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보증업체
신규사이트
스포츠분석
먹튀사이트/제보
지식/노하우
놀이터홍보
판매의뢰
업체홍보/구인
뉴스
후기내역공유
커뮤니티
포토
포인트
보증카지노
보증토토
카지노
토토
홀덤
축구
야구
농구
배구
하키
미식축구
카지노 먹튀
토토 먹튀
먹튀제보
카지노 노하우
토토 노하우
홀덤 노하우
기타 지식/노하우
유용한 사이트
토토 홍보
카지노 홍보
홀덤 홍보
꽁머니홍보
신규가입머니
제작판매
제작의뢰
게임
구인
구직
총판
제작업체홍보
스포츠뉴스
연예뉴스
IT뉴스
카지노 후기
토토 후기
홀덤 후기
자유게시판
유머★이슈
동영상
연예인
섹시bj
안구정화
출석하기
포인트 랭킹
포인트 마켓
로그인
자동로그인
회원가입
정보찾기
뉴스
더보기
[]
“상속세 18억까지 면제, 집팔아 세금내는건 잔인”
N
[연예뉴스]
춘길 "김용빈 나한텐 아저씨, 장윤정에겐 누나" 폭로 (사랑의콜센타)
N
[IT뉴스]
아인슈타인이 옳았다… “블랙홀, 질량-스핀만으로 설명”
N
[IT뉴스]
“AI가 로봇팔 움직여 화학연구… 사람 없어도 24시간 실험”
N
[IT뉴스]
[애니멀리포트] 토종 개미 79% 감소…피지에서 드러난 ‘곤충 대재앙’
N
커뮤니티
더보기
[유머★이슈]
바란 은퇴보다 더 소름돋는점
[유머★이슈]
오늘 국군의날 예행연습에 최초 공개된 장비들
[유머★이슈]
손흥민이 한국 병역 시스템에 영향 끼친 것.
[유머★이슈]
시댁의 속터지는 스무고개식 대화법
[유머★이슈]
엄마. 나 여자 임신시켜버렸어
제휴문의 텔레그램 @dognus11
목록
글쓰기
[IT뉴스]야마토 박물관 "IBM→레노버로 이어진 씽크패드 32년 역사 한 눈에"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46
2025-03-02 12:17:27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야마토 연구소 투어 ③] 첫 제품 '씽크패드 700C' 포함 30여 종 전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c1Mkf8t3K"> <p contents-hash="a3976f2650e92a19b1a3196cb1bb57f39fcdd337a890e7c6d1cb28da24c7072a" dmcf-pid="xtRhFwme3b"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요코하마(일본)=권봉석 기자] 일본 카나가와 현 요코하마 소재 레노버 야마토 연구소 한 켠에는 1992년부터 현재까지 약 32년간 생산된 씽크패드 중 주요 제품을 모아 전시한 '야마토 박물관'이 있다.</p> <p contents-hash="20b2177eb0a21cadcbbe2f98a2dc912b61bf07382adc4d090d260ad89e4c028d" dmcf-pid="yoY4gBKG7B" dmcf-ptype="general">레노버는 지난 주 일본 요코하마에서 진행한 '레노버 아우라 에디션 AI PC' 행사 마지막 날인 27일 오후 아태지역 기자들을 대상으로 박물관 관람 기회를 제공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1dc3c16bd9d8e4777684de20222d7f20c4d794f18104503a60d71682f6f4002" dmcf-pid="WgG8ab9H7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993년부터 지금까지 출시된 씽크패드 라인업.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17728zksh.jpg" data-org-width="640" dmcf-mid="7LpS0mOJF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17728zks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993년부터 지금까지 출시된 씽크패드 라인업.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f9a87d7a791b2b83bd7b0a62337a9761f7e34609c63432e666d43f489defd25" dmcf-pid="YaH6NK2XU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물관에 전시된 역대 제품 중 일부.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19190hrrn.jpg" data-org-width="640" dmcf-mid="zkV12WGk7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19190hrr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물관에 전시된 역대 제품 중 일부.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39a9533dbac9330b38bd9e0215c5f34ebba72aea13e5aca988f0421f28477ca" dmcf-pid="GNXPj9VZ07" dmcf-ptype="general">야마토 연구소 구성원이 만들고 유지하는 이 공간에는 이 곳에서는 IBM이 1993년 처음 출시한 노트북 제품인 씽크패드 700C를 시작으로 2005년 PC 사업 레노버 피인수 이후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 중 특색을 지닌 제품을 전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91e1ef8da5c004bfb396f0e3e3acecf7a0a06fc2a3c854f381bed7280dd015" dmcf-pid="HjZQA2f5F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992년 10월 출시된 씽크패드 700C.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0464wcji.jpg" data-org-width="640" dmcf-mid="qkWl3rsd3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0464wcj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992년 10월 출시된 씽크패드 700C.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2325380345840aebcf034ec34d27635e56337f6f9756ed189d8e5705a9c19f" dmcf-pid="XA5xcV41pU"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700C는 1992년 10월 5일 미국에서 처음 발매된 제품이다. 인텔 80486 SLC 프로세서와 10.4인치, 256컬러 LCD 모니터를 탑재했다. 대부분의 부품을 IBM이 직접 개발했고 배터리 충전 상태를 관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 내장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fd2606a39e2e1f0786045f8b83b4e48b2344ac29dc96d9efc7f7c668ce88e1" dmcf-pid="ZLWfoqbYz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993년 출시된 씽크패드 710T.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1746mohf.jpg" data-org-width="640" dmcf-mid="BRNnsxRuF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1746moh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993년 출시된 씽크패드 710T.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29159467f99fb822c129947acf0dc2a73ca294521f17f6068ff23415aa86d1" dmcf-pid="5oY4gBKGu0"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710T는 1993년 1월 80486 프로세서와 9.5인치 흑백 LCD를 장착한 태블릿 PC다. 당시에는 LCD 디스플레이까지 겨우(?) 2.6kg에 탑재했다는 사실로 PC 업계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7b0579988a16feaf3b389e80aa63e9d12e47d3f6b00fc357d251e1c25513ff" dmcf-pid="1gG8ab9Hu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본 '도시락상자'에서 영감을 얻은 씽크패드 750C.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3174rurz.jpg" data-org-width="640" dmcf-mid="bUjLOMe73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3174rur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본 '도시락상자'에서 영감을 얻은 씽크패드 750C.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3d188995711f92cf7bf8461d1d0c7d613c189c6e7f5e52cc9697432acbbf8d7" dmcf-pid="taH6NK2X7F"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750C는 일본 도시락상자에서 영감을 받아 내부구조를 구성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배터리,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요한 부품을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1993년 11월 출시 당시 가격은 77만 8천엔(약 765만원)에 달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3086c01bcb24de27352805f8392dafb03b7883d5120c6fc95b88e15975eeb31" dmcf-pid="FNXPj9VZU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CD 디스플레이를 OHP에 비출 수 있도록 설계된 씽크패드 755CD.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4584edxo.jpg" data-org-width="640" dmcf-mid="KDn6NK2X0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4584edx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CD 디스플레이를 OHP에 비출 수 있도록 설계된 씽크패드 755CD.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76c512641cbef8fd7d0a0db5951ca5f5906c7fe7b2351d67c9134fc964ff3a8" dmcf-pid="3jZQA2f5U1" dmcf-ptype="general">1994년 당시에는 필름이나 문서를 확대해 비출 수 있는 오버헤드 프로젝터만 존재했다. 씽크패드 755CD는 PC에서 편집한 문서나 파일을 프로젝터로 비출 수 있도록 화면이 180도 펼쳐지게 설계됐다. 1994년 출시 당시 가격은 121만 8천엔(약 1천200만원).</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9a850da28390146b6fe166a4b6c7be0d2e7ee0abd843337753a021dd6b3000c" dmcf-pid="0A5xcV41p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잉크젯 프린터를 내장한 씽크패드 550BJ.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5990pqzk.jpg" data-org-width="640" dmcf-mid="9j5S0mOJ0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5990pqz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잉크젯 프린터를 내장한 씽크패드 550BJ.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287de1e9a1d1ab7f131b520c35e4b43d92906e856d7a75c5c97f5c65ae9d17e" dmcf-pid="pc1Mkf8t0Z" dmcf-ptype="general">1994년 출시된 씽크패드 550BJ는 IBM과 일본 캐논이 공동 개발한 노트북이다. 3kg 무게 안에 노트북 컴퓨터와 잉크젯 프린터를 결합했다. 전원 콘센트와 용지 공급이 가능한 곳 어디서나 문서 출력이 가능한 획기적인 제품으로 평가받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1f9a4f53d7d55a6a371829576d38ce7df339c3c0d40dbc822b44faa33c375f6" dmcf-pid="UEFeD8P37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버터플라이 키보드를 탑재한 씽크패드 701C.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7399cixz.jpg" data-org-width="640" dmcf-mid="2efnsxRup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7399cix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버터플라이 키보드를 탑재한 씽크패드 701C.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12e1b46f5e50e9f6c272bb3c404f2f02f4036b028954be39221d25e20a4f28" dmcf-pid="uD3dw6Q0uH"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701C는 1995년 출시된 제품이다. 당시 IBM 북미지역 PC 사업 총괄이었던 팀 쿡(현 애플 CEO)은 노트북에 풀사이즈 키보드를 탑재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이를 위해 화면을 열면 키보드가 펼쳐지는 '버터플라이 키보드'가 탑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aaf62bc9877c5cd7af10f5746c5b463690ec17123a8c7d4c441d2483c55abf" dmcf-pid="7w0JrPxp0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3.3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씽크패드 600.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8790psqa.jpg" data-org-width="640" dmcf-mid="VDt9iuzT7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28790psq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3.3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씽크패드 600.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361a3979bb014429f018c74e950d26d4b446be72491b8a621a9bbf5036dc44" dmcf-pid="zrpimQMUFY"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600은 1998년 출시된 업무용 노트북이다. 펜티엄 MMX 프로세서와 CD롬 드라이브, 모뎀까지 장착했지만 두께는 36.5mm, 무게는 2.5kg으로 당시 출시된 동급 제품 중 가장 휴대성이 뛰어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97a1de665062849fcd76dddae712c041daeb31249493b21f9ded3604d20d4f" dmcf-pid="qmUnsxRu0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듀얼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씽크패드 W700ds.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0150obsg.jpg" data-org-width="640" dmcf-mid="fNltVYHEu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0150obs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듀얼 디스플레이를 내장한 씽크패드 W700ds.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3b5ad54ee282c64386d34ca4c82d928e26efc323fdf2b787e5678630fc61299" dmcf-pid="BsuLOMe77y"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W700ds는 인텔 코어 2 익스트림 QX9300 프로세서와 듀얼 스크린을 장착한 제품이다. 옆의 버튼을 누르면 10.6인치, 768×1280 화소 화면이 튀어나오며 터치패드 오른쪽에는 각종 설계나 그림 그리기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를 내장했다. 2009년 출시 당시 가격은 75만 6천엔(약 745만원).</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a7bb519bc17b9887a26d2473b4dcf3734852377344ab84dd17f674ec002082" dmcf-pid="bO7oIRdzp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필기한 글자를 그대로 스캔해 저장하는 씽크패드 트랜스노트.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1602tvzy.jpg" data-org-width="640" dmcf-mid="4DjxcV413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1602tvz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필기한 글자를 그대로 스캔해 저장하는 씽크패드 트랜스노트.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5a2473cd60aa02e2be33ccf4605ffe36837e27ff15bab5153d224333537bf28" dmcf-pid="KIzgCeJquv"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트랜스노트는 2001년 출시된 특이한 형태의 태블릿 PC다. 종이 위에 그림과 글자를 그리면 인식해 PC상에 저장했다. 필기가 가능하다는 특징 때문에 왼손잡이용과 오른손잡이용이 각각 출시됐다(사진은 왼손잡이용).</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11d34077bada8062f7818f36179dcdd5395d76e59e2cd5368991300a706d235" dmcf-pid="9CqahdiBz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열차 안에서 쓸 수 있도록 개발된 소형 컴퓨터.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2996greg.jpg" data-org-width="640" dmcf-mid="8xpyuIhLU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2996gre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열차 안에서 쓸 수 있도록 개발된 소형 컴퓨터.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43c8bb9dd38bf3fddabae61fff78a71b44b47957c9b23b7f8c12065a7a36347" dmcf-pid="2c1Mkf8t0l" dmcf-ptype="general">연구소 관계자는 "야마토 연구소 많은 임직원들이 열차로 출퇴근하기 때문에 1.5V 건전지 6개로 작동하는 노트북, 손바닥 위에 올라가는 팜톱 PC 등 다양한 소형 제품이 개발됐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a0da13fbedbe730c8e5ae26227e354a848f942086985fb3190743cbc0a506dd" dmcf-pid="VktRE46F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휴대용으로 설계된 팜톱PC 110.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4268nzgb.jpg" data-org-width="640" dmcf-mid="6fZI1EwM0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4268nzg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휴대용으로 설계된 팜톱PC 110.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477d4c3056cad9675798f471bfd133a4570727314bd64d77cd8c24510db2d3" dmcf-pid="fEFeD8P3uC" dmcf-ptype="general">팜톱PC 110은 일본IBM과 사무기기 업체 리코(Ricoh)가 일본 시장 전용으로 출시한 휴대용 컴퓨터다. 항공기에 쓰이는 두랄루민을 적용해 두께 33mm, 무게 630g이며 본체 위에는 볼펜이나 펜으로 쓴 글자를 인식하는 기능을 갖췄다. 1995년 9월 출시 당시 가격은 16만 9천엔(약 160만원).</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7e862c0aadc0b4da707b0f6672fbda1614daa2ca9d468153cfe2adcc944989" dmcf-pid="4D3dw6Q0p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18년 4월 나이토 아리마사 부사장 퇴임을 앞두고 직원들 사진으로 구성한 포토 모자이크.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5596iuvk.jpg" data-org-width="640" dmcf-mid="PltRE46F3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3/02/ZDNetKorea/20250302121035596iuv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18년 4월 나이토 아리마사 부사장 퇴임을 앞두고 직원들 사진으로 구성한 포토 모자이크.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68c62cb7707714ca3c4b8cea06f6e72274001ac97c66f9c9fff60af541a5773" dmcf-pid="8w0JrPxppO" dmcf-ptype="general">씽크패드 개발을 주도한 이는 나이토 아리마사(内藤在正, 1952)다. 그는 1974년 게이오대학교 공학사 학위 취득 후 일본IBM에 입사했고 1989년부터 씽크패드 개발에 참여했다.</p> <p contents-hash="79704237dffa9c73260037cb9b4f870661472291cab7adb620cc6d464c565f53" dmcf-pid="6rpimQMUps" dmcf-ptype="general">2001년 IBM 펠로우, 미국 IBM 최고기술책임자(CTO)를 거쳤다. 레노버가 IBM PC사업을 인수한 2005년에는 레노버 일본법인 부사장을 거쳐 2018년 4월 퇴임했다.</p> <p contents-hash="e8b5555f222d3647f32b9f647d773a06648f6bfcdf46694a29ccaf388b7be989" dmcf-pid="PmUnsxRu3m" dmcf-ptype="general">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댓글등록
댓글 총
0
개
맨위로
이번주
포인트
랭킹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
1
4,000
상품권
2
3,000
상품권
3
2,000
상품권
업체홍보/구인
더보기
[구인]
유투브 BJ 구인중이자나!완전 럭키비키자나!
[구인]
에카벳에서 최대 조건으로 부본사 및 회원님들 모집합니다
[구인]
카지노 1번 총판 코드 내립니다.
[구인]
어느날 부본사 총판 파트너 모집합니다.
[구인]
고액전용 카지노 / 헬렌카지노 파트너 개인 팀 단위 모집중 최고우대
놀이터홍보
더보기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홀카드의 가치
[홀덤 홍보]
텍사스홀덤 핸드 순위 - 프리플랍(Pre-Flop) 핸드 랭킹
[토토 홍보]
미니게임개발제작 전문업체 포유소프트를 추천드립니다.
[토토 홍보]
2023년 일본 만화 판매량 순위 공개
[토토 홍보]
무료만화 사이트 보는곳 3가지 추천
지식/노하우
더보기
[카지노 노하우]
혜택 트렌드 변화 위험성 다시 가늠해 보기
[카지노 노하우]
호기심이 부른 화 종목 선택의 중요성
[카지노 노하우]
카지노 블랙잭 카드 조합으로 히트와 스탠드를 결정하는 방법
[카지노 노하우]
흥부가 놀부될때까지 7
[카지노 노하우]
5월 마틴하면서 느낀점
판매의뢰
더보기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제작판매]
html5웹미니게임제작 해시게임제작 카드포커게임제작 스포츠토토 카지노 슬롯 에볼루션 토지노 솔루션분양임대재작
포토
더보기
채팅하기