껴진다. 화면 크기 때문에 최소 1미터 이상 거리를 두고 써야 하는데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팔을 길게 뻗어 조작하기는 불편하다.</p> <p contents-hash="84ef2a8094443034d408d34cfe8769df5d00af09b6a4cf20cadf435bec222fe3" dmcf-pid="X78S79TNAM" dmcf-ptype="general">각종 기능 조작이 가능한 적외선 리모컨을 별도 제공하거나, PC와 연결된 USB 케이블을 통한 설정 기능을 '이지세팅박스'에 추가하는 것이 편의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f19ef6ba4fb41c214f3579f664d87178aeb2d69b989a92dd63062d4d8ef8223c" dmcf-pid="Zz6vz2yjAx" dmcf-ptype="general">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