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연예뉴스]
'좀비딸' 12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제58회 시체스국제판타스틱영화제 공식 초청
N
[IT뉴스]
KAIST, 전기 스위치처럼 몸속 세포 신호 조절한다
N
[IT뉴스]
그립, CJ프레시웨이에 주방 화재예방 시스템 공급
N
[연예뉴스]
김종국, 하하 동업 고깃집 '폐업설'에 분노
N
[연예뉴스]
임영웅vs이찬원 ‘KM차트’ 격돌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해안사구의 재발견] ⑥ 외계 행성같은 용암지층 펼쳐진 제주 화산 사구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13
2025-08-10 08:07:30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송악산이 만든 하모리층, 성산일출봉이 만든 신양리층<br>하모리층 사람발자국 화석·신양리층 패류 화석…"세계적 가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b6gJe3ItC"> <p contents-hash="91ed39b682ea0940ec2af46f442203321e026ffb87aae82f02ba939258715bbc" dmcf-pid="qKPaid0C1I" dmcf-ptype="general">[※ 편집자주 = 해안사구는 바닷가와 그 주변 육상에 있는 모래 언덕 등 모래땅입니다. 해안사구는 해수욕장 백사장에 모래를 공급하는 모래 저장고이며, 거센 파도의 충격을 흡수하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합니다. 나아가 기후 위기를 막아 줄 '블루카본'의 저장고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발 열풍 속에 제주를 비롯한 국내 많은 사구가 옛 모습과 기능을 잃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제주의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그간 크게 쓰임이 없는 모래땅으로만 여겨진 해안사구의 가치를 소개하고, 보전 방안을 찾아보는 기사를 10회에 걸쳐 송고합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efeb4d8bbebb63649cef66331ed97fe11750b75b746e5fae74cf611f578534" dmcf-pid="BKPaid0C1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사계해안에서 사진 찍기 [촬영 고성식]"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4731usce.jpg" data-org-width="1200" dmcf-mid="toXqp3wMX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4731usc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사계해안에서 사진 찍기 [촬영 고성식]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3b980fcfbfe00a6603bb45d4e597137bf13e99c921418ca92ecda347ba84c2" dmcf-pid="b9QNnJphts" dmcf-ptype="general">(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 제주 사계해안 감성컷!, 인생샷!'</p> <p contents-hash="0fc2df17b39d82ced127157d418e6f3c2c3788f2c7d93f79a59e235577a3ccc8" dmcf-pid="K2xjLiUl5m" dmcf-ptype="general">제주 서귀포시 사계 해안은 SNS의 인기 사진 촬영 장소다.</p> <p contents-hash="39e23f1f6f187847586e97aeb7ded47b34a3f21184286d5d29e24639c88b9948" dmcf-pid="9VMAonuStr" dmcf-ptype="general">너럭바위 같은데 불규칙하게 층층이 쌓여 검붉은 빛이 나는 모습이 외계 행성에 온 것 같은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p> <p contents-hash="6b4b81dcbb93a631a0bbb38fe52bce9e5672b80d85d93632e0ca6ea81555ae01" dmcf-pid="2fRcgL7vGw" dmcf-ptype="general">젊은 관광객들은 바위에 난 구멍(돌개구멍) 안에 앉아 사계 바다나 산방산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으며 이색적인 모습을 담는다.</p> <p contents-hash="e5ac0a8a1768b8b9b015953843f9043505067e3b7843765a6f2389899828fc25" dmcf-pid="V4ekaozT5D" dmcf-ptype="general">이 사계 해안 지층은 사계 해안사구의 시작점이자 토대가 되는 '하모리층'이다.</p> <p contents-hash="f9158e946256be7ae7f5026040d2136c2fdc1aba5bf55d366fefc01ec5d4130c" dmcf-pid="f8dENgqy1E" dmcf-ptype="general">제주의 해안사구 중에는 한반도의 사구와는 달리 화산재와 송이 등 화산쇄설물이 사구 형성의 시작점이 되고 또 사구 바닥을 이룬 독특한 곳이 있다. </p> <p contents-hash="b69b9e227ed37741b552c130cfc68afcdfc137a40b65ab062c0a40545d550e66" dmcf-pid="46JDjaBWHk" dmcf-ptype="general">한반도 사구의 모래의 경우 해안 생태계에서 만들어진 것과 하천에서 해안으로 이동해 온 것들이 섞여 이뤄졌지만, 제주 모래는 검은 빛이 나는 화산쇄설물에 의한 것도 있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cd556ba0fe2ac96e4ec7153bafd79a1077e880ea79666a1213c048f81d3d66db" dmcf-pid="8PiwANbY5c" dmcf-ptype="general">또 화산쇄설물 지층은 파도·바람의 흔적과 더불어 수천 년 전 역사의 흔적도 기록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fe85b31525894c29ac22bf226ab851765967532bc0f308e91c6fc6250ea255d" dmcf-pid="6KPaid0Ct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계리 해안사구 [촬영 박지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4909otow.jpg" data-org-width="1200" dmcf-mid="F1yp1ZA85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4909oto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계리 해안사구 [촬영 박지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6e8e6c4d27a99c45f66a396b8c46f2b89c0efd42f50aaf4f065f1d85b55d01b" dmcf-pid="P9QNnJphtj" dmcf-ptype="general"><strong> 명소 하모리층이 만들어지기까지</strong></p> <p contents-hash="6638d5c179b1ccf02631bc1af855328170ce068ab5c1aef12acebee3b5df8b3d" dmcf-pid="Q2xjLiUltN" dmcf-ptype="general">서귀포시 송악산이나 성산일출봉 주변 해안사구를 가면 이렇듯 별난 제주 해안사구를 체험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c26ef6791a1eae1d3598de7c1fc70c247b976a172a05ce148f94f81fc12fefe6" dmcf-pid="xVMAonuSYa" dmcf-ptype="general">사계 해안 동쪽 설쿰바당 해안사구도 사계 해안사구와 같은 하모리층 지대다. </p> <p contents-hash="8b2b0cb40bdccef8c04281f6aceeb1fe2b90fd51837c94dd620a581ae015c5c7" dmcf-pid="yIWUt5c6Zg" dmcf-ptype="general">하모리층처럼 화산쇄설물이 굳은 용암 지층을 응회암이라고 부르는데, 설쿰바당에서는 검붉은 응회암이 넓게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응회암 옆 표면은 우툴두툴해 거칠고 날카롭다. 이는 파도나 바람에 깎인 흔적이다.</p> <p contents-hash="03953053751e3c9a1736f748b051a66f0e8b9db040c7e89a00a340796c4da218" dmcf-pid="WCYuF1kP5o" dmcf-ptype="general">설쿰바당 해안사구에는 사구가 깎이면서 여러 층이 수직 절벽 형태로 외부에 노출된 곳이 있다. 이 노출 지층을 통해 설쿰바당이 조성되는 오랜 시간을 말해주고 있다.</p> <p contents-hash="9965225f575fd8531445b62d4a97cc892f80a3005dabda6345fd9bec83726452" dmcf-pid="YhG73tEQHL" dmcf-ptype="general">설쿰바당 외에 송악산 동쪽으로는 황우치 해변(황우치 해안사구), 사계 해변(사계 해안사구)이 하모리층 지반이 형성돼 있고 서쪽으로는 모슬포 해안사구, 하모리해수욕장(하모 해안사구)이 하모리층 지반이다. 이 같은 하모리층의 길이만 약 10㎞로 추정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ace9d3dbb022143d0f0b7aeff2f3584703725f71d8e755aafa027134068b2d" dmcf-pid="GlHz0FDxt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송악산(앞쪽)과 산방산(가운데) 한라산(맨 뒷편) [촬영 박지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088dwns.jpg" data-org-width="1200" dmcf-mid="3Np4KBloY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088dwn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송악산(앞쪽)과 산방산(가운데) 한라산(맨 뒷편) [촬영 박지호]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e3c7bef862cfa9bc02c184a8451c0cfeb0dfee8eb9360a54978db18218a361" dmcf-pid="HSXqp3wMH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사계해안 하모리층, 사진 오른쪽 뒤로 하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보인다. [촬영 고성식]"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290omvw.jpg" data-org-width="1200" dmcf-mid="0XIZWTnbG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290omv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사계해안 하모리층, 사진 오른쪽 뒤로 하모리층을 만든 송악산이 보인다. [촬영 고성식]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1481e30823546bcdf7d7440ada02d28d9aade645054fa97e0763b418b5a321e" dmcf-pid="XU9dQ6XD5J" dmcf-ptype="general">하모리층은 화산재와 송이 등의 화산쇄설물로 주로 이뤄진 송악산의 응회암이 대규모로 무너져내려 인근 해안선을 따라 멀리까지 이동해 쌓여 이뤄졌다. </p> <p contents-hash="7414d81ea68970216c9bc17990ff64c7517b86c06345a9410d8160fdd97b5ca2" dmcf-pid="Zu2JxPZw1d" dmcf-ptype="general">송악산은 수성화산이다. 수성화산은 바닷속에서 폭발한 화산을 말한다. 수성화산은 지하에서 상승하는 마그마가 지하수를 만나 격렬하게 폭발했다. </p> <p contents-hash="6ee7b97b81417e508e34dca39d2be77785c9f332ed260a37e08fae0b58100d44" dmcf-pid="57ViMQ5rXe" dmcf-ptype="general">송악산 분화에 따라 화산쇄설물이 인근 해안 저지대를 두껍게 덮어버렸고 이어 화산쇄설물이 흙탕물이나 진흙과 같은 형태로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존 용암 암반 지대를 덮어 일대에 응회암의 하모리층이 만들어졌다. </p> <p contents-hash="f784d404ff7dd0be0ae44cf7603f4b7ca618fa3d3a72e4d3606d62fd141e60ca" dmcf-pid="1zfnRx1m1R" dmcf-ptype="general">그 이후 하모리층이 깎이면서 검은 모래가 생겼고 강한 바람에 이 모래가 육상 쪽으로 날려 사구를 형성했다. 또 해안생태계에 의한 일반적인 모래도 서로 섞였다. </p> <p contents-hash="b753a3ce96237b19daa730d00cf530663339f92ba88ac20d4c4896507efb66cd" dmcf-pid="tq4LeMtstM" dmcf-ptype="general">이어 일부 사구 배후지역에서는 모래 위에 흙이 덮여 나무와 풀이 자랐다. </p> <p contents-hash="b98c6d0138e91e07a8c2eebfb21daab6d2df326a920c08c3b0aa5da92dcfb5d0" dmcf-pid="FB8odRFO5x" dmcf-ptype="general">사계 해안사구 등의 하모리층에는 천연기념물 '제주 사람발자국과 동물발자국 화석산지'가 있다. </p> <p contents-hash="e95fd1756c8ad112b11a073ff4f1b54c9f7094bfae5ddcf49343bb980028d13e" dmcf-pid="3b6gJe3I1Q" dmcf-ptype="general">송악산 화산 폭발 이후 해안을 덮은 화산쇄설물이 채 마르지 않았을 때 사람과 사슴, 새 등이 다녀간 흔적이 화석으로 남았다.</p> <p contents-hash="87b23d1d9fb3adec9303dbf309e679f9916b20f007bd6a0dc00a3a8a176e23ba" dmcf-pid="0KPaid0CGP" dmcf-ptype="general">수백 개의 사람 발자국 화석의 길이는 1개당 120∼260㎜이며 가장 긴 곳은 180㎜다. 이를 토대로 하면 이 발자국 화석을 남긴 사람들의 키는 130∼140㎝나 150∼160㎝로 추정된다.</p> <p contents-hash="5ce1f9be8e9fa716400972b55644779a1fe17bb1abc6984d4d36f37381c0377d" dmcf-pid="p9QNnJpht6" dmcf-ptype="general">또 사슴 발자국, 새 발자국, 대형 동물 발자국 등이 집중적으로 발견됐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7d0264d6f00ec76f858f3bfd582e5c8abf0235a535df4bb0dfcdea9a4b8f64f" dmcf-pid="ULkvIsQ0G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사람발자국 화석 [연합뉴스 자료 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473rzby.jpg" data-org-width="1024" dmcf-mid="pwmGvldzG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473rzb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사람발자국 화석 [연합뉴스 자료 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04a857a113fdd09bb26d3eb14320336100d9e9b255dd74cc85905525553542c" dmcf-pid="uoETCOxpH4" dmcf-ptype="general">제주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소 안웅산 박사에 따르면 송악산은 3천800년 전 화산이 폭발해 만들어진 비교적 젊은 화산으로 추정된다. </p> <p contents-hash="e0d2de83a7b8054a945ac8a70394d6e84c17a2803b8dc38048ce748359888436" dmcf-pid="7gDyhIMUYf" dmcf-ptype="general">강순석 제주지질연구소 소장은 "안 박사의 송악산 화산 폭발 시기 추정치를 토대로 하면 하모리층 사람발자국 화석을 남긴 사람들이 살았던 시대는 3천600년 전의 신석기 후기 시대로 보인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c2139512a2ed5ed38cc2a722201488de6c1e43a5817de40192806fa21992747c" dmcf-pid="zawWlCRuZV" dmcf-ptype="general">이어 "이 발자국을 남긴 신석기인들은 사슴 무리를 바다 쪽으로 몰아넣으며 사슴 사냥을 한 것이 아닐까 상상해본다. 바다 근처까지 제주의 숲인 곶자왈 등 숲이 울창했고 신석기인들은 사슴을 잡기 위해 곶자왈과 바닷가를 달렸을 것"이라며 "그들은 그들의 삶을 우연하게 화석으로 남기게 됐고 현재를 사는 우리가 그 당시의 삶을 들여다보게 됐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164c00449cf4f08856edf1f46b82bfa2d42709fe9562f48dd16239aac66b26f8" dmcf-pid="qNrYShe752" dmcf-ptype="general">역시 하모리층으로 이뤄진 모슬포 해안사구에는 선사시대 때 쓰던 토기와 전복, 소라 등의 화석이 발견됐다. </p> <p contents-hash="051e24b4bc685399b966d5bbff65950f2108a944ff7098d1718070976c2f1e91" dmcf-pid="BjmGvldzX9" dmcf-ptype="general">또 주변 하모리층에서도 약 3천500년 전에 형성된 패총(선사시대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 등의 유적이 발견됐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b165a8f69df3fe6d5f7e3b49f3811309dc1b2f054483a12bad921a9becf2d73" dmcf-pid="bAsHTSJqX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신양사구 [촬영 박지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620scze.jpg" data-org-width="1200" dmcf-mid="URaIwEf5Z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620scz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신양사구 [촬영 박지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5693e766074ac8ec9a6f651eb988f6ecf1936eb5513ba5b7d33181d93942c33" dmcf-pid="KcOXyviB5b" dmcf-ptype="general"><strong> 지질학 교과서 신양리층</strong></p> <p contents-hash="4b47d58d735bc3fb4efb00d82b39fc656960f14bd378798d4261181f782a6ce2" dmcf-pid="9kIZWTnbtB" dmcf-ptype="general">제주 서남쪽 하모리층과 비슷하게 제주도의 동남쪽 신양 해안사구는 성산일출봉이 만든 신양리층이 위에 있다. </p> <p contents-hash="324628d4bfc638154a6197bc153287e258c38d91e24905c1f1dc136d5acdfb76" dmcf-pid="26JDjaBWHq" dmcf-ptype="general">하모리층과 신양리층 모두 화산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응회암 층이고 제주도의 지질 상으로는 상대적으로 젊은 지층이다. </p> <p contents-hash="68a096d64b4314215a8f2f226967e5edf5a2d938bfc1e1589b366708b6916282" dmcf-pid="VPiwANbYYz" dmcf-ptype="general">인근의 성산일출봉을 이룬 응회암은 일출봉의 생성 당시와 그 이후에 강한 파도에 의해 조금씩 깎이고 부서졌다. </p> <p contents-hash="48961d262bc405f0717dd9f2f70dcd469a45e2524fba9b306b08cfcccc00536c" dmcf-pid="fQnrcjKGH7" dmcf-ptype="general">파도에 침식된 응회암은 인근 해안가에 연안류에 의해 이동해 쌓였는데, 인근 신양리층이 이렇게 이동하면서 해안에 퇴적된 화산성 해안 퇴적층이다. </p> <p contents-hash="4c675e5efc2692fa9236fde38866ad3a859d366ccaded37864e283c38c80cedf" dmcf-pid="4xLmkA9H1u" dmcf-ptype="general">신양리층 속에는 다양한 조개껍데기가 화석으로 포함돼 있다. 이 패류에 대한 연대측정(탄소동위원소법)을 한 결과 4천460년 전으로 밝혀졌다. </p> <p contents-hash="4a6dece6564da580d13d1681e2a580b4703b428462265cabaa4e6f547533d788" dmcf-pid="8MosEc2X1U"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성산일출봉과 신양리층은 지금부터 4천46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됐다가 최근 다시 연구가 이뤄져 약 5천년 전으로 수정됐다. </p> <p contents-hash="f5d3580e0f0739617b74d5645902bfbdaba7316d51742e22fe5aaf5b16dfbe89" dmcf-pid="6RgODkVZHp" dmcf-ptype="general">신양리층의 조개 화석 분석 결과 화석 패류는 현재와 유사한 따뜻한 환경의 얕은 바다에 사는 종들이었다. </p> <p contents-hash="874be599e5ad1c20271e967a32ffebad0cea42fa5639cfe09617baa36634ba96" dmcf-pid="PeaIwEf5Y0" dmcf-ptype="general">국내 제1호 고생물학자로 한국에 고생물학의 씨앗을 뿌린 고(故) 김봉균 전 서울대 지질학과 교수의 1972년 연구에 의하면 신양리층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젊은 신생대 제4기층이다. </p> <p contents-hash="84ffe3a2be05c4f09d7f4c39869d9b9e60fed5f466dec220940c102cc4ed582b" dmcf-pid="QdNCrD41X3" dmcf-ptype="general">이러한 신양리층은 지질학 이론서인 '지질학개론'에도 소개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dfae94de77320f577604dfd22f1b082aa8d1d44c5e5130ff5e64e64d8e262fa" dmcf-pid="xJjhmw8tt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신양리층(사진 오른쪽)과 신양 해안사구 [촬영 고성식]"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791exvq.jpg" data-org-width="1200" dmcf-mid="uu8odRFOt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791exv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신양리층(사진 오른쪽)과 신양 해안사구 [촬영 고성식]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a1a1ca70e28dd2bdd0f48cd2e6105676ab3e5bb41676386001b96debfe38f67" dmcf-pid="yXp4KBloGt" dmcf-ptype="general">성산일출봉이 신양리층을 만들었고 신양리층이 신양 해안사구에 모래를 공급한 것을 놓고 볼 때 이 모두는 성산일출봉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792f57554edd4b82cbe85a1d628d3e086c3c0e2b33c57874a68ad1ffb4ba82af" dmcf-pid="WpKeP8HEY1" dmcf-ptype="general">성산일출봉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것과 같이 신양리층은 세계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지질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p> <p contents-hash="1a59617af3f7473d3293e1b6fe82148881696d0da1a5e050653104dc9fb8d0b8" dmcf-pid="YU9dQ6XDZ5" dmcf-ptype="general">또 신양 해안사구는 성산 터진목에서 신양섭지코지 입구까지 발달한 대형 사구로서의 가치도 있다.</p> <p contents-hash="83701a0784c2e79dc337f00b7feea9a4a01f98f3ad6cb166c5992d51976605c1" dmcf-pid="Gu2JxPZw5Z" dmcf-ptype="general">강순석 소장은 "신양리층은 천연기념물로 등재될 수도 있을 정도의 높은 지질적 가치 등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948b2eae2d9b6e135c19be123f159a639497fe569c6b64df58b82d50ef2f374f" dmcf-pid="H7ViMQ5rYX" dmcf-ptype="general">제주자연의벗 등 도내 환경단체는 신양리층에 대해 천연기념물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fd2aac7490f51d015eb1353e314be47a0291165e29f721157433cba66bf15491" dmcf-pid="XzfnRx1mYH" dmcf-ptype="general">제주의 해안사구는 또 일률적인 해빈에 의한 사구가 분포한 한반도와는 각각 다양한 성분으로 이뤄졌다. </p> <p contents-hash="5a5a7214eb684318d7c511d91d5a288d14b70288d0f8bd4d31b57aa64a29a121" dmcf-pid="Zq4LeMts1G" dmcf-ptype="general">하모리층과 신양리층 등 제주 남부·북부 일부 사구는 흑색의 해빈 퇴적물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됐지만, 제주 동부·서부에는 탄산염 퇴적물로 이뤄진 백색의 해빈 퇴적물이 우세하다.</p> <p contents-hash="727ee458c01bf2c9df4d357aad1691dfb45eb8b66b4ae8a42c6992c8ee1ebd97" dmcf-pid="5B8odRFOXY" dmcf-ptype="general">이와 함께 제주의 해안사구는 거친 용암지대에 이룬 숲인 곶자왈이 지하수를 보호하는 것과 같이 지하수 지대로 짠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지하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p> <p contents-hash="f429c806fc4fc618c4f5eb71778d4048fb003f5442f21ae694ee40e27408fe9b" dmcf-pid="1b6gJe3IGW" dmcf-ptype="general">하모 해안사구에서 육상 쪽에는 사구 모래가 머금은 지하수가 내뿜어지면서 이뤄진 천연 지하수 연못도 볼 수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9f0dee508890bd63e94029910e7d713810598f1c908d45c85aabcd8692dbf0b" dmcf-pid="tKPaid0Ct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제주 신양사구에서 본 성산일출봉 [촬영 박지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980spzi.jpg" data-org-width="500" dmcf-mid="7EZBU0rRX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yonhap/20250810080145980spz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제주 신양사구에서 본 성산일출봉 [촬영 박지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00a29cac755cbbb0a1fcbe6910da9fa9c992da958191334f723472578c7d552" dmcf-pid="FfRcgL7vtT" dmcf-ptype="general">(이 기사는 제주환경공익기금위원회 지원을 받아 제작됐습니다.)</p> <p contents-hash="a5853092dc556056bc2315c8d21f7ce19a6974a078a699bb97f983d47b5e4c47" dmcf-pid="34ekaozTYv" dmcf-ptype="general">koss@yna.co.kr</p> <p contents-hash="b4027c31f0fb18da61a01f8e713874eff19c066d09e94794d7ec7e41db093027" dmcf-pid="p6JDjaBWYl"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